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모더니즘, 헤롤드 핀터의 Homecoming

2010. 10. 3. 13:35Literatur/English

반응형

* 강의 정리 내용입니다. 불펌자제요;;;


포스트모더니즘과 언어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20세기에 걸쳐 서구의 문화와 예술, 삶과 사고를 지배해온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

1960년대에 들어 미국과 유럽에서 시작된 문학·예술의 한 조류

다른 시대, 다른 문화로부터 양식과 이미지를 차용하는 예술은 모두 '포스트 모던'의 자격

문학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

저자의 서술 대신 인물의 서술인 독백('의식의 흐름')형식이 나온다.

작가가 자신의 서술을 되돌아보고 의심하는 자의식적 서술(메타 픽션), 현실과 허구의 경계 와해, 인물과 독자에게 선택권을 주는 열린 소설, 보도가 그대로 허구가 되는 뉴저널리즘, 작가의 권한을 최소화한 미니멀리즘 기법 등이 쓰인다. 영화와 연극 역시 사실주의의 패러디로서 환상적 기법, 자의식적 기법을 사용한다.

작가가 표현하려는 어떠한 '의미'가 존재

감상의 주 포인트는 그러한 '의미'를 이해하는 것

동시에 '표현'이라는 측면에 대해서는 상당히 관대해 짐

작가가 의도한 깊숙이 숨어있는 '본질'이 따로 존재

바깥으로 드러난 '표현'은 다만 그러한 '본질'을 전달해주는 '매개체' 역할만을 하는 것

겉으로 드러난 표현은 숨어있는 본질적 의미에 종속됨

현실과 괴리된 표현은 점점 더 기괴해 짐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까지 대유행을 하고 작품에 반영되면서, 이 시기의 예술은 아주 난해해지기 시작

개별사실에서 지표를 뽑아내듯이, 작품의 부분 부분을 통하여 작가의 의도를 해석하여야 했음

해롤드 핀터의 극언어

핀터적인(Pinteresque)

언어에 대한 불신

의사소통의 도구     

의미 전달을 위해 언어를 선택

부정확한 구문, 비슷한 말의 반복, 중복어, 반복, 불합리한 추론과 자기모순

①언어게임

상황에 따라 의미 천차만별

언어와 지칭 대상 사이의 절대적인 1:1의 관계가 성립되지 않음

여러 가지 상황에 따라 의미가 달라질 수 있음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가에 초점

The Homcoming

 RUTH .

 ... My lips move. Perhaps the fact that they move is more significant...than the words which come through them. You must bear that...possibility...in mind.

②불확실성

‘지시적 기능’이 아니라 ‘다양한 기능’

인물의 배경, 행동동기에 대한 정확한 정보가 없음

서로간의 변화하는 감정을 포착함으로써 극을 형성해 가는 틀을 만들어 감

불확실한 것 ->확실한 구조

반복적이어서 횡설수설하는 듯한 대사/  분절된 말/질문회피/분위기를 깨는 말/

③자연주의적인 대사

사람들은 반복적이고 별 의미가 없는 말을 늘어놓을 따름 -> 무대 위의 대사도 그것을 그대로 옮겨 놓아야 한다

극히 일상적인 언어 -> 단순하고 명확

모호한 것은 한 인물이 말하는 두 사실 사이의 관계, 더 나아가 두 인물이 하나의 사실에 대하여 말하는 관계에 있다.

언어라는 것이 고정된 의미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인식에서 비롯된 특징

Pause & Silence

Pause

사고가 계속되고 있다.

아직 말로는 표현되지 않은 강렬한 생각을 노출시킴으로써 긴장감

휴지 중에 인물들은 숨기고, 판단하고 재무장하고 상대의 인정을 기다린다.

무엇인가를 이야기하리라는 것

Silence

하나의 이야기가 끝나고 새로운 주제의 이야기를 하려는 것

침묵은 상대방을 배제하려는 위협

결국 침묵은 소통의 실패나 언어로서 의사를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의사소통의 도구의 역할을 한다.

RUHT. How did you know she was diseased?

LENNY. How did I know?

 Pause.

           I decided she was.

Silence.

 You and my brother are newly-weds,are you?

⑤우위를 차지하려는 언어전략

인물들의 본능이나 욕망, 정열, 공포를 표출하는 출구 -> 새로운 인간관계를 모색하는 게임의 도구

인물들의 상호관계의 미묘함과 다양성은 언어사용의 양태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을 함으로써만이 드러난다.

핀터극의 인물들의 관계모색

‘지배와 굴복’

갈등관계에서 인물들의 승패는 언어능력에 의하여 좌우

보다 정교한 언어를 구사하는 인물이 우위

언어적인 취약점을 지닌 인물은 폭력에 의지

RUTH vs TEDDY

Ruth

남편의 정체성을 인정하지 않는 태도

시종일관 부정으로 응수

테디의 사회적인 성공에 대해서도 인정 않음

그녀의 테디에 대한 언어는 그가 가정 내에서의 역할과 사회에서의 역할, 이 두 가지를 잘 조화시켜 나갈 능력이 없는 인물임을 인식하게 한다.

Teddy

테디의 내러티브는 점점 짜임새를 잃어가며 철저히 방어할 힘을 잃어버림

RUTH vs MAX

Ruth

침묵

답을 짧게 줄이는 것

루쓰는 맥스 전략의 희생자가 되기를 거부

맥스가 언술의 내용을 바꾸어 그녀를 자신의 며느리로 받아들이는 태도 이후 루쓰의 언어는 그의 권위를 인정하지 않고 무시하기 시작

Max

"What happened to the group of butchers?"   

맥스를 당황하게 하고 무시당하여 자신의 권위가 손상된 것에 대한 분노로 그는 아내와 아들의 행실을 비난하는 표현.

결국 자신의 가족에 대한 스스로의 비난이 바로 그의 부족함을 더욱 드러나게 하는 것이다.

RUTH vs LENNY

Ruth

동요하지 않고 냉담한 반응

“그녀가 감염되어 있다는 것을 어떻게 알았어요?

 그의 이야기가 사실이 아님을 보여줌

‘레오나드’라고 부르며 레니와의 관계에서 우위에 있음을 보여준다.

Lenny

엉뚱한 어휘의 사용

상대방이 예상하지 못하는 질문으로 루쓰에게 공격

창녀와 노파에 대해 가혹하게 대했던 경험의 내러티브는 루쓰에게 폭력을 가하려는 것이다.

레니는 언어를 통한 자신의 공격이 실패하자 자신이 여성에게 얼마나 가혹한 행위를 할 수 있는 인물인지 다소 과장 섞인 내러티브를 시작한다.

. 들어가며

 Homecoming  "Gender & Power"와 관련 시켜 바라보면, 초반 부분은 가족 내에서 남성들 간의 권력 차지에 대한 모습들이 드러나고, Ruth가 등장한 이후는 남성과 여성간의 권력 차지에 대한 모습들로 나타난다. 이것을 바탕으로 이 작품에서 성과 권력 구조는 크게 남성 vs 남성, 남성 vs 여성간의 다툼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세부적으로는 가족 내의 Identity를 통해 아버지, 어머니로서의 위치, 아들로서의 위치, , 동생으로서의 위치 내에서 권력을 차지하려는 모습들이 어떻게 다루어지는지 살펴본다.

. 본론

1. 남성과 남성 사이에서 권력 관계

(1) 부자관계

Max vs Lenny

 - Animal testing

 신문을 보고 있는 Lenny에게 Max는 특별한 이유 없이 치근덕대고, Lenny는 침묵으로 답한다. 마치 두 동물이 피 흘려 싸우지는 않지만 서로의 힘을 테스트하듯이 어르릉 거리는 모습과 같다. 

- 세대교체

 Max는 늙고 힘없는 약자이며, Lenny는 젊고 힘 있는 강자이다. Max는 과거에는 힘으로 가족들을 지배했지만, 현재는 그 자리를 Lenny에게 빼앗겼다. Stick을 들고 Max Lenny를 호통 치는 장면에서, Lenny의 대사를 통해 어린 시절 Lenny가 아버지의 처벌로 고통 받고 자랐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Lenny가 강자이며, 지금은 예전처럼 될 수 없음을 과거 상황을 재연함으로써 Max의 노쇠함을 비꼬고 있다.

"NO, please. It wasn't my fault, it was one of the others. I haven't done anything worong, Dad, honest. Don't clout me with that stick, Dad." (조롱하는 어조)

정상적인 아버지와 아들의 모습이 아니라, 힘 있는 자가 약한 자를 억압하는 약육강식의 모습을 보여 준다.

- Blood (혈연 이미지, Butcher shop의 부정적 이미지)

 두 부자간은 원만한 관계는 아니지만, 그래도 뗄 수 없는 혈연관계에 있다. Max Lenny를 연결시켜 주는 "blood"는 육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두 사람이 같은 사회적, 윤리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준다. 경마에 관한 이야기는 이 둘을 연결하는 공통 관심사이다. 그런데 Max가 경마에 대해 말하며 사용되는 단어들은 성적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 "filly"는 매춘부로, "trick"은 매춘을 암시한다. 여기서 이들 둘 다 여성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가진 것이 같다.

