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entity and Gender in Cloud Nine 발표자료

2010. 10. 5. 11:52Literatur/English

반응형

* 저 포함 다른 사람들의 저작물도 있으니 퍼가지 마세요~~



Identity and Gender

in Cloud Nine

 

과목 : 20세기 영국 희곡

담당교수 : 김영덕 교수님

2003002103 영어영문학과 김동은

2006006015 독어독문학과 박형락

2006006026 독어독문학과 정다정

2006002104 영어영문학과 홍수민

Will man Schweres bewältigen, muß man es leicht angehen. – Bertolt Brecht

1. Cloud Nine의 의미

희곡의 제목 'Cloud nine'은 그대로 해석하면 아홉 번째 구름 위 정도를 뜻하는 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제목은 이러한 표면적 의미 외에 다른 뜻을 내포하고 있다. ‘Cloud nine’은 성적 극치감을 나타내는 은어이다. 작가는 제목을 통해 성 관계 속에서 여자의 욕구나 성적 욕망, 극치감 등은 무시된 채, 남자만의 일방적        인 행위로 남자만이 즐거움을 누리는 것은 불평등한 것이고 이와 같이 두 행위자 모두의 욕구 존중은 동성애 관계에서 역시 마찬가지라는 것이다. Cloud nine은 누구에게나 주어진 것이고 같이 누려야 하는 것이지 누가 일방적으로 독점하거나 절대로 지배의 수단과 목적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뜻이 제목에 담겨있다. 즉 작가는 제목을 통해성은 모든 인간에게 평등한 것이다라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하고 있다.

 

2. 카릴 처칠 (Caryl Churchill)

처칠은 1938년 런던 출생이다. 어린 시절 부모와 함께 캐나다의 몬트리올에서 7년 간 살았다고 한다. 대학에 진학할 무렵 귀국하여 1956년 옥스퍼드 대학의 레이디 마가렛 홀 칼리지에 입학했다. 대학 시절 옥스퍼드 지역 극단을 위해 극작을 시작했으며 본격적인 작가 생활은 대학 졸업 후 1972년 런던의 로얄 코트 극장에서 “Owners”를 공연 하면서부터이다. 이 즈음을 전후로 처칠은 런던의 신진 작가들과 교류하며 70년대 영국 연극계의 주도적인 흐름에 뛰어들게 된다.

1970년대 중반과 후반은 개성 있는 젊은 작가들이 대거 연극계에 등장하여 버나드 쇼, 오스카 와일드, 존 오스본 이후의 공백기를 메우면서 가히 영국 제3의 르네상스를 열어가던 시절이었다. 이들은 1956년 브레히트의 베를린 앙상블의 영국 순회 공연을 거의 본 세대들이다. 이들은 브레히트의 서사극 이론에 큰 영향을 받았고 사회적 비판의식이 강한 작가군들로 성장했다. 카릴 처칠 역시 그들 중 하나였다. 그녀가 데뷔한 로얄 코트 극장은 처칠을 위시한 이 새로운 작가들이 처음으로 작품을 무대화 했던 곳이다. 처칠의 작품에 나타나는 브레히트적인 서사기법이나 사회 정치적으로 또 역사적인 관점에서 주제를 부각시키는 그녀의 작품 특징은 이러한 배경과 연관이 있다. 그래서 그녀는 사회적 여성주의자라고 불리고 있다. 처칠은 이제 페미니스트 작가로 명성을 굳히고 있지만 그녀의 작품은 여성의 사적 관점에 함몰되지 않고 항상 계급과 성의 관계 속에서 여성을 다루는 특징을 가진다.

그러나 작가로서 막 주목을 받기 시작할 무렵 처칠은 변호사인 데이비드 하터와 결혼하여 한동안 가정과 육아에 몰두하게 된다. 여성 작가로서 그녀는 일, 모성, 아내와 주부라는 각기 다른 역할을 조화시키기 위해 갈등 하였고 이러한 갈등과 고민은 그녀의 작품에 나타났다. 유산을 경험하는 가운데 아들 셋을 낳아 키우며 주부로 생활하는 동안 처칠은 초기부터 써왔던 라디오 드라마 창작으로 글쓰기를 계속했다.

1972년 로얄 코트에서 공연한 “소유자들”은 라디오 극작가로서의 명성과는 상관없이 처칠을 여성주의 극작가로서 뚜렷한 위치에 올려놓았다. “소유자들”에서 작가는 남성의 기득권으로 당연시 되어 있는 일체의 소유권에 대해 그 부당성을 지적하고 있다.  처칠의 대표작으로는 「소유자들」외에, “「성과 폭력에 대한 반대」, 「버킹엄셔에 내려 비치는 햇살」, 「비네가 탐」, 「클라우드 나인」, 「슾지」,「미친숲」등이 있다.

