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ing Classroom Language Tests

2016. 11. 15. 22:12Education/English

반응형


( 위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 입니다. )


Designing Classroom Language Tests

박형락

시험을 설계할 때 다음 여섯 가지 고려할 점이 있다. 시험의 목적이 무엇이며, 목표가 무엇이고, 시험의 목적과 목표에 반영하는 시험의 구성을 어떻게 이룰지, 어떤 시험 항목의 종류들을 선택하고 배열할지, 시험을 시행할 때 학생들에게 두드러진 수행을 성취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지, 무슨 종류의 채점과 성적과 피드백을 기대하는지를 고려해야 한다.

좋은 시험을 만들기 위해서는 그만한 많은 노력이 필요하여 오랜 시간을 들여 문제에 대한 오류를 수정해 나가는 작업을 해야 한다. 새로운 시험을 만들어도 창의적으로 이미 검증된 기존의 문제를 잘 활용할 줄 알아야 한다. 시험 목적을 결정할 때 수업에서 교사가 가르치려고 했던 그리고 가르쳤던 목표 학습을 중심으로 시행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시험이 학생들에게 주는 유용한 영향과 사전 사후 시험으로 가지는 긍정적인 변화도 있어야 한다. 그리고 과업을 수행할 때 학생들의 수행을 비교해본다.

수업의 교육과정은 학생들이 수행할 수 있는 목표로 적절하게 구성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계획을 세우는데 있어 모호하지 않게 해야 한다. 학습 목표를 설정하는데 다양한 학습효과들도 고려해야하며 학습 수행을 하는데 사용하는 언어 기능도 고려해야 한다.

시험 구성요소들을 전개해 보는 것은 시험에 대한 청사진을 설정하는 것과 같다. 내용에 대한 서술과 문항의 형태, 과업, 언어 기능, 어떻게 시험을 채점할 것인지, 어떻게 학생들에게 결과를 안내하게 될 것인지, 시험 이후 학생들에게 가져다줄 효과와 이후 수업의 변화르 위해 사용되는지를 교사는 시험 평가 전에 계획을 세운다. 그리고 시험 문항을 고안한다.

시험 문항을 고안할 때 선다형 문항의 경우 간단하면서도 완벽한 문항 개발을 위한 약점을 떠안고 있기 때문에 주의해서 고안해야 한다. 선다형 문항은 인지적 지식 활용, 임의로 찍기, 제한된 선택, 성공적 문항 작성의 한계, 적은 세환 효과, 학생들의 비윤리적인 행위들이 있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지면 선다형 문항은 현실적이며 신뢰성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교사는 선다형 문항 제작을 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다만 시험에 대한 채점과 평가를 하는 것은 쉽다. 선다형 문항은 선택적이고 수용적이며 수험자는 그것들로부터 선택한다. 그리고 모든 선다형 문항은 세 개에서 다섯 개의 문항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선대형 문항의 정답은 문항의 질문에 해심적인 특징을 가지고 있다. 선다형 문항은 단일한 목표를 측정하기 위해 수험자가 이것이 어떤 문항을 묻는지를 느낄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선택지에 드러내도록 하거나, 너무 많은 문장보다는 간결하고 명확한 질문이 좋으며, 선택지는 확실한 것이 답이라고 학생에게 느낄 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리고 때에 따라서 가능하면 문항을 문항 난이도, 문항 변별도, 오답자의 효율성 작업으로 문항을 수용하거나 수정하거나 버리는 작업을 한다.

시험을 시행하기 있기전 교사는 사전 테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사전 테스트는 다음과 같이 고려된다. 사전 시험의 정보를 적절하게 제공한다. 시험을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 금지 시간, 휴식 시간, 시간제한 같은 시험을 위한 조건들과 학생들에게 요구되어지는 준비물, 시험의 문항 종류들, 규준 평가 요소들이 이와 같은 경우들이다. 그리고는 시험에 대한 구성 요소들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고 학생들이 시험에 관한 질문에 교사는 대답을 해준다. 그러고 나서 이후 시험을 시행한다. 교사는 시험 장소에 일찍 도착하여 빛, 온도, 시계 등을 점검한다. 그리고 오디오와 비디오를 시험에서 사용할 경우 사전 테스트를 시행한다. 여분의 종이와 작성도구와 기타 다른 매체들을 챙긴다. 시험은 정시에 시작하는 것이 좋다. 시험은 교사가 나눠주는게 정적이다. 교사는 교사의 책상에 앉아서 시험 시행을 감독하여 필요에 따라 학생들의 요청 질문에 제한적으로 적절히 응답하면 된다. 시험 시간은 엄격해야 하며 학생들에게 시험시간이 넘어가지 않도록 인지를 시켜주고 격려해줘야 한다.

시험 이후 교사는 채점을 하게 된다. 언어 기능에 맞는 합리적이고 계획한 대로 채점을 진행한다. 그리고 나서 학생에게 성적을 부여하게 된다. 이러한 시험의 결과물을 토대로 교사는 학생들의 유익한 세환효과를 내기 위해 피드백을 제공하게 된다. 피드백에는 성적, 점수, 각 영역의 점수, 정답과 오답, 점수에 따른 진단, 학습 전력과 필요한 학습에 대한 영역, 각 요소별 점수, 수행에 따른 조언, 시험 이후 상담 및 숙제 등이 있다. 이는 언어 기능에 따라 평가도 세부적으로 달라지듯 피드백 역시 적절하게 특성에 따라 변형된다.

개인적으로 시험을 감독 해본 경험은 교생 실습 때 중학생들 대상 중간고사로 부감독을 했고 부산 토익 총감독을 맡았었다. 두 경험을 비교하자면 일선 학교에서 치는 시험의 감독은 감독 일부 선생님들이 감독에 임하는 자세 때문에 시험에 대한 긴장감을 조성하지 못했다. 예를 들어 감독 선생님께서 시험 도중 요가를 하시는 분이 계셨다. 한국의 문화 상 아직까지는 선생님이라는 직책에 대한 존경이 일정 부분 있고 당시 시험치는 해당과목이 학생들에게 중요하게 여겨지는 과목이 아니어서 중학생들이 이런 상황에 용인을 해준다. 그러나 그 해당 선생님이 영어 시험에도 그렇게 하지 않았다고는 생각 안할 수 없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학교에서 매 분기마다 치는 시험의 경우 일부 시행되고 있지만 학부모 시험 부감독 제도를 활성화 하거나 병역의무를 하는 자에게 일정 기간 교육을 받고 시험 감독 관련 업무를 하면서 학교 시험기간에는 임의로 학교에 배치 그리고 총감독을 맡겨 학교 시험 전문 감독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국가적인 시험 제도 개선을 했으면 한다.

 

요약문헌

Brown, H. D. (2004). Language assessment: Principles and classroom practices. New York: Pearson/Longman. 52-84.



    ( 아래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 입니다. )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