 Max는 혈연관계를 매우 중요시 여긴다. 그래서 아들에 대해 자신이 진짜 아버지인지에 관해 늘 생각한다.  "All yours, Ted?"(모두 너의 아이들이니?)라는 대사에서 그의 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Lenny로부터 'Dad'라고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이유가 그가 친아들이 아닐 수도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 Lenny Max에 대한 조롱

 Lenny Max의 여성적인 역할(Max cooking)에 대해 조롱한다. 조롱할 때 "Dad"라는 말을 함께 쓰면서, Max가 아버지다운 역할을 못한다고 비꼰다. butcher로서의 자부심, 친구 Mac과의 과거이야기를 통해 남성다움을 자랑하는 Max에겐 이것은 큰 모욕이다.

Max vs Jeoy

 Jeoy는 복싱선수로 육체적으론 강하지만 Lenny처럼 아버지를 거역할 정도의 머리는 가지고 있지 않다. Max Joey boxing skill에 대해 비난하는데, 자신의 약해진 육체에 비해 젊은 Joey에 대한 질투심일 수도 있고, 아들들이 성인이 되더라도 항상 자신의 통제 안에 두려는 아버지로서의 권력욕의 표현일 수도 있다.

Max vs Teddy

 Teddy Max는 부자관계임에도 불구하고 미묘한 감정의 싸움을 보이고 있다. Max Teddy에게 결혼한다고 가족에게 왜 말하지 않고 했냐고 묻자 Teddy Max가 바쁠 것 같아서 그랬다고 둘러댄다. 여기서 둘은 부자관계임에도 불구하고 서로 신뢰하지 못한다는 느낌을 준다.

 She's a great help to me over there. She's a wonderful wife and mother. She's a very popular woman. She's got lots of friends. It's a great life, at the University ... you know...it's a very good life. We've got a lovely house... we've got all...we've got everything we want. It's a very stimulating environment. (. 66)

 위 대사에서 Teddy는 자신의 아내 Ruth에 대해서 자랑스럽게 Max에게 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Teddy의 위의 대사로만 봐서는 우리는 이것이 사실인지 아닌지 믿을 수 없다. 그 대신 Teddy의 톤과 자신 없는 ...의 표현을 통해 Teddy의 말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2) 형제관계

Max vs Sam

- 남성적인 무능력을 통해 공격

 Max는 동생 Sam을 남성적으로 무능력하다는 것으로써 억압한다. 자신은 아들 3명을 둔 것에 반해, Sam은 자식이 없다. 동물적인 관점에서 볼 때 생식 능력이 없는 동물은 소외된다. Max Sam이 생식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남성이라고 억압한다. 심지어 Sam을 남자들에게 몸을 파는 사람이라고 모욕을 주기까지 한다.

 We took you into the butcher's shop, you couldn't even sweep the dust off the floor. We took MacGregor into the shop, he could run the place by the end of a week. Well, I'll tell you one thing. I respected my father not only as a man but as a number one butcher! And to prove it I followed him into the shop. I learned to carve a carcass at his knee. I commemorated his name in blood. I gave birth to three grown men! All on my own bat. What have you done? (p.55-56)

 위 대사를 통해 Max는 과거 butcher shop에서 Sam이 제대로 일하지 못했음을 말한다. 여기서 butcher shop blood가 늘 존재하는 폭력적인 남성적 공간을 나타내는 듯하다. 또한 단순 정육점이 아닌 남성들이 지배하는 매춘 장소를 의미하기도 한다. Max는 이런 장소에 적응하지 못하는 Sam을 비난한다.

- 친아버지여야만 한다는 남성의 두려움

 Sam Max에게 대항할 수 있는 무기가 하나있다. 바로 Jessie Mac과의 불륜사실(Teddy의 출생의 비밀)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항상 자식이 친자식인지를 생각하는 Max에게는 이것이 두려운 진실인 것이다. , Sam은 남성들의 약점인 "친아버지 컴플렉스"을 이용하여 권력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 아버지의 권력의 세습

 Sam Max의 집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같이 물려준 자신의 집도 된다고 얘기하자, Max는 아버지를 회상하며 자신을 얼마나 사랑했는지를 말한다. 하지만 그 말 속에는 자신이 아버지의 권력 속에서 수동적으로 당할 수밖에 없었던 고통을 드러낸다. 또한 그도 아버지가 되었을 때 자신의 아버지처럼 똑같이 남들을 억압한다. 현재는 Max 또한 아들 Lenny에게 권력이 넘어간 상태이다.

- 진실을 회피하고 'A diseased imagination'으로 여김

 이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 Sam은 “MacGregor had Jessie in the back of my cab as I drove the along”이라고 비밀을 밝힌다. 하지만 Max는 그를 'A diseased imagination'을 지녔다고 말하며, Sam이 말한 진실을 회피한다. 그는 과거에 자신이 기억하고 싶은 부분만 기억하고, 현재에도 보고 싶은 부분만 보려고 한다.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은 진실일지라도 병든 상상력일 뿐이며, 억압 대상이다.

Teddy vs Lenny

- 아버지가 다른 형제

 이 둘은 형제지간이지만 짧은 만남에서 보여지 듯 공개적으로 적대적이다. 아마도 이 둘은 형제로 자랐지만 성격에서의 차이점을 보자면 다른 아버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Sam Teddy에게 Mac을 아는지를 묻고, Jessie Teddy를 매우 사랑했다고 말하는 부분에서 Teddy Mac의 아들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Ruth를 형수로 인정하지 않고 여성으로 본다는 점에서 Teddy를 자신의 형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 내성적인 Teddy에 대한 Lenny의 공격

 Lenny는 철학박사인 Teddy에게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공격하기도 한다. ‘존재와 무 존재’에 대한 질문을 하는데, Teddy는 그의 질문을 회피한다. 또한 철학적으로 ‘테이블’을 무엇이라고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냥 테이블이라고 말할 뿐이다. Max는 자신의 전문 지식인 철학에 대한 주제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는 Lenny에 대한 불만이 있으면서도, 늘 충돌하는 것을 두려워하면서 회피한다. 그가 Lenny에게 불만을 표현하는 방식은 Lenny가 아껴둔 cheese cake을 몰래 꺼내먹는 소극적인 행동일 뿐이다. Lenny는 자신과는 전혀 다른 그의 내성적인 행동을 비난한다.

And so when you at length return to us, we do expect a bit of grace, a bit of je ne sais quoi, a bit of generosity of mind,...

 위의 Lenny의 대사에서 알 수 있듯이 Lenny Teddy가 좋은 성격으로 달라지기를 기대했는데, 전혀 달라진 것이 없다는 것에 실망했다며 그의 내성적인 성격을 대놓고 비꼰다.

- 여성과 관계 맺지 못한 것에 대한 남성의 수치심

 Joey Ruth와 성관계를 맺지 못하고 돌아오자 (without having gone the whole hog) Teddy는 “Perhaps he hasnt got the right touch(제대로 만지지 못했겠지)라고 말한다. 그러자 오히려 Lenny가 흥분하며 Joey와 자신이 두 여자를 성폭행한 사실을 자랑스럽게 이야기한다.

2. 남성과 여성 사이에서의 권력 관계

(1) Max vs 여성 또는 Ruth

"Mind you, she wasn't such a bad woman. Even though it made me sick just to look at her rotten stinking face, she wasn't such a bad bitch. I gave her the best bleeding years of my life"(,25).

But I was always able to tell a good filly by one particular trick. I'd look her in the eye.

위 두 대사를 통해 Max는 여성에 대해 복잡하고 모순적인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 Max Joey Ruth와 성관계를 완전히 갖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고, 아들을 위로한다. "My Joey? She did that to my boy?" 그는 아들이 받았을 정신적 충격에 대해 걱정하는 것과 동시에, 여성이 성적으로 남성을 컨트롤한다는 것에 반감을 지닌다. 또한 그녀의 권력에 대해 질투심을 느낀다.