 

3. 교차 배역 기법 (Cross casting)

 1) 등장인물의 배경과 다르게 성 또는 인종을 바꾸어 출연진이 무대에 나오는 기법.

 2) 관객들로 하여금 그들의 선입견이 틀렸다는 것을 깨닫게 해준다.

3) 성 교차 배역 기법 (Cross gender casting)

  . 남성중심의 세계관에서 정의 되어 진 여성의 상징을 변화 가능한 다양한 기호로 파악하려는 노력 성 역할의 전형화를 해체하려는 작가의 의도다.

  . 배우와 등장인물의 분리를 통해 관객들이 거리감을 갖도록 한다. 이를 통해 고정된 성의 이데올로기를 낯설게 하고 남성과 여성이라는 관습적인 성차를 부자연스럽게 하거나 전복시킴으로써 성적 정체성에 대한 관심을 집중시킨다.

  . Betty (여자배우 -> 남자배우), Edward (남자배우 -> 여자배우)

  . 관객들은 교차배역을 통해 여성의 육체를 바라보는 자신의 의식 속에 숨겨져 있던 무의식적인 남성적 응시를 깨닫게되고 이를 통해 소외되었던 여성의 위치를 다시 인식할 수 있게 되는 것.

 3) 인종 교차 배역 기법(Cross race casting)

  . Joshua (흑인배우 -> 백인배우)

 

4. 이중배역 기법 (Role doubling)

 1) 1 2역 이상을 맡아 다른 배역으로 변신한다. 이러한 이중 배역은 관객들로 하여금 극중 인물들이 작가에 의해 그리고 배우에 의해 창조된 인물임을 극의 전면에 드러내므로써 관객이 극중 인물에게 감정적으로 몰입하거나 동일시(identify)하는 것을 막는 효과를 거둔다.

2) 이중배역의 효과는 역사적 인물을 연기한 배우들이 현대인물을 연기하게 함으로써 여자의 상황이 본질적으로 변화하지 않았음을 강조한다. 동시에 관객으로 하여금 각 인물들이 지닌 다양한 상황과 조건들을 비교함으로써 여성의 삶이 안고 있는 억압의 상황을 어떻게 극복했는가, 그리고 성취 이면에 놓여 있는 한계점 등을 일정한 거리를 두고서 바라보게 된다.

 

5. 여성학의 관점에서 Cloud Nine의 성 체성을 분석하기 전에..

 1) 성에 대한 정의

  . 성을 정의할 때 일반적으로 Sex Gender로 나뉘어서 정의한다.

. Sex

) 생물학적인 성으로써 우리가 일반적으로 남자와 여자를 구분지을때 신체나 유전 또는 해부 등으로 구분하는 것을 말한다.

) 남자와 여자의 구분이 자연스러운 것 곧 당연한 것으로써 해석이 된다. 예를 들어 옛날 여성들은 남성보다 머리가 나빠서 교육이 필요없다 라는 식의 유전적으로 남자와 여자의 지적수준을 구별하고 차별하는 지어지는 데 사용된다.

. Gender

) 사회적 성으로써 이 상황에 기대되어지는 남성 및 여성상을 말하는 것으로 즉 사회마다 다른 여성과 남성의 모습을 나타낸다.

) 여성학은 생물학적 구조를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러한 구조를 통해서 구분하는 것에 반대한다.

) 사회문화적인 영향이 남성적, 여성적으로 구분을 하게 되는데 사회문화적 환경을 통해 이러한 기질들이 습득, 형성 되어진다. 왜냐하면 사회적인 훈련과 학습이 기질을 변화시키기 때문이다.

) 운동론적, 남성적 기준이 아닌 여성적 입장의 기준이 되며 개념 되어 진다.

) Gender에 대한 연구는 여성학의 출발점으로써 성차별을 이야기 할 때 성 형성 -> 성적권력 관계를 형성 -> 남자와 여자와의 차등 -> 성차별 순서로 분석하는데 사용한다.

 2) 성차별 구조적 원리

  . 가부장제

   ) 남성이 여성에 비해 댓가 즉 권위를 갖게끔 하는 장치를 말한다.

   ) 가부장제는 아버지에 의한 지배라는 뜻의 어원으로 가족의 대표인 아버지의 일방적인 권위와 지배체계를 지니는데 남성이 일방적으로 우위에 점하고 권위와 지배함에 여성이 의존하고 종속하는 체계이다.

) 사회적으로 취업, 월급 그리고 주장하는 것에 있어서 남성이 여성보다 우월하다는 인식이 있다. 또한 성행위를 보았을때 남성은 주도적이고 여성은 수동적이어야 한다는 인식이 있다.

) 여성의 입장으로써 척결되어져야 할 대상이다.

