Assessing Listening

2016. 12. 7. 23:30Education/English

반응형



( 위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 입니다. )


Assessing Listening

박형락

 

듣기 평가의 경우 읽기와 유사하게 언어의 이해에 대한 평가를 담당한다. 하지만 읽기와의 차이점이 있는데, 그것은 읽기와 달리 언어의 내용을 앞뒤로 움직여서 이해할 수 없다. 듣기 평가에 나오는 소리는 순간적으로 흘러나오기 때문이다.

듣기 평가 시 수험자는 소리에서 흘러나오는 언어 내용을 이해하고 그것에 대해 요지를 파악해야하며 핵심 내용만이 아니라 전반적인 언어 맥락을 이해하고 말하는 사람의 태도를 파악해야한다. 순간적으로 흘러나오는 소리를 듣기 평가에서 지시하는 문항의 문제 요구에 따라, 수험자는 정보, 지시 내용, 정보의 요구, 표현, 도움, 요청, 허락, 사과, 사건 발생 과정, 의견, 비교, 제안, 선호, 불만, 결론 표현들을 인지하고 이해해야 한다. 여기에 수험자는 인사, 소개, 동의, 반대, 불확실한 암시, 명확성 요구, 의견, 이해, 이해 실패 암시, 오류수정, 발화자의 욕구, 정당화, 주장에 대한 의문, 설득 같이 상호작용의 요소를 듣기 평가에서 인지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리고 모음, 자음, 억양 유형 식별 및 해석은 듣기 요소 같은 경우 진단 시험에서 사용된다. 텍스트에는 유형, 형식, 길이, 속도, 방언, 말투 등의 요소가 있다. 진정성을 위해 동화, 공백 도 사용된다. 또한 주제, 문법, 어휘의 범위 역시 스펙에 쓰여질 수 있다.

수행의 규준 레벨을 성정하고 듣기에 대한 과업을 설정하는 단계가 있다. 녹음에 대한 자료는 여러 매체를 통해 표본을 수집하거나 직접 녹음하기도 한다. 녹음 자료의 높은 타당도를 위해서 음질이 좋아야 한다. 또한 전문가가 임의로 듣기 평가를 위해 녹음한 자료가 아니라면 실제 상황을 녹취하는 경우가 많은데 그럴 경우 불필요하고 중복되는 말들이 많다. 녹음 할 경우에는 미리 대본을 통해 이러한 불필요하고 교육적인 요소 혹은 평가 요소들을 고려하여 계획적으로 원어민 목소리를 담아 내야 한다. 이럴 경우 속도, 구어체에 문항 개발자가 신경 써야 한다. 듣기 평가 문항 개발할 경우 대본 길이에 따라 정답의 핵심 키워드 위치를 고려해야 한다. 지나치게 앞에 있을 경우 수험자가 다음 대본 내용을 듣지 않기 때문이다. 그리고 듣기 평가는 문항 개발 시 듣기 평가 수험자가 되어서 실험을 해봐야 한다.

듣기 평가 문항에는 선다형, 단답형, 빈칸 채우기, 정보전이, 메모하기, 부분적으로 받아쓰기, 전사하기가 있다. 선다형 문제는 수험자가 미리 선택 문항을 기억하고 있어야 하고 듣고 나서도 선택문항을 잊어서는 안 된다. 따라서 문제가 복잡해서는 안된다. 다만 음소 인식에 대하여 정확하게 구별 못하는 수험자들에게 선택 문항에서 음소 관련 오답을 제공하는 것은 좋은 선택 문항 개발 방법이다. 정보 전이는 특정 상황에서 녹음 테이프를 지닌 친구가 그것을 활용하여 상대 친구를 도와주면서 사건을 수행하는 과업을 말한다. 메모하기는 원어민들도 긴 듣기 내용을 실시간으로 메모하여 요약하는데 힘들어 할 수 있으므로 그것을 실제 듣기 능력과 비교하는 것은 어려움이 있다. 부분적인 받아 쓰기는 수험자가 듣기 내용을 하나의 단어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녀 듣기 이해를 넘어 정확성 즉 문법 평가로도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채점 기준이 복잡해진다. 전사하기는 이름, 전화번호 같은 실제 세계에서 요구하는 정확한 듣기 이해를 요구한다. 이러한 문항 개발이 있은 후, 문항 조정을 거치고 듣기 평가를 시행하며 채점에 들어가게 된다.

논문 연구를 위해 특성화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했을 때, 듣기 자료에 대해 표본들이 불만이 기타의견으로 적지 않게 많았었다. 듣기를 활용한 수업을 하는데 듣기 자료가 특성화고등학교 특성상 전공에 적합한 듣기 자료가 완전히 없거나 실제성이 떨어져서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직접 교사가 원어민을 섭외해서 만들려고 시도하니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 포기했다고 한다. 듣기 평가 역시 이와 마찬가지라고 생각한다. 교사가 직접 듣기 평가를 제작하려면 이와 같은 고민을 빠지게 할 것이다. 결국 학교 현장에서 듣기 평가는 사실상 불가능하다.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토대로 듣기 평가를 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면 학생들은 시험 점수를 잘 받기 위해 교과서 내의 대화문을 아마 통째로 외우거나 시험에 나올 수밖에 없는 핵심 요소들을 익힐 것이다. 그러면 온전한 듣기 언어 기능을 평가하기는 힘들다. 목표 듣기 언어 능력을 그렇다고 교사가 원하는 출제 의도 방향으로 대화문을 만들고 듣기 녹음을 제작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이뿐 아니라 교육청의 듣기 평가도 개선되어야 한다. 실제 대화를 하면서 듣는 상황은 무조건 2인이 대화하는 것도 아니고 남자와 여자가 서로 번갈아 가면서 대화하는 것도 아니고 매번 같은 인물이 대화하는 것도 아니다. 듣기 평가에도 다양한 연출이 필요하다.

 

요약문헌

Hughes, A. (2003). Testing for language teachers.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60-171.



( 아래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 입니다. )


반응형

'Education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Assessing Reading  (0) 2016.12.21
Assessing Speaking  (0) 2016.12.20
Developing and Evaluating Grammar and Vocabulary Items  (0) 2016.11.29
Beyond Tests : Alternatives in Assessment  (0) 2016.11.21
Designing Classroom Language Tests  (0) 2016.11.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