 나중에 그는 Ruth를 자신의 집에 살게 하자고 제안한다. 그리고 가족들은 넉넉하지 못한 경제 형편에서 그녀를 보살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Lenny는 경제적인 측면(economic considerations)에 초점을 두자, Max "But I think youre concentrating too much on the economic considerations.  There are other considerations. There are human considerations.  You understand what I mean?  ...  Dont forget them." 라고 마치 Ruth를 생각하는 것처럼 상냥하게 말한다. Lenny "I wont."(안 잊을게요.)라고 공손히 대답한다. 그런데 Max의 그 다음 대사인 "Well dont"(그래 잊지마) Pause 에서 상냥한 듯한 tone이 갑자기 달라진다. Human consideration을 얘기하는 상냥한 톤이 갑자기 바뀌는 것은 Max가 여성(Ruth) 에게서 maternal figure (어머니의 모습) whore (창녀)의 모습의 두 가지 면을 보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2) Lenny vs Ruth

- 남성에 관한 왜곡된 우월감과 여성에 대한 폭력성

 Ruth Teddy와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렸지만, Lenny는 이런 사실을 무시하는 듯 한 태도를 보인다. , 그는 그녀를 형수로 인정하지 않고 여자로서 간주한다. Ruth와 나누는 대화에서 "이탈리아에서 군인으로 전쟁에 참가했을 것이다."라는 말은 남성적인 우월감에 대한 허세를 보여 준다. 젊은 여자 창녀에게 폭력을 행사하는 대사에서 우리는 Lenny의 런던 하층사회의 지식 뿐 만 아니라 여성에 대한 잠재적인 폭력을 알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여성에 대한 우위의 힘을 의도하며 자기 결정대로 여자가 매독에 결렸다고 단언하기도 한다. 게다가 여성을 차고 때리는 것 대신에 성적으로 여성을 지배하지 않는다는 남자다움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오히려 성적, 정신적, 육체적으로 그가 무능함을 보여준다. 또한 어머니 같은 인물인 노인에 대한 폭력성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이를 통해 Lenny Ruth의 성격의 일부를 공격하고 야만성을 보여준다. 여기서 그가 여성을 폭력으로 제압하려는 경향, 동물적 폭력성이 나타난다. Ruth가 그의 이야기를 듣고 그에게 왜 그녀가 병에 걸렸다고 생각하느냐고 묻는 질문에서 그는 단지 그렇게 생각했다고 얘기한다. 이를 통해 그의 이야기가 허구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드러난다.

- 어머니로서의 Ruth

 Lenny는 잠옷을 입지만 Ruth는 정장을 입고 있다. 이 상황에서 Lenny는 자신의 직업이 여성들에게 잠옷을 입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데 익숙하기 때문에 유머스러운 장면을 의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하는 행동에서는 어머니를 대하는 어린 소년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Ruth는 그를 "Leonard"라고 어머니가 아들을 부르듯이 말한다. 그리고 물 컵을 사이에 두고 심리적인 권력 다툼에서 Lenny를 압도한다. Ruth Lenny에게 마치 어머니가 아들을 다루듯이 대한다. 이로 인해  어머니에 대한 생각은 Lenny를 혼란스럽게 한다.

 

That night... you know... the night you got me... that night with Mum, what was it like? Eh? When I was just a glint in your eye. What was it like? What was the background to it? I mean, I want to know the real facts about my background. I mean, for instance, is it a fact that you had me in mind all the ime, or is it a fact that I was the last thing you had in mind?(,52)

 이 대사에서 Ruth의 출현은 Lenny가 그의 어머니 Jessie에 대해 생각하게끔 만들며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혼란을 야기 시킨다.

- 성을 control함으로써 Power를 획득하는 Ruth

 Ruth는 본능적으로 여성인 자신이 이 집안의 권력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점점 가지게 된다. 그녀는 Lenny에게 자신의 shoes에 대해 묻는다. 그리고 자신이 정말 원하는 것은 미국에서는 구할 수 없다고 말한다. 이 대사의 의미는 Lenny가 자신을 위해 경제적으로 원하는 것을 지원해 줄 수 있는지를 묻고 있는 것이다. Lenny가 여자에게 모자를 사 준 적이 있다고 대답하자 Lenny가 자신을 지원해 줄 의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한다. 그리고 그녀가 예전에 누드 사진 모델이었던 경력을 이야기하며 여성으로서의 자신감을 드러낸다. 이 후 Ruth Teddy가 보는 앞에서 Lenny와 춤을 추고 키스를 한다. 그리고 Joey와 소파 위에서 애정 행각을 벌인다. 자신이 성적으로 남성을 다룰 수 있는 기술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 후 그녀는 갑자기 일어나서 남성들에게 마실 것과 먹을 것을 요구한다. 남성들은 그녀에게 복종한다.

 그녀는 남성들이 자신을 집에 두기를 원하며, Max "But you... Ruth ... Youre not only lovely and beautiful, but youre kin."이라고 아양을 떨지만, Ruth는 가족들의 그런 행위들이 단지 'a cold financial arrangement'(냉혹한 재정적 협정)일 뿐이라는 것을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계약 조건이 상호간에 만족스럽기 전에는 계약을 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감정적인 판단을 하지 않는다. Ruth는 남성들과 다른 관점에서 Sex를 바라본다. 가족 내의 남성들은 sex business로 여기지만, Ruth sex를 힘의 원천(a source of strength)로 본다. 그녀는 남성들의 요구를 수행할 능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남성들의 요구들이 생물학적으로 어쩔 수 없음(biologically compelling)을 이해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녀의 성적 본능을 control함으로써 남성들은 감히 가지지 못하는 권력을 그녀는 획득하는 것이다. 

(3) Teddy vs Ruth

 Ruth Teddy와 같이 영국이 고향이다. , 그래서 이번 여행은 Teddy뿐만 아니라 Ruth homecoming이기도 하다. Teddy가 자신의 고향집을 ‘a urinal(오줌통)’과 비유하며 말하듯이 ‘dirty’하다고 여기는 반면, 그녀는 이 집에서 활력을 얻을 만큼 쉽게 적응한다. 사실 Homecoming의 이유는 Teddy가 오고 싶어 해서가 아니라 그녀가 오고 싶어 했기 때문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녀는 미국에서의 삶을 ‘insects’로 표현할 만큼 그 곳에서 행복하지 않았음을 말하고 있다. Insect Teddy에 대한 경멸의 표현일 수 있다.

 Look at me. I... move my leg. that's all it is. But I wear... underwear... which moves with me... it ... captures your attention. Perhaps you misinterpret. The action is simple. It's a leg... moving. My lips move. Why don't you restrict... your observations to that? Perhaps the fact that they move is more significant... than the words which come through them. you must bear that... possibility... in mind. (. 68-69)

 Ruth가 하는 위의 대사를 통해서 우리는 두 가지 생각을 할 수 있다. 첫째, ‘언어는 그 자체로 존재할 뿐 이다’는 것. 그 사물과 관계된 의미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그 개인적 사용의 단어로 바라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위에 설명을 통해서 그녀가 말하고 싶은 것은 그녀는 비록 Teddy와 결혼했지만, 결혼이라는 법적인 장치들은 그녀를 감금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녀는 여성으로서의 자연스러움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일정한 제도나 관습에 얽매이기보다는 그녀가 원하는 데로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기존의 가부장제도에 억압되어 있던 여성의 모습에서 벗어나 여성도 주체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Teddy는 가족들과 Ruth의 성적인 관계에서 조차 방관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그가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관련이 있다.

Its a way of being able to look at the world.  Its a question of how far you can operate on things and not in things.

 그는 사물(things) 내에서 작용하는 것에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물 표면에 작용하는 것에 관심을 가진다. , 인간조차 움직이는 물체일 뿐이며, 관찰의 대상이지 자신이 함께 속해야 할 대상은 아닌 것이다. 그는 철학을 통해 삶을 이해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삶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아마도 Ruth는 비인간적인 Teddy의 성격을 보고 insect라는 이미지를 떠올렸을 것이다.

3. Ruth vs 남성’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들

- John Warner

Ruth Teddy와 헤어지는 것은 단지 성적 쾌락의 추구가 아니라 지성인들의 ‘province of word’를 거부하고 더 큰 실존의 전체성( greater existential wholeness)를 추구하기 위함이다. 남성들은 전체의 부분으로서 자신들을 바라보는 반면, 그는 전체성(wholeness and integration)을 위해 투쟁한다.

- Elin Diamond

In this unstable stage tableau, no one can be called victorious.” 남성도 여성도 누가 승리했다고 볼 수 없다.

- Even Almansi and Henderson

The homecoming’은 feminine and feminist independence에 대한 강력한 요구라고 볼 수 있다.

- Steven Gale

 Ruth는 다양한 남성들의 요구들을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해 수행한다. (She fulfills different needs for the various men in her new family in order to fulfill her own needs)

- Richard Schechner

Ruth의 승리는 부패된 것이다. 이 연극은 ‘어머니와 창녀’로 향해 남성들의 어두운 태도와 그 이중적 역할을 수행하려는 여성들의 욕망에 관한 탐구이다. (a probe of the dark male attitudes toward the mother-whore and the equally compelling female desire to play this double role)

. 나오며

 이 작품은 심리적 사실주의 극으로서 전통적인 도덕성에 중점을 두기 보다는 남성과 여성, 남성과 남성 사이에 권력과 힘의 관계에 대해서 더 힘주어 말하고 있다. 마지막의 Ruth Teddy와 떠나지 않고, Max집에서 나머지 가족과 머무르는 것은 가족 내에서 여성이 어떻게 정체성을 가지고 살아남을 수 있는지 보여 주면서 그 판단은 독자에게 맡기고 있다.