) 남성은 이 제도에 대한 희생양으로 보여진다. 능력평가를 받지 못하는 남자로써 부담감이 생기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제도는 역할차등 체계 동시에 경제적 차등과 차별 및 체계를 유발한다.  

) 집안과 집밖에서 우월해야한다는 가부장제 자본주의의 모습을 보여준다.

 . 성별분업

)사회에서 인정되어지는 남성과 여성의 일은 차이가 있다는 인식을 말한다.

) 남성은 사회적 영역으로서 생산의 주체적 역할을 하고 여성은 사적의 영역으로써 소비의 주체적 역할을 담당한다는 인식이다. 남상이 생계 담당을 하고 여성은 가사담당을 해야 한다는 인식으로 여성을 억압하는 귀재로써 사용되어진다.

) 남녀 임금 격차에 당연한 논리로 작용한다. 이는 유보수의 남성이 무보수의 여성에 따른 사회적 위치로써 남성이 우월하다는 논리를 심어준다.

 

6. 등장인물 소개

1) Clive

. 1막의 주인공

. 언뜻 보면 그는 영국의 귀족처럼 보인다. 다른 어느 것 보다 자신의 의무를 나라에 받치고 그에게 의지하는 모든 이들이 자신의 의지대로 행동하기를 기대한다.

. 성역할은 명백히 정의되어진다고 믿고 그의 아들 Edward가 자신처럼 남성적이기를 기대하며 다른 경우를 인정하기를 거부한다.

. 거의 매일 그의 가족이 예의바르고 변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노력한다.

. 아프리카인은 영국의 훈련에 길들어질 수밖에 없는 “savages"라고 믿는 인종차별주의자이다.

. 부인인 Betty에게 강요했던 충성심을 무너뜨리며 Saunders 부인과 바람을 피게 된다.

2) Betty

. 1

) Betty는 남성에 의해 연기되어 진다.

) 대부분의 시간을 혼란에 빠져 보내며 스스로는 어떠한 결정도 내리지 못하는 인물이다.

) 그녀는 자신의 삶의 방향을 제시해 주는 남편인 Clive에게 전적으로 의지한다. 그러나 Betty는 모험심을 잃지 않는다. 그녀는 Harry와의 관계를 꿈꾸며 그녀의 삶의 밖의 삶은 어떨까에 대해 궁금해 한다. Betty는 그녀의 가족에 대한 의무와 로맨스에 대한 갈망 사이에서 붙잡혀 머물러 있는 것이다.

. 2

) 새로운 Betty가 새로운 배우에 의해 연기된다.

) 그녀는 독립심을 얻으며 이 극의 주인공으로 나아가게 된다. 하지만 이 Betty는 늙었으며 장황한 말로 늘어진 강연을 하거나 쓸데없는 의견을 내놓는 경향이 있다.

3) Edward

. 어린 나이에 Edward (1막에서는 여성에 의해 연기되어짐)는 여성스러운 것들을 좋아하는 경향과 다른 남성들에게 매력을 느끼는 것을 발견하게 된다.

. 그는 보수적인 아버지인 Clive가 두려워 그가 갈망하는 것들을 참는다. 이러한 두려움은  가라앉지만 Edward가 성장하면서 그 두려움은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는다.

. 2막에서 나이가 든 Edward (남성에 의해 연기됨)는 그가 어머니와 아내의 역할에 적합하다는 것을 알아차리게 된다.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주장하는 것에 대해 어려움을 겪는다.

4) Victoria

. 1막에서는 중요한 인물이 아니었지만 (그녀가 인형으로 연기되어서 일 것임) 2막에서는 극의 주요 인물로 나타난다.

. 그녀의 가족들처럼 Victoria는 의존하는 경향이 있지만 자기 의존적일 때도 있다.

. Victoria는 주로 대립적이지 않고 중재자의 역할이 되기를 원한다.

. 그녀는 정체성을 찾아나가는 과정에서 고통과 불확실성을 느끼게 된다.

5) Harry Bagley

. 표면적으로 Harry는 영국의 탐험가로서 영국의 용기와 발견을 나타내는 인물이다.

. 탐험가로서의 호평은 성도착자의 모습을 숨겨준다.

. 그는 동성애에 대한 박해를 피하기 위해 자신의 자유를 희생한다.

6) Saunders 부인

. Saunders부인은 과부로 여성이 책임감 있는 어머니와 아내로 기대되어지는 세상의 독특한 주권을 나타낸다.

. 그녀는 자신의 성욕을 휘두르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고 그녀가 만나는 남성들로부터 존경심을 얻게 된다.

.  Saunders부인은 정당성을 가지고 있으며 영국의 전통과 식민주의자들의 습관을 쉽사리 받아들이지 않는다.

7) Lin

. Lin은 레즈비언이며 이러한 사실을 남들이 아는 것에 대해 두려워하지 않는 인물이다.

. 그녀의 전투적인 성향 아래 Lin은 상처를 받고 그녀가 좋은 엄마가 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나에 대해 불확실해 한다.

. 처음엔 그녀는 엉뚱하고 고집이 셌지만 그녀가 관심을 가지는 이들에게는 내면을 헤아릴 수 있도록 허락한다.

8) Martin

. 성에 사로잡힌 Martin은 생각하는 것을 좋아하며 그녀의 아내인 Victoria와의 관계를 긴 연설로 해결하려고 하는 경향이 있다.

. Martin은 종종 그의 성 생활에 대해 지나치게 생각하여 무능함과 좌절감을 느낀다.

9) Ellen

. Ellen Edward의 가정교사이며 Clive의 가족에 대한 강한 의무감을 가지고 있다.

. 그녀는 Clive의 가족들에게 의존적이며 내버려질까 두려워한다.

. Ellen도 그녀의 성욕을 성취하려 하고 때로는 초조하게 Betty에게 그녀의 매력을 시험한다. . Ellen은 자신의 욕망을 그녀의 삶에서 만족시키지 못하고 불행한 인물로 남아 있다.

10) Gerry

. 성관계가 문란한 동성애자인 Gerry는 오랫동안 한 곳에 머무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 Gerry는 교우 관계를 원하지만 자신의 자유를 포기하기는 꺼린다.

11) Joshua

. 진실하고 의지할 수 있으며 책임을 다하는 Joshua는 완벽한 하인으로 나타난다.

. 그는 Clive와 함께하려는 사람들을 배반한다.

. Joshua의 충성심 아래에는 분노가 끓고 있다. 그는 개인적인 것을 얻기 위해 충성을 다하고 그의 진짜 가족이 위험에 직면할 때 그의 충성심은 끝이 난다.

12) Cathy

. Cathy 5살의 어린 여자아이로 남성에 의해 연기되어 진다.

. 그 나이에 Cathy는 부적합한 단어나 문구에 대해 놀랄만한 지식을 가지고 있다.

. 그녀는 적대심을 가지고 있는 것 같아 보이며 이는 가끔 감정이 분출할 여지가 있어 보인다. 이러한 성향은 부분적으로 그녀의 엄마 Lin이 그녀를 떠날 것이라는 두려움에서 나오는 것이다.

13) Maud

. 항상 전통주의자인 Maud는 주변에 있는 여성들에게 자신처럼 행동하라고 조성한다.

. 그녀의 가족들이 조화를 이루지 못할 때 그녀는 변덕스러운 경향을 가지고 있으며 “그녀가 가장 잘 알고 있다고” 강요한다.

. Maud는 여성은 집을 돌보며 남편을 섬기고 공경해야 한다는 생각을 고수한다.

. 그녀는 선의를 가진 어머니이며 할머니 이지만, 그녀의 가치는 귀가 먹으므로 진부해진다.

7. 줄거리

. Act 1 : 안정된 구조는 열정과 무질서(혼란)을 생산

) 배경은 영국령 아프리카 식민지의 어느 곳이며, 이 공간은 가부장 제도가 숨 막히게 모든 것 위에 군림, 지배하고 있는 곳이다. , 부부 사이의 이성애가 강조되고 그것만이 영원한의 관계로 인정된다. Clive는 남편으로, 아버지로, 주인으로, 그리고 식민지 종주국의 총독으로서 이곳을 다스린다. 당연히 여성들의 자리는 위축, 종속되어 노예와 같다.

) Clive의 아내 Betty는 그와의 관계에서 행복 할 수 없고, 탐험가이자 Clive의 친구인 Harry를 좋아한다. 하지만 Harry는 동성애자로서 자신의 동성애적 취향을 Clive에게 고백한다. 이곳에서 동성애자인 Harry는 질병에 걸린 상태, 혹은 나면서부터 불구인 상태로 묘사되고 있으며 동성애는 치욕과 범죄로 여겨진다. Clive는 그 치료책으로 또 다른 동성애자인 가정교사 Ellen과의 결혼을 권한다. 그런데 가정교사 Ellen은 여성동성애자로서 Betty를 좋아한다. 그러나 Betty가 그녀의 마음을 받아 주지 않자 결국 EllenHarry의 구혼을 받아들이게 된다.

) 어린 아들 Edward는 남자 아이지만 여성적 취향을 가지고 있어 인형과 놀기를 좋아하며 Harry와 성관계를 맺는다. 아버지인 Clive로부터 남자아이로 자랄 것을 강요 받지만 자신의 성적 취향을 억제하지 못한다. 딸인 Victoria는 심지어 이리저리 던져지는 인형으로 무대에 등장하는데 이는  인격 자체가 없는 여성의 존재 위치를 잘 표현해 주고 있다.