* 남성 vs 남성

아버지와 아들

(1) Max vs Lenny

1. Animal testing

신문를 보고 있는 Lenny에게 Max는 특별한 이유 없이 치근덕대고, Lenny는 침묵으로 답한다. 마치 두 동물이 피 흘려 싸우지는 않지만 서로의 힘을 테스트하듯이 어르릉거리는 모습과 같다. 

2. 세대 교체

Max는 늙고 힘없는 약자이며, Lenny는 젊고 힘있는 강자이다. Max는 과거에는 힘으로 가족들을 지배했지만, 현재는 그 자리를 Lenny에게 빼앗겼다.

Stick을 들고 Max Lenny를 호통치는 장면에서, Lenny의 대사를 통해 어린 시절 Lenny가 아버지의 처벌로 고통받고 자랐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현재는 Lenny가 강자이며, 지금은 예전처럼 될 수 없음을 과거 상황을 재연함으로써 Max의 노쇠함을 비꼬고 있다.

 

"NO, please. It wasn't my fault, it was one of the others. I haven't done anything worong, Dad, honest. Don't clout me with that stick, Dad." (조롱하는 어조)

정상적인 아버지와 아들의 모습이 아니라, 힘 있는 자가 약한 자를 억압하는 약육강식의 모습을 보여 준다.

3.  Blood (혈연 이미지, Butcher shop의 부정적 이미지)

두 부자간은 원만한 관계는 아니지만, 그래도 뗄 수 없는 혈연 관계에 있다. Max Lenny를 연결시켜 주는 "blood"는 육체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두 사람이 같은 사회적, 윤리적 가치관을 지니고 있음을 보여 준다. 경마에 관한 이야기는 이 둘을 연결하는 공통 관심사이다. 그런데 Max가 경마에 대해 말하며 사용되는 단어들이 성적인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filly"는 매춘부로, "trick"은 매춘을 암시한다. 또한 둘 다 여성을 부정적으로 바라보는 관점을 가진 것이 같다.

 Max의 혈연관계를 매우 중요시 여긴다. 그래서 아들에 대해 자신이 진짜 아버지인지에 관해 늘 생각한다. ¡°All yours, Ted?¡±(모두 너의 아이들이니?)라는 대사에서 그의 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Lenny로부터 ¡°Dad¡±라고 불리는 것에 거부감을 느끼는 이유가 그가 친아들이 아닐 수도 있다는 불안감 때문이라고 볼 수도 있다.

4.  Lenny Max에 대한 조롱

Max의 여성적인 역할(Max cooking)에 대해 조롱한다. 조롱할 때 "Dad"라는 말을 함께 쓰면서, Max가 아버지다운 역할을 못한다고 비꼰다. butcher로서의 자부심, 친구 Mac과의 과거이야기를 통해 남성다움을 자랑하는 Max에겐 큰 모욕이다.

(2) Max vs Jeoy

Jeoy는 복싱선수로 육체적으론 강하지만 Lenny처럼 아버지를 거역할 정도의 머리는 가지고 있지 않다. Max Joey boxing skill에 대해 비난하는데, 자신의 약해진 육체에 비해 젊은 Joey에 대한 질투심일 수도 있고, 아들들이 성인이 되더라도 항상 자신의 통제 안에 두려는 아버지로서의 권력욕의 표현일 수도 있다.

(3) Max vs Teddy

Teddy Max는 부자관계임에도 불구하고 미묘한 감정의 싸움을 보이고 있다. Max Teddy에게 결혼한다고 가족에게 왜 말하지 않고 했냐고 묻자 Teddy Max가 바쁠 것 같아서 그랬다고 둘러댄다. 하지만 서로 신뢰하지 못한다는 느낌을 준다.

Teddy : She's a great help to me over there. She's a wonderful wife and mother. She's a very popular woman. She's got lots of friends. It's a great life, at the University ... you know...it's a very good life. We've got a lovely house... we've got all...we've got everything we want. It's a very stimulating environment. (p.66)

 위 대사에서 Teddy는 자신의 아내 Ruth에 대해서 자랑스럽게 Max에게 말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Teddy의 위의 대사로만 봐서는 우리는 이것이 사실인지 아닌지 믿을 수 없다. 그 대신 Teddy의 톤과 자신 없는 목소리를 통해 Teddy의 말이 사실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다.

형제 관계

(1) Max vs Sam

1. 남성적인 무능력을 통해 공격

Max는 동생 Sam을 남성적으로 무능력하다는 것으로써 억압한다.

자신은 아들 3명을 둔 것에 반해, Sam은 자식이 없다. 동물적인 관점에서 볼 때 생식 능력이 없는 동물은 소외된다. Max Sam이 생식하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는 남성이라고 억압한다. 심지어 Sam을 남자들에게 몸을 파는 사람이라고 모욕을 주기까지 한다.

Max : We took you into the butcher's shop, you couldn't even sweep the dust off the floor. We took MacGregor into the shop, he could run the place by the end of a week. Well, I'll tell you one thing. I respected my father not only as a man but as a number one butcher! And to prove it I followed him into the shop. I learned to carve a carcass at his knee. I commemorated his name in blood. I gave birth to three grown men! All on my own bat. What have you done? (p.55-56)

위 대사를 통해 과거에 butcher shop에서 Sam이 제대로 일하지 못했음을 말한다. 여기서 butcher shop blood가 늘 존재하는 폭력적인 남성적 공간을 나타내는 듯 하다. 또한 단순 정육점이 아닌 남성들이 지배하는 매춘 장소를 의미하기도 한다. 이런 장소에 적응하지 못하는 Sam을 비난한다.

2. 친아버지여야만 한다는 남성의 두려움

그런데 Sam Max에게 대항할 수 있는 무기가 있는데, 바로 Jessie Mac과의 불륜사실(Teddy의 출생의 비밀)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항상 자식이 친자식인지를 생각하는 Max에게는 두려운 진실인 것이다. Sam은 남성들의 약점인 "친아버지 컴플렉스"을 이용하여 권력 관계 속에서 살아간다.

3. 아버지의 권력의 세습

Sam Max의 집은 아버지와 어머니가 같이 물려준 자신의 집도 된다고 얘기하자, Max는 아버지를 회상하며 자신을 얼마나 사랑했는지를 말한다.  하지만 그 말 속에는 자신이 아버지의 권력 속에서 수동적으로 당할 수 밖에 없었던 고통을 드러낸다. 또한 그가 아버지가 되었을 때 자신의 아버지처럼 똑같이 남들을 억압한다. 현재는 Max 또한 아들 Lenny에게 권력이 넘어간 상태이다.

4. 진실을 회피하고 ¡°A diseased imagination¡±으로 여김

이 작품의 마지막 부분에서 Sam은 ¡°MacGregor had Jessie in the back of my cab as I drove the along¡±이라고 비밀을 밝힌다. 하지만 Max는 그를 ¡°A diseased imagination¡±을 지녔다고 말하며, Sam이 말한 진실을 회피한다. 그는 과거에 자신이 기억하고 싶은 부분만 기억하고, 현재에도 보고 싶은 부분만 보려고 한다. 자신이 원하지 않는 것을 말하는 것은 진실일지라도 병든 상상력일 뿐이며, 억압 대상이다.

(2)Teddy vs Lenny

1. 아버지가 다른 형제

이 둘은 형제 지간이지만 처음 짧은 만남에서 보여지듯 공개적으로 적대적이다. 아마도 이 둘은 형제로 자랐지만 성격에서의 차이점을 보자면 다른 아버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추측할 수 있다. Sam Teddy에게 Mac을 아는지를 묻고, Jessie Teddy를 매우 사랑했다고 말하는 부분에서 Teddy Mac의 아들일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또한 Ruth를 형수로 인정하지 않고 여성으로 본다는 점에서 Teddy를 자신의 형으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사실을 볼 수 있다.

2 . 내성적인 Teddy에 대한 Lenny의 공격

Lenny는 철학박사인 Teddy에게 철학적인 질문을 던지면서 공격하기도 한다. ¡°존재와 무존재¡±에 대한 질문을 하는데, Teddy는 그의 질문을 회피한다. 또한 철학적으로 ¡°테이블¡±을 무엇이라고 할 수 있느냐는 질문에 그냥 테이블이라고 말할 뿐이다. Lenny에게 자신의 전문 지식인 철학에 대한 주제에 대해서도 소극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는 Lenny에 대한 불만이 있으면서도, 늘 충돌하는 것을 두려워하면 회피한다. 그가 Lenny에게 불만을 표현하는 방식은 Lenny가 아껴둔 cheese cake을 몰래 꺼내먹는 소극적인 행동일 뿐이다. Lenny는 자신과는 전혀 다른 그의 내성적인 행동을 비난한다.