) 1막의 희극적 분위기는 희극의 구성을 따르는 것처럼 보이지만 다른 불안한 상황이 계속 끼어든다. 원주민들의 저항 움직임, Harry와 어린 Edward와의 관계, Harry와 하인 Joshua와의 관계, EllenBetty에 대한 동성애적 사랑, 그리고 CliveMrs. Saunders의 혼외정사 등이 그렇다. 그러다가 1막은 희극의 전형적 결말인 결혼으로 끝나게 되지만 그렇다고 해피엔딩은 아니다. 오히려 JoshuaClive를 총으로 쏘는 것과 HarryEllen의 결혼은 이 억압적 가부장 사회에 대한 통렬한 패러디라고 할 것이다.

. Act 2 : 변화무쌍한 구조는 무기력감과 권태감을 생산

) 배경은 현대의 영국 런던으로 100년이 지났지만 인물들은 25년 정도만 나이를 먹었다. 현대 사회로 옮겨오면서 1막의 억압과 금기는 많이 풀린다. 동성애도 자유롭고 남녀 간의 사랑도 자유로운 듯하다. 그러나 아직 완전한 해방은 아니며 여전히 노력과 실천이 요구된다. 공간, 시간, 정체성이 변화되며 배경, 시간, 담화구조의 차이점들은 각각의 연극의 상황을 조절하면서 균형이 맞추어져 있다. 2막은 인물들이 성과 자유의 조화를 어떻게 노력하고 실천해 나가는지를 펼쳐 보여준다.

) VictoriaEdward는 성인이 되었고 Betty는 초로에 접어들었다. 새로운 인물들인 Victoria의 남편 Martin, Victoria의 여자친구 Lin, Lin의 딸 Cathy, 그리고 Edward의 남자친구 Gerry가 등장한다.

) 1막에서 인형으로 등장했던 Victoria가 주인공으로 등장한다. Victoria 1막의 인형으로 묘사되던 Victoria와는 달리 활동적이며 진취적인 여성이다. Victoria의 친구 Lin은 남편과 이혼하고 혼자 딸인 Cathy를 키우고 사는데 그녀는 동성애적 취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LinVictoria 살면서 자연스럽게 Victoria와 관계를 맺는 사이로 발전한다.

) Edward는 공원에서 조경사로 일하며, 그의 남자친구인 Gerry와는 동성애적 사랑을 나누는 사이이다. 극이 진행되면서 Gerry는 갈수록 여성적 면모를 보이는 Edward에게 싫증을 낸다. Edward는 자신의 여동생 Victoria와 그녀의 친구 Lin과 함께 살면서 변하게 되는데, 이제 더 이상 여성적 취향을 가진 남성이 아니라 하나의 인격적인 주체로서 양성적 성향의 인물로 변모하게 된다.

) Betty는 이제 남편인 Clive와 이혼하려고 한다. 처음에는 혼자가 된다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나 경제적으로 독립적인 자아의 여성이 됨으로서 가부장적 체제에서 순응하는 여성에서 벗어나 진정한 자아를 찾게 되고 마지막으로 1막의 Betty와 포옹하면서 극은 끝이 난다.

 

 

 

 

 

 

 

 

 

 

 

 

 

 

 

 

 

 

 

8. 등장인물 관계도

1) 1

                                                    










클나5
클나-클라이브
클나-베티
클나-2장1

 

 

 


                          

                                                           

                                                결혼

 

 

 


    Mrs. Saunders              Clive                      Betty             Maud

                    ?          ?                                         

                                                














클나-게이남
클나-흑인
클나-에드워드

클나-2장3

 

 

 

 


                  

 

 

 

 

       Harry               Joshua           Edward     Victoria          Ellen

                                                  결혼                             

 

 

 

 

 

 

 

 

 

 

 

 

 

 

 

2) 2

클나-2장4        Clive                                     Betty

                    

                                

                

 












클나-2장5여자애
린
빅토리아
마틴






 

 

 

 


                                        

 



에드워드
 

 

 


    Cathy               Lin                            Victoria                Martin

 

                                                  



 


                             Edward                                   Gerry

 

9. Betty의 성 정체성

. Churchill은 성의 구조를 무너뜨리는 동안 Gender를 신체와 Sex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Gender를 더욱 분명하게 만들었다.

Betty : 저는 Clive를 위해 살아요. 제 인생의 목표는 오로지 그가 원하는 부인으로 사는 것이에요. 여러분들이 보시다시피 저는 남자의 창조물이에요 그리고 남자들이 원하는 것이 바로 제가 되기 원하는 것이에요.

. Betty는 작품의 주제를 그대로 드러내는 인물이다. 1막에서는 가부장 체제에 가장 성공적으로 자신을 적응시키고 있는 훌륭한 아내이다. 그러나 그녀의 내면은 혼란에 빠져 있다. Clive를 속이는 데도 철저하지 못하며, Harry를 사랑하지만 그와 도망치지도 못한다. Ellen이 사랑을 고백해도 그것을 그저 우정 정도로 생각한다.

) 남성에 의해 연기되어 지는데 이는 동성애 공포를 가지고 있는 그녀의 남편인 Clive가 그녀를 안아줄 때 나타나는 아이러니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이다.

) Betty는 가부장제의 가치관에 자신을 적응시키려하며 그것을 받아들인다. 또한 자신이 남성의 창조물이라는 것을 알면서도, 그녀가 되고 싶은 것은 남편과 남자가 원하는 모습의 여성이다. 이는 여성의 모습은 단순히 여성이 만들어 가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강요되고 있으며, 여성 스스로도 자신의 정체성을 찾기보다는 학습된 역할에 자신을 맞추고자 노력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Clive : I am a father to the natives here, and father to my family so dear.

My wife is all I dreamt a wife should be,

And everything she is she owes to me.

Betty : I am a man's creation as you see,

And what men want is what I want to be. (p. 1)

) Ellen Betty

 EllenBetty에게 좋아한다고 고백하며 함께 있고 싶다고 표현하는 장면에서, Betty는 그녀에게 결혼과 출산, 육아 등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의무만 강조한다. 미혼여성에게도 자신과 마찬가지의 Gender의 정체성을 수행할 것을 제안하고 있는 셈이다.

Ellen : I don't want another place, Betty. I want to stay with you forever.

Betty : If you go back to England you might get married, Ellen.

Ellen : I don't want a husband. I want you.

Betty : Children of your own, Ellen, think.

Ellen : I don't want children. I don't like children. I just want to be alone with you, Betty, and sing for you and kiss you because I love you, Betty.

Betty : I love you too, Ellen. But women have their duty as soldiers have. You must be a mother if you can.

) Maud Betty

 아버지는 딸인 Betty에게 인내할 것을 가르치고, 이는 그녀의 어머니에게서 배운 것이다. 여성의 행복을 단지 성공적인 결혼에서 찾으려는 것 또한 가부장적 체제 하에서의 잣대이며, 이는 여성에게 남성을 위해 가정에서 희생하는 대가로 안정된 가정생활을 제공하는 듯 보이나 사실, 이러한 가정 내에서의 아내로서의 역할, 어머니로서의 역할, 딸로서의 역할은 여성에게는 보상이라기보다는 다른 억압의 기제로 작용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여성은 지루한 일상에서 벗어나 자아를 찾고자 한다.

Maud : You are looking very happy tonight. You were such a success as a young girl. You have made a most fortunate marriage.

Betty : What a long time they're taking. I always seem to be waiting for the men.

Maud : Betty you have to learn to be patient. I am patient. My mama was very patient. (9-10)

) Harry Betty

a. Betty는 남편에게 묻혀 안락한 생활을 하는 것이 아니라 모험을 하고 싶어 한다. , 가부장제의 이데올로기는 여성에게 여성으로의 일종의 의무를 부과함으로 여성의 사회로의 진출을 가로막을 뿐 아니라 사회가 아닌 가족 내에서 여성의 정체성을 찾도록 부추긴다.

b. Betty가 남성의 배우에 의해 연기된다. 따라서 Betty Harry는 사회적으로 문화적으로 역할로써 성이냐 생물학적으로 성이냐에 보여지는 것에 따라 그들을 이성애자 또는 동성애자 커플로 보여준다. 이러한 복잡한 관계를 통한 주체와 객체의 모호함은 배우와 관객들에게 주관성을 가진다. 이는 열린 주제를 가지게 한다.

Betty : When I'm near you it's like going out into the jungle. It's like going up the river on a raft. It's like going out in the dark.

Harry : And you are safety and light and peace and home.

Betty : But I want to be dangerous.

) 전면적인 극화는 우리로 하여금 육체, 정신, 생각, 그리고 감정을 더 깊이 있게 각성하도록 만들어 준다. 이를 통해 자각의 참모습이 거울에 드러나듯이 그대로 드러난다. Stoppard의 경우에서 우리가 보았듯이 거울로서의 연극의 본질은 거울이다. 이는 마치 자각의 본질적인 요소가 자각인 것과도 똑 같은 것이다. 연극은 색즉시공, 공즉시색의 원리를 거울처럼 보여준다.