¡°And so when you at length return to us, we do expect a bit of grace, a bit of je ne sais quoi, a bit of generosity of mind,---- ¡° 에서 Teddy가 좋은 성격으로 달라지기를 기대했는데, 전혀 달라진 것이 없다는 것에 실망했다며 그의 내성적인 성격을 비꼰다.

* 남성 vs 여성(Ruth)

 (1) Max vs 여성 또는 Ruth

"Mind you, she wasn't such a bad woman. Even though it made me sick just to look at her rotten stinking face, she wasn't such a bad bitch. I gave her the best bleeding years of my life"(,25).

(그녀는 그렇게 나쁜 여자는 아니었지. 심지어 그녀의 쭈그러진 얼굴을 바라보는 것만으로도 나를 아프게 만들었음에도 불구하고, 그녀는 그리 나쁜 여잔 아니었어. 난 내 삶의 가장 bleeding한 세월을 그녀에게 바쳤어)

위 대사를 통해 Max의 여성에 대한 복잡하고 모순적인 태도를 반영하고 있다.

But I was always able to tell a good filly by one particular trick. I'd look her in the eye.

여성을 매춘부쯤으로 보는 Max의 여성관을 알 수 있다.

Max Joey Ruth와 성관계를 완전히 갖지 못했다는 사실을 알고, 아들을 위로한다. My Joey? She did that to my boy?  그는 아들이 받았을 정신적 충격에 대해 걱정하는 것과 동시에, 여성이 성적으로 남성을 컨트롤한다는 것에 반감을 지닌다. 또한 그녀의 권력에 대해 질투심을 느낀다.

마침내 그는 Ruth를 자신의 집에 살게 하자고 제안한다. 그리고 가족들은 넉넉하지 못한 경제 형편에서 그녀를 보살필 수 있는지에 대해 논의한다. Lenny는 경제적인 측면(economic considerations)에 초점을 두자, Max가 “But I think youre concentrating too much on the economic considerations.  There are other considerations. There are human considerations.  You understand what I mean?  ----  Dont forget them.” 라고 마치 Ruth를 생각하는 것 처럼 상냥하게 말한다. Lenny는 “I wont.(안 잊을게요.)라고 공손히 대답한다. 그런데 Max의 그 다음 대사인 “Well dont(그래 잊지마) Pause 에서 상냥한 듯한 tone이 갑자기 달라진다. Human consideration을 얘기하는 상냥한 톤에게 갑자기 바뀌는 것은 Max가 여성(Ruth) 에게서 maternal figure (어머니의 모습) whore (창녀)의 모습의 두 가지 면을 보고 있음을 알 수가 있다. 

(2) Lenny vs Ruth

1. 남성에 관한 왜곡된 우월감과 여성에 대한 폭력성

그는 Ruth Lenny의 형과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렸지만, 이런 사실을 무시하는 듯한 태도를 보인다. 즉 그녀를 형수로 인정하지 않고 여자로서 간주한다.

Ruth와의 대화에서 "이탈리아에서 군인으로 전쟁에 참가했을 것이다."라는 말은 남성적인 우월감에 대한 허세를 보여 준다.

창녀의 젊은 여자를 폭력을 행사하는 대사에서 우리는 Lenny의 런던 하층사회의 지식 뿐만 아니라 여성에 대한 잠재적인 폭력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여성에 대한 우위의 힘을 의도하며 자기 결정대로 여자가 매독에 결렸다고 단언한다. 게다가 여성을 차고 때리는 것 대신에 성적으로 여성을 지배하지 않는다는 남자다움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오히려 성적, 정신적, 육체적으로 그가 무능함을 보여준다.

또한 어머니 같은 인물인 노인에 대한 폭력성에 대한 이야기도 나온다. 이를 통해 Lenny Ruth의 성격의 일부를 공격하고 또한 야만성을 보여준다. 여성을 폭력으로 제압하려는 경향, 동물적 폭력성이 나타난다

Ruth는 그의 이야기에 대해 왜 그녀가 병에 걸렸다고 생각하느냐고 묻는다. 단지 그렇게 생각했다고 얘기한다. 이를 통해 그의 이야기가 허구일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 드러난다.

2. 어머니로서의 Ruth

Lenny는 잠옷을 입지만 Ruth는 정장을 입고 있다. 이 상황에서 Lenny는 자신의 직업이 여성들에게 잠옷을 입고 있는 것을 보여주는데 익숙하기 때문에 유머스러운 장면을 의도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하는 행동에서는 어머니를 대하는 어린 소년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Ruth는 그를 "Leonard"라고 어머니가 아들을 부르듯이 말한다. 그리고 물컵을 사이에 두고 심리적인 권력 다툼에서 Lenny를 압도한다. 마치 어머니가 아들을 다루듯이 한다. 이로 인해  어머니에 대한 생각은 Lenny를 혼란스럽게 한다.

¡°아버지,저를 잉태한 날 엄마랑 함께 했던 그날 밤, 어땠어요? 내가 아버지 눈에 보일까 말까 한 존재였던 그 때, 그날 밤 어땠어요? 그날의 배경은 뭐예요? 내 말은 나의 배경에 대한 진짜 사실을 알고 싶다는 거죠.¡±

이 대사에서 Ruth의 출현은 Lenny가 그의 어머니 Jessie에 대해 생각하게끔 만들며 자신의 아버지에 대한 혼란을 야기시킨다.

3.  성을 control함으로써 Power를 획득하는 Ruth

Ruth는 본능적으로 여성인 자신이 이 집안의 권력을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는 확신을 점점 가지게 된다. 그녀는 Lenny에게 자신의 shoes에 대해 묻는다. 그리고 자신이 정말 원하는 것은 미국에서는 구할 수 없다고 말한다. 이 대사의 의미는 Lenny가 자신을 위해 경제적으로 원하는 것을 지원해 줄 수 있는지를 묻고 있는 것이다. Lenny가 여자에게 모자를 사 준 적이 있다고 대답하자 Lenny가 자신을 지원해 줄 의향이 있다는 것을 확인 한다. 그리고 그녀가 예전에 누드 사진 모델이었던 경력을 이야기하며 여성으로서의 자신감을 드러낸다. 이 후 Ruth Teddy가 보는 앞에서 Lenny와 춤을 추고 키스를 한다. 그리고 Joey와 소파 위에서 애정 행각을 벌인다. 자신이 성적으로 남성을 다룰 수 있는 기술이 있다는 것을 증명한 후 그녀는 갑자기 일어나서 남성들에게 마실 것과 먹을 것을 요구한다. 남성들은 그녀에게 복종한다.

그녀는 남성들이 자신을 집에 두기를 원하며, Max가 ¡°But you ¡¦ Ruth ¡¦. Youre not only lovely and beautiful, but youre kin.¡±이라고 아양을 떨지만, Ruth는 가족들의 그런 행위들이 단지 ¡°a cold financial arrangement¡±(냉혹한 재정적 협정)일 뿐이라는 것을 파악하고 있다. 그리고 계약 조건이 상호간에 만족스럽기 전에는 계약을 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하며, 감정적인 판단을 하지 않는다.  Ruth가 남성들과 다른 관점에서 Sex를 바라본다. 가족내의 남성들은 sex business로 여기지만, Ruth sex를 힘의 원천(a source of strength)로 본다. 그녀는 남성들의 요구를 수행할 능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이 남성들의 요구들이 생물학적으로 어쩔 수 없음(biologically compelling)을 이해하고 있다. 그러므로 그녀의 성적 본능을 control함으로써 남성들은 감히 가지지 못하는 권력을 획득하는 것이다. 

(3) Teddy vs Ruth

Ruth도 영국이 고향이다. 즉 이번 여행은 Teddy뿐만 아니라 Ruth의 여행이기도 하다. Teddy가 자신의 고향집을 ¡°a urinal(오줌통)¡±과 비유하며 말하듯이 ¡°dirty¡±하다고 여기는 반면, 그녀는 이 집에서 활력을 얻을 만큼 쉽게 적응한다. 사실 Homecoming의 이유는 Teddy가 오고 싶어해서가 아니라 그녀가 오고 싶어했기 때문일 수도 있을 것이다. 그녀는 미국에서의 삶을 ¡°insects¡±로 표현할 만큼 그 곳에서 행복하지 않았음을 드러낸다. Insect Teddy에 대한 경멸의 표현일 수 있다.