) Edward Betty

 BettyEdward에게 인형을 갖고 놀지 말라고 하며 인형은 여자아이들이나 가지고 노는 것이라고 한다. 또한 학교에서 다른 아이들이 인형 가지고 노는 것을 알게 되면 Edward를 노는데 끼워주지도 않을 것이며 아버지처럼 될 수 없다고 말하고 있다. 아버지처럼 되고 싶지 않다는 Edward의 대사를 통해 남자아이들도 그들의 의지보다는 부모, 어머니로부터 남자다워질 것을 강요 받고 있다고 볼 수 있다.

Betty : Edward, I've told you before, dolls are for girls. You must never let the boys at school know you like dolls. Never, never. No one will talk to you, you won't be on the cricket team, you won't grow up to be a man like your papa.

Edward : I don't want to be like papa. I hate papa.(30)

) Clive Betty

 Clive는 여성이 성적 즐거움을 찾으려는 행위를 나약함과 어두운 여성의 욕정으로 규정하면서 이것을 억제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여성을 파괴한다고 표현하고 있다. 이것은 여성의 성적 규제를 통한 여성의 행동 통제의 수단으로 작용하며 가부장 중심의 남성 지배를 뒷받침하고 있다. 그러나 CliveMrs. Saunders과 외도하는 것은 Betty와의 관계에서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으며 이는 다만 모든 남성이 지닌 보편적이고 본능적인 욕구라고 생각되어진다. 이러한 남성 중심의 성문화는 몇 세기에 걸쳐 존속해 오면서 현재에도 당연한 진리로 받아들여지고 있으나 이는 엄격한 의미에서는 인간이 만들어낸, 인간의 사고를 지배하는 관념이라 할 수 있다.

Betty : It is my wickedness. There is something so wicked in me, Clive.

Clive : I have never thought of you having the weakness of your sex, only the good qualities.

Betty : I am bad, bad, bad -

Clive : But you must resist it, Betty, or it will destroy us. We must fight against it.  We must resist this dark female lust, Betty, or it will swallow us up.(33-34)

. 1막에서는 유형적 인물로 등장하던 Betty 2막 부터는 점차 변화한다. 2막의 Betty는 남편이나 어머니에 대한 의존성을 극복하고 전통적인 여성인 모드의 걱정과 경고에 대해 오히려 반론한다. 그녀는 가부장제의 가치관인 ‘정숙한 여성되기’에서 해방되어 자신에 대해 새로운 인식을 하면서 참된 자아를 찾아가고 있다. 이러한 성적인 해방은 그녀의 몸에 대한 새로운 인식 뿐 아니라 자기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하게 한다. 이것은 여성의 몸과 성에 대한 억압이 그 안에만 국한된 지배가 아니라 여성의 정체성까지 지배하고 있다고 해석해 볼 수 있는데, 몸과 정신이 따로 떨어져서 파악될 수 없는 개인을 구성하는 한 덩어리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 여성이 자신의 몸에 대한 권리로부터 자유로워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를 통해 작가는 여성의 인식변화가 여성 스스로의 자각을 통해 먼저 선행되어야 함을 말한다.

) Betty Clive만이 sex를 즐길 수 있고 자신은 그래서도 안되며 그럴 수도 없다고 생각했고 Harry와의 관계에 있어서도 그녀는 자신의 내부에 악한 것이 존재한다고 생각했다(33-34). 그러나 지금의 그녀는 자위행위를 통해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을 뿐 아니라 승리감을 맛보았다고 말한다. , 자신을 타인에게 종속된 존재가 아닌 하나의 독립된 객체로 인식하게 된 것이다.

Betty : I used to think Clive was the one who liked sex. But then I found I missed it. I used to touch myself when I was very little, I thought I'd invented something   wonderful. ...... I was there and coming and coming. ...... I felt triumphant         because I was separate person from them.(82-83)

) 자신을 억압하고 있던 틀을 깬 Betty는 자식들에 대해서도 억압하려 들거나 자신의 가치관을 학습시키려 하지 않는다. Betty의 이런 변화는 자신이 학습한 가부장 문화를 자식에게 가르치려는 Maud와는 상반된 것으로 나타난다.(82) 그녀는 자녀들의 다양한 성적인 정체성을 받아들이고 있는 데 여기에는 다양한 성적 선호 및 가치관이 받아 들여져야 한다는 작가의 생각이 드러나 있다고 하겠다.

Betty : I don't understand Edward but never mind. Well people always say it's the mother's fault but I don't intended to start blaming myself. He seems perfectly happy.(87)

. Betty의 변화는 여성들의 개인적 자각을 의미한다는 점에서 클라우드나인의 주제를 말하는 인물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 극은 1막의 Betty 2막의 Betty가 서로 포옹하면서 끝나고 있다. 이는 기존 가부장적 체제와 극에서 제시되고 있는 성 해방의 여러 기제가 서로 조화를 이루어 새로운 사회를 만들어야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고 하겠다.