Ruth :  Look at me. I... move my leg. that's all it is. But I wear... underwear... which moves with me... it ... captures your attention. Perhaps you misinterpret. The action is simple. It's a leg... moving. My lips move. Why don't you restrict... your observations to that? Perhaps the fact that they move is more significant... than the words which come through them. you must bear that... possibility... in mind. (p. 68-69)

 Ruth가 하는 위의 대사를 통해서 우리는 두 가지 생각을 할 수 있다. 첫째, ‘언어는 그 자체로 존재할 뿐 이다’는 것. 그 사물과 관계된 의미에서 발견되는 것이 아니라, 그 개인적 사용의 단어로 바라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또 한 가지, 위에 설명을 통해서 그녀가 말하고 싶은 것은 그녀는 비록 Teddy와 결혼했지만, 결혼이라는 법적인 장치들은 그녀를 감금하지 못한다는 것이다. 그녀는 여성으로서의 자연스러움이 더 중요하다고 말하고 있다. 그래서 일정한 제도나 관습에 얽매이기보다는 그녀가 원하는 데로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기존의 가부장제도에 억압되어 있던 여성의 모습에서 벗어나 여성도 주체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Teddy는 가족들과 Ruth의 성적인 관계에서 조차 방관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이는 그가 세계를 바라보는 관점과 관련이 있다.

¡°Its a way of being able to look at the world.  Its a question of how far you can operate on things and not in things¡±

그는 사물(things) 내에서 작용하는 것에 관심을 두는 것이 아니라 사물 표면에 작용하는 것에 관심을 가진다. 즉 인간조차 움직이는 물체일 뿐이며, 관찰의 대상이지 자신이 함께 속해야 할 대상은 아닌 것이다. 그는 철학을 통해 삶을 이해하려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삶에서 벗어나게 되는 것이다. 아마도 Ruth는 비인간적인 Teddy의 성격을 보고 insect라는 이미지를 떠올렸을 것이다.

(4) Ruth vs 남성 에 대한 여러 가지 견해들

1. John Warner

Ruth Teddy와 헤어지는 것은 단지 성적 쾌락의 추구가 아니라 지성인들의 ¡°province of word¡±를 거부하고 더 큰 실존의 전체성( greater existential wholeness)를 추구하기 위함이다. 남성들은 전체의 부분으로서 자신들을 바라보는 반면, 그는 전체성(wholeness and integration)을 위해 투쟁한다.

2. Elin Diamond

¡° In this unstable stage tableau, no one can be called victorious.¡± 남성도 여성도 누가 승리했다고 볼 수 없다.

3. Even Almansi and Henderson

¡°The homecoming¡±은 feminine and feminist independence에 대한 강력한 요구라고 볼 수 있다.

4. Steven Gale

Ruth는 다양한 남성들의 요구들을 자신의 욕구 충족을 위해 수행한다. (¡°She fulfills different needs for the various men in her new family in order to fulfill her own needs¡±)

5. Richard Schechner

Ruth의 승리는 부패된 것이다. 이 연극은 ‘어머니와 창녀’로 향해 남성들의 어두운 태도와 그 이중적 역할을 수행하려는 여성들의 욕망에 관한 탐구이다. (¡°a probe of the dark male attitudes toward the mother-whore and the equally compelling female desire to play this double role¡±)

<프로이드의 관점에서 본
'
귀향'의 인물 분석 및 관계 >

1.      ‘귀향’ 문제제기

* 문제제기

- Martin Esslin

  왜 세 아이의 엄마이며 대학교수의 아내, Ruth가 ‘매춘부’로써 받아들여지고 게다가 남편 Teddy 역시 그러한 아내의 역할에  ‘동조‘하는 것인가?

 ⇒ 프로이트의 tender sensual에 대한 개념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      유아의 어머니에 대한 독점욕으로서, 같은 성인 '아버지' 를 경쟁자로서 배척하고, 다른 성인 '어머니' 를 경애하게 되는 현상을 이르는 정신학 이론의 용어.

프로이트는 사춘기 이후 한 인간의 개인적인 부분은 그 스스로 부모로부터 독립되는 것이 가장 큰 과업으로 생각하고 거기에 모든 노력을 기울인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 후 이 분리는 아이로서의 과정을 끝내는 것으로 성취되고 사회 커뮤니티의 한 일원이 된다.

아들에게 있어서의 과업은 그의 어머니로부터 성적 욕구를 떼어놓는 것에 있다.필연적인 반전과 함께 이 일들은 같은 방법으로 계속되었고 어린 소녀들(엘렉트라 콤플렉스)에게도 계속되었다.

* 프로이트의 ‘tender’ 그리고 ‘sensual?

tender: 일반적으로 가지게 되는 어머니에 대한 감정

Sensual : 어머니를 성적 대상으로 보는 개념 (유아기)

일반적으로 가지게 되는

어머니에 대한 감정

. 프로이트 관점에서 본
인물분석 및 관계
2-1. Lenny AND Joey

Lenny  

    Lenny: Well, this lady was very insistent and started taking liberties with me... so I clumped her one. It was on my mind at the time to do away with her, you know, to kill her, and the fact is, that as killing go, it would have been a simple matter, nothing to it ... But... in the end I thought... Aaah, why go to all the bother... So I just gave her a belt in the nose and a couple of turns of the boot and sort of left it at that. (pp. 30-31)

Joey

Lenny : You didn't go all the way?... But you've had her up there for two hour ... Are you telling me she's a tease?

Joey : I didn't say she was a tease... I've been the whole hog plenty of times. Sometimes... you can be happy ... and not go the whole hog. Now and again ... you can be happy... without going any hog. (pp. 66-68)
- Joey
역시 여성을 아주 저급하게 취급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2-1. JOEY AND LENNY

어릴 적 어머니에 대한 성적 욕구가 분리되지 않은 사람은 그릇된 성적 목적(sexual aim)을 가지게 된다.

 유아의 분리되지 않은 성적활동

=>나중에는 성적인 양극성의 징조로써 묘사되고 잔인성을   지니게 됨

*Lenny, Joey Ruth를 보는 관점

Lenny

&Joey

매춘부

엄마상

Ruth

*엘렉트라 콤플렉스
(<->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è  딸이 아버지에게 애정 을 품고 어머니를 경쟁자로 인식하여 반감을 갖는 경향

Sylvia Plath 'Daddy

그녀가 8살 때 아버지의 부재 -> 그녀는 일생동안 아버지의 imago(어릴 적의 사랑의 대상이 이상화된 것)에 의해 억압을 당하는 비참한 결과가 나타남

*엘렉트라 콤플렉스

Sylvia Plath'Daddy'

당신은 아녜요, 당신은

더 이상 검은 구두가 아녜요

나는 그 속에서 발처럼 살았어요, 초라하고 창백하게,

감히 숨쉬거나 재채기도 못하며.

è  ‘시는 엘렉트라 콤플렉스를 가진 한 소녀가 말하는 것입니다.’ 라고 밝힘.

l  연극 이해의 중요한 세 가지

① 그녀의 남편은 오직 아버지의 대체물

② 시는 프로이드가 묘사한 것을 예증.

   ->그것은 심오하게 무의식 속에서 영원히 함께 사는 감정의 (내향과 외향의) 양극성을 묘사한 것.

   ex> Jessie is ' ... a woman with a will of iron, a heart of gold and a mind...-> 'a slutbitch of a wife.'

è  맥스가 모순되는 감정을 표출한 것. ->이는 자기혐오랑 자기연민과 관련이 있음.

l  연극 이해의 중요한 세 가지

③ 실비아 플라스 vs 그녀의 어머니

è  심오하고도, 경쟁적인 관계를 유지 이러한 비이성적인 욕구는 Max와 그의 아들들(특히 Lenny)이 서로서로를 향한 적대감에 근거하고 있다.

l  두 가지의 대립

1. Lenny Joey의 제시에 대한 고착
->
어머니상 vs 매춘부로 바라보는 관점.
2. Teddy
의 결혼과 세 명의 아들

 -> 적어도 여성을 격하시킬 필요가 없음
◈ 루스와 테디의 결혼생활 ?

=> 루스와 테디의 결혼생활은 정상적이지 못함.
Ex>
그들의 딱딱한 대화. 루스의 경우 테디의 말에 쉽게 동의하는 편이 없으며 대개 'no'라고 할 뿐.

ð  전반적으로 결혼에 성공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테디는 결국 강박증이 있는 가족으로부터 쉽게 탈출하지 못함. sex()에 대해 무서워하는 남자처럼 여성과 진실한 관계를 가지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알고서 무의식적으로 여성(Ruth)을 선택.

2-2. MAX

맥스의 자기 연민과 자아본능?

-      맥스는 제시의 imago(어릴 적의 사랑의 대상이 이상화된 것)를 너무나 의식한 나머지 그녀에게서 자신의 정체성을 분리시키는 데 큰 어려움을 겪음.

Max : Our father! I remember him.... I remember my father. 'He'd bend right over me, then he'd pick me up. I was only that big. Then he'd dandle me. Give me the bottle. Wipe me clean. Give me a smile. Pat me on the bum...

Max의 어머니에 관한 실질적인 언급을 하지 않음.

- 어릴 적 아버지의 생생한 기억에 압박을 받고 있음.

- 어머니는 돌아가신게 아니라 정신과 치료를 받았음

è  맥스가 제시와 결혼함에 있어서 사실상 어머니의 형상을 찾은 것처럼 보여짐. 이는 실비아 플라스의 아버지의 부재가 그녀로 하여금 아버지의 대체물을 찾도록 한 것과 같이한다.

ex> 'gave birth to three grown men' ... don't talk to me about the pain of childbirth - I suffered the pain, I've still got the pangs.

è  정체성을 분리시킬 수 없는 맥스는 기괴하면서도 불가해한 주장을 한다.

=>이는 아버지로서의 권세를 극복하고 그의 연약한 성적 정체성을 지키기 위해 그의 아들들에게 약탈적인 남성적인 면모를 알리고 있는 것임.

 이는, ‘자기혐오’ 혹은 ‘자기연민’이라는

모습을 보여줌. 

2-3. TEDDY

- 테디의 경우 솔직한 편임. (straightforward)

- 그는 깊은 곳에 무언가 잘못 되어가고 있는 가족의 심리상태를 솔직하게 깨닫는 가족구성원이며, 그는 그것을 이해, 탈출하려는 노력을 한다.

- 그는 대학을 다니는 삶을 살았고 이민을 갔으며, 그를 제외한 다른 가족 구성원들은 문제를 자각하지 못 함.

ð  이 점은 우리에게 25세에서 70세까지의 나이에 이르는 다 큰 성인남자 4명이 그들이 태어난 곳에서 여성과의 정상적인 관계에 어떠한 암시도 없이 한 집에서 함께 살고 있다는 것이 얼마나 이상한 지를 상기시키는 가치가 있음.

◈ 테디의 ‘런던가족’을 보는 관점

- 지식인이라고 하는 초월자적 위치에서 상당한 반감을 가지고 있으며 탈출하려하는 모습을 보임.

- 테디는 계속해서 루스가 그녀의 예전 삶에 대해 가족들에게 말하는 것을 막으며, 끊임없이 그녀에게 집으로 돌아갈 것을 재촉하지만 아무런 소용이 없음.

  -> 결국 루스의 거절에도 불구 그는 위층에 올라가서 그들의 짐을 싸는 모습을 보임.

Ruth... the family have invited you to safty, for a little while longer' ... by venting his full anger on the swimming bath down the road.

 'You know what it's like?

It's like a urinal. A filthy urinal!'

.. how certain people can maintain... intellectual equilibrium. You're just objects. You just... move about. I can observe it.

2-4. RUTH

ex> I was born quite near here. ...

    I was a model before I went away... No... I was a model for the body.

    Once or twice we went to a place in the country, by train. oh, six or seven      times. We used to pass a ... a large white water tower. This place ... this       house... was very big... the trees ... there was a lake, you see... we used       to change and walk down ....

=> 몸을 보이는 모델, 또한 결혼하기 전 집과 정원, 탑이나 강에 대한 무의식적으로 프로이드적 풍경에 대해 애정하는 듯한 묘사를 언급

=>남편과 함께 있을 때는 찾을 수 없었던 일종의 감정적인 확신과 만족을 그곳에서 찾도록 한 그녀의 정신적인 뒤틀림은 레니의 불안정한 환상의 취향과 양식을 이어 받는다.
2-5. SAM

SAM : 테디, 내가 뭔가 말해줄까? 너는 항상 너의 어머니의 최고였어. 그녀는 내게 말했지. 사실이라고. 너는 항상... 너는 항상 그녀의 사랑의 주된 부분이었어.

샘과 테디의 은밀한 만남 속 대화에서 보면, 샘은 몽상가도 아니며 테디와 마찬가지로 허풍이 없는 존재로 특히 그가 하는 말은 꽤나 믿을 만하다. 그가 테디가 보낸 편지를 언급하는 부분은 이 극에서 몇 없는 인간적인 부분이 드러나기도 한다. 그러나 그의 언급들은 치명적인 사실을 암시하기도 한다.

 테디가 맥스의 자식이 아니라는 추측을 가능케 함.

 

 

Homecoming

 이 작품의 특징은 부조리극 영향을 받아 대사가 주로 짧거나 침묵을 보여준다. 핀터레스크라고 하여 위협감과 두려움 공포를 자아내며 개개인의 집착에 대한 문제를 인물로서 설명한다. 핀터의 언어사용법은 인간과의 권력관계에 대한 수단을 보여준다. 끝없는 언어사용 행위를 통해 표현 또는 형성하는 정체성을 보여준다. Ruth 3아이의 엄마이지만 모델이었다. Jessie의 대신해 남성들을 위한 돈벌이와 청소 등등 으로 형성된다. 이는 언어가 정체성으로 형성된다. 권력관계 문제를 보여주며 갈등을 드러내는데 이는 누가 더 지배적인가를 나타낸다. 작품의 사조는 크게는 리얼리즘으로 부조리극 요소를 삽입하였으며 논리적 상황을 무시하며 대화를 단절하였다. 장르는 가족간의 갈등이며 어두운 상황과 코믹, 아이러니컬한 희비극이다. Pause를 통해 긴장을 주며 약간의 침묵을 주는데 이는 핀터만의 스타일이다. 가족간의 관계문제에서 거친언어를 사용한다. 아버지는 과거의 이야기를 장황하게 이야기 한다. 그런데 이러한 Max의 자랑은 확실하지 않다는 것이다. 말에 대해서 능속하다고 하는데 Max는 단지 기억의 서술로 이를 증명할 방법이 없다. 가족간의 대화는 비정상적인 대화로 폭력성이 짙고 거칠며 비정상적 부자관계를 보여준다. 사실인지 아닌지 아무도 모르는 대화는 불확실성을 띤다. Pinter의 작품은 진실이라는 확실을 주지않는 특징을 지닌다. 단순이 현재 상황을 대사를 통해서 설명할 뿐이다. 가정의무 때문에 그일을 포기했다는 말 자체가 납득을 가지지 못하는 것도 보여준다. 성적인 단어와 문란한 행동 묘사는 반복적으로 등장하는 모티프이다. Pause를 통해 긴장 재공은 별일이 아닌 소재를 끌어다 긴장을 넣는다. 그리고 인간과의 대화에서 개한테 사용하는 단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대사들이 동물과 인간과 구분할 수 없을 정도의 본성을 드러내게 한다. 정보를 한꺼번에 가르쳐주지 않고 하나씩 하나씩 드러내게 한다. 언어 행동이 불일치하며 환경에 익숙치 않은 모습을 보인다. Ruth 대사 길이는 초반엔 짧으며 행동과 말이 동일하지 않다. 상식적으로 어머니가 죽으면 가족구조가 변해야 하는데 이상하게 그러지 않다. 아이리컬한 형제관계를 보여준다. 시계소리에 일어나는 Lenny는 불안해서 깬다. 심리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하다. 그리고 황당한 이야기를 늘어놓으며 비정상적인 코믹을 제공한다. 손잡고 싶어하는 Lenny Ruth를 형수로 알고 있으나 단순히 성적 대상으로서 하룻밤을 원한다. 그런데 길고 장황한 이야기를 처음보는 형수 앞에서 성적이야기로 하며 사실인지는 알 수 없다. 다만 형수와 창녀의 공통점은 여자다. 그는 여성을 폭력으로 제압하려는 성향을 띄고 있으며 폭력적이고 동물적이다. 자신이 얼마다 다정다감한지 설명하기 도 한다. 이 드라마의 전반 스토리의 추진력은 갈등에 있다. 긴장감 속에서 대화를 펼친다. Ruth와 엄마와 같은 위치로 남자들은 본다. Lenny Ruth의 대화에서 Glass lenny를 대상물로서 하나로 본다. 또한 엄마가 애기 물먹이는 장면이 나온다. Ruth를 엄마위치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남자는 대사에서hungry라고 하고 여자는 thirsty라고 한다. 대화에서 부모와 자식 같지 않은 관계를 나타낸다. 집에서 밥일을 하는 Max에게 부엌은 자신의 고유 영역이다. Max는 추측을 열거하는데 아무 근거가 없다. 아버지의 정통성을 물려 받았다고 주장하며 이는 자기가 장자라는 것을 강조하는 것이다. 가족에서 남성들이 주를 이루며 특히 장자가 권한이 크다. 이는 가부장제도라고 할 수 있다. 모든 여자들을 창녀 같은 조재로 본다. 이는 남성들이 만들어낸 이미지다. Whole이라고 하다가 갑자기 어머니라고 할 정도로 말이 변하기도 한다. Teddy가 싫다고 한적이 없는데 Max는 강조한다. 이는 말하는 사람의 마음상태에 따라 말하며 이는 객관적 실체가 아니며 자신의 느낌을 그대로 투시함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극은 작가의 생각이 아니며 등장인물의 생각으로 동일화시키면 안되며 이는 연극의 특징이라 할 수 있다. 가치관 형성에 어머니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이는 남자입장에서 가부장제도속에서의 입장이다. 남자의 긴이야기에 여자는 짧은 의문문을 보이며 대부분 사실이 아닌데 반박을 통해 들통이 난다. 하지만 남자는 이에 권위에 대한 도전이라고 생각한다. 자신의 자랑거리가 허약하다는 것을 알고 당황하기도 한다. 아버지는 가족을 보호하는 역할인데 이는 외부를 차단하는 경향이며 이는 다시 결혼제도를 통해 가부장제도를 낳는다. Max Teddy에게 아들이라고 말한 적이 없다. 엄마와 아이의 정체성에 혼란을 Ruth는 가지고 있다. Teddy는 전형적인 중산층이다. Ruth는 항상 남자의 언어행위에 도전한다. 언어만으로는 해석되지 않는 남자의 시선이 있다. America Ruth Teddy와 서로 다른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남편의 권위에 대한 도전이다. 서로 Max가족의 친숙함이 달라진다. 지배를 향해 분쟁과 갈등을 벌이는데 그들의 갈등이라는 것은 관심과 칭찬 그리고 사랑을 얻기 위해 자신의 정체성을 주장하려는 시도다. 작품속에 야망은 유리적으로 애매하며 개별인물들에게 다채로운 특징을 지닌다. 미학적인 동시에 윤리적 기능을 하기도 한다. Lenny는 대사에 대해 서로 연관성이 없고 단순 자기 이야기를 벌인다. 춤은 동물적 수준이며 인간의 행위를 본질적으로 보여준다. 또한 권력게임이다. 춤문화의 최대 격상어를 사용한다. 왜 응함에 항상 서로 마음이 통한적이 없는데 본능적으로 춤을 춘다는데 의미가 있다. Joey는 어머니 보다 tart에 가까운 모습이다. Max도 며느리와 tart에 차이를 두지 않는다. 남자는들 여자를 필요하는데 tart로써다. 그러나 어머니를 강조하는데 여성이 필요하는데 어머니를 집착한다. 어머니라는 존재가 무의식적으로 성적 욕망의대항으로 tart와 결하된다. 양육은 단순 육아의 대상이다. 이렇게 두가지로 의미된다. Rute는 장악하고 나서 여지껏 남자들이 한 행동을 한다. 그리고 태도가 당당해진며 명령조에 가깝다. Teddy는 방관하며 세상에 대해 빠져 들지 않게다고 한다. 세상에 대한 초월성으로 낮은 자들과의 구분을 가한다. Sam Teddy와의 관계가 좋았다. 이 대화에서 Teddy와 그 형제와 다른 관계임을 알 수 있다. 먹는것을 뺏는 것은 동물적 수준인데 관찰자 입장이 아님을 보여준다. 왜냐면 아내를 빼앗긴 복수 이기 때문이다. 누구의 homecoming인지 구분 못하는 Teddy. Max는 남성을 대표한다. Ruth를 상품화하려하며 생활비를 평소 가족에게 내놔라고 강조한다. Ruth의 상품화는 남자들의 대화속에 있다. 서양결혼시스템으로 아버지는 남편으로 이양된다. 상징화되면서 여성을 교환 대상물로 삼는다. 인간 관계라는 것이 이성적인지 본능적인지 아무도 모른다. 유흥이 상품화이다. 멀쩡한 여자이자 아내이며 며느리를 창녀로 만든다. Ruth Jessie의 대체자이다. Teddy는 반론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며느리이며 아내가 되고 손님이 되는 것이 homecoming을 의미한다. 남성이 원하는 여성의 성 역할은 침대와 청소와 가족유지다. 상황에 Sam은 제동을 건다. 그런데 누가 권력을 쥐는가에 Max가 두려워한다. 가부장적인 Max인지 Ruth인지 아무도 알 수 없다. ... 에서 Ruth가 행하지 않을 것이라는 두려움에 두려워한다. 여성의 억압은 주로 가부장에서 시작된다. Jessie는 죽었고 Ruth가 나타났다. 이에 변화과 생기는 가이다. Ruth가 가정을 변화시키는 가인지 성역할에 강요될 것인지 아무도 모른다. Max가 가부장을 대표해서 걱정하며 협상과정에 있다.

 

세익스피어와 Tom Stoppard

 이 영화는 역사적 사실과 작가적 상상력을 결합하여, 셰익스피어가 바이올라라는 여성과의 사랑을 통해 "로미오와 줄리엣"(Romeo and Juliet)을 창작했다는 줄거리로 셰익스피어의 생애를 재구성하였다. 흥미로운 점은 영화의 여주인공 바이올라가 셰익스피어의 "십이야"(Twelfth Night)의 바이올라처럼 남장을 시도한다는 것과, 로미오와 줄리엣의 사랑과 윌 셰익스피어와 바이올라의 사랑이 유사점과 차이점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것이다. "십이야"의 바이올라는 낯선 땅에서 자신을 보호하기 위하여 남장을 한다. 그리고 오시노 공작의 시동으로서 공작의 올리비아를 향한 구애를 대신 담당하지만, 올리비아는 남장한 바이올라에게 사랑을 느끼고, 바이올라는 공작을 사랑하게 된다. 그러나 남장 때문에 자신의 사랑도 실현하지 못하고 올리비아의 사랑도 실현시켜 줄 수 없다. 결국 쌍둥이 오빠 세바스천의 등장으로 행복한 결말에 이르기는 하지만, 우리는 "십이야"의 바이올라의 남장을 소극적인 남장으로 간주할 수 있다. 또한, 바이올라의 남장은 사회적인 관습의 제약을 받은 남장이었기 때문에 자신의 사랑을 이룰 수 없이 당혹스러워하는 바이올라를 볼 수 있다. 그러나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바이올라는 여성의 무대 진출이 금지된 관습에도 불구하고 자신의 꿈을 이루기 위해 남장을 한다. 그녀는 남성의 옷을 입고 배우로서 인정을 받으면서 자신의 꿈을 이루는 동시에 윌과의 사랑을 경험한다.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바이올라의 남장은 훨씬 더 적극적인 의도에서 비롯되었으며, 무대 관습의 제약을 받은 남장이었기에 무대 아래에서 바이올라는 자신의 사랑 또한 이룰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스토파드는 원작에서보다 더욱 적극적인 여성인물을 재현하였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두 연인과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윌과 바이올라는 무도회에서 만나 사랑에 빠지고 발코니에서 사랑을 속삭이는 등 첫 만남이 매우 흡사하다. 원수 가문이라는 이유로 또는 신분 차이의 이유로 인해 서로 어울리지 않는 사이라는 점과, 아버지가 선택한 정혼자가 있다는 점에서는 사랑의 방해요소도 유사하다. 줄리엣의 아버지도 가부장적 권위로 딸의 결혼을 주재하지만, 바이올라의 아버지는 딸을 매매하다시피 결혼시키는 모습에서 스토파드가 가부장제 하의 결혼제도를 더욱 노골적으로 풍자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쓴 맛을 보는 세익스피어에게 로미오와 줄리엣은 비극이 된다. 로미오와 줄리엣, 그리고 윌과 바이올라의 사랑이 전개되는 모습이 비슷한 것 같지만, 윌과 바이올라의 사랑에는 연극이 개입되어 있다는 점에서 매우 다르다. 무대 밖에서의 키스가 바로 페이드 되면서 연극으로 바로 연결시키는 장면은 백미다. 진짜의 삶과 가공된 이야기를 썩는다. 연극과 삶이 중첩을 이루는 것이다 이세상이 우리가 사는 무대를 의미하기도 한다. 중간 중간 영화속에서 여와의 정치가로서 힘든 모습을 말의 재치로써 표현하기도 한다. 그리고 진짜의 삶과 가공된 이야기를 섞었다. 또한 현대와 과거를 혼재시켰다. 정신과 의사나 머그잔 같이 의도적으로 현대에 있을 물건과 직업이 나온다. 이 영화에서는 극장, 템즈강, 말로우 등 실제 인물과 실제 역사가 가상과 공존한다. 변성기 이전의 아이가 여자역할을 함을 역사 사실을 보여준다. "로미오와 줄리엣"의 플롯은 단순하지만, "셰익스피어 인 러브"의 플롯은 영화 속 연극 "로미오와 줄리엣"과 현실이 서로 직조되어 있다. 스토파드는 연극이 현실을 반영하기도 하며 연극이 현실을 반영하기도 하는 방식으로 플롯을 구성하여 허구와 현실의 경계를 이완시킨다. 그리고 "셰익스피어 인 러브"는 “연극이 사랑의 진실과 본질을 보여줄 수 있는가?”라는 물음을 던진 후, 윌과 바이올라가 무대에서 표현한 사랑을 통해 긍정적인 답을 제시한다. 스토파드는 자신의 메타드라마 "진짜"(The Real Thing)에서 애니의 목소리를 통해 말한 것과 같이, 이 영화에서도 언어에 생명을 불어넣는 써브텍스트가 바로 연극이라는 텍스트를 진실하게 만든다는 견해를 표명하고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