 

10. 주변인물의 성 정체성

1) Clive

. Victoria 시대의 영국의 정치적 이상을 신봉하는 한 가족의 가장이자 아프리카 식민지의 원주민을 통치하는 절대 권력의 가부장이다. 그에게 있어 가족과 하인은 일종의 재산, 소유물로 인식되고 있다. 가족의 구성원들은 당시 Victoria 시대가 요구하던 가장 모범적이고 전형적인 사람들이다. 자녀를 생산할 수 있는 이성 부부, 절대적 권력의 집행자인 백인남성, 그에게 복종하는 여성과 어린아이이다.

. 이 사회에서 Clive는 가정의 아버지이자 남편이자 주체이다. 즉 그는 가부장제도의 가장이고 자신의 국가를 위해 식민지를 다스리는 대표로서 주변의 질서를 자신의 제도에 맞추도록 강요한다. 심지어 아이들의 이름도 EdwardVictoria로 왕가의 이름을 붙임으로써 가정과 국가를 연결시키고 있다.  개인, 사회, 그리고 정치에 관한 모든 통제가 그에게 집중되어 있다. (Mrs. Saunders Clive 관계)

. Clive의 대사는 엄격할 정도로 공식적이며 다른 인물들의 노래가사 역시 가정과 국가의 유대 및 질서를 찬양하는 웅장한 노랫말이 대부분이다. Clive는 체구가 크고 수염이 난 Betty에게 작은 비둘기라고 부르면서 애정을 표현한다.

. 극중에서 Betty Clive에게 훌륭한 아내이며, Clive의 애정표현은 남녀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이성 관계이다. 하지만 관객들에게 작은 체구의 남성 Clive와 건장한 남성 Betty의 모습으로 보여지게 된다. 섬세하고 감수성이 예민한 Betty의 역을 남성이 하게 됨으로써 유발되는 웃음의 이면에는 타고난 성과 사회로부터 부여받게 되는 성 역할의 차이에 대해 인식하고 생각해 보게 하는 의의가 내재되어 있다. 결국 성 역할은 태어날 때부터 타고난 것이 아니라 사회적 관습에 의해 만들어진다는 것을 제시해주는 것이다.

Clive : […]And what has my little dove done today?

Betty : I’ve read a little.

Clive : Good. Is it good?

Betty : It’s poetry.

Clive : You’re so delicate and sensitive.

Betty : And I played the piano. Shall I send for the children?(253)

. Clive는 무엇보다 여성은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보고 항상 자신이 보호해 주어야 할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그는 가정은 물론 나라의 안전과 평화를 위해 Betty와 가족들에게 성 도덕을 강요하고 성과 인종적 억압을 가한다.

. Mrs. Saunders Clive

 ) Clive 자신은 성 도덕을 무시한 채 Mrs. Saunders와 혼외정사를 즐긴다. Clive Mrs. Saunders과 혼외정사를 즐기고 난 후 , 스커트 속에서 나오자 마자 그는 가족들에게 가족과 제국의 소중함에 대하여 연설하면서 제국주의적 의식을 불러일으키는 이중적인 모습을 보인다.

[He has been caressing her feel and legs, He disappears completely under he skirt.][…]

Clive : All right, are you? Come on. We mustn’t be found[…]

Clive : […]Tidy yourself up. There’s a hair in my mouth[…]

Clive : And now the moment we have all been waiting for.

[Clive opens champagne. General acclaim.]

Clive : All rise please. To Her Majesty Queen Victora, God bless her, and her husband and all her dear children.

All. The Queen (263-64)

) 마음에 드는 누구에게나 식민주의자 처럼 언어적 권력을 이용하고 언어와 욕망을 통제하여 아버지의 상징으로서 그의 초인적인 권리를 강요한다. 여성에 대한 가부장적인 생각과 서유럽사람들의 아프리카 에 대한 식민주의 생각과 유사하다.

   a. Mrs. Saunders은 거절하려고 하지만 헛된 수고였고 복종을 하자 Clive는 만족을 한다.

[He (Clive) has been caressing her feet and legs. He disappears completely under her skirt.]

Mrs. Saunders: Please stop. I cant concentrate. I want to go

home. I wish I didnt enjoy the sensation

because I dont like you, Clive. I do like living

in your house where theres plenty of guns. But

I dont like you at all. But I do like the

sensation. Well Ill have it then. Ill have it, Ill

have it

[Voices are heard singing The First Noel.]

Dont stop. Dont stop.

[Clive comes out from under her skirt.]

Clive: The Christmass picnic. I came.

Mrs. Saunders: I didnt.

Clive: Im all sticky.

Mrs. Saunders: What about me? Wait.

Clive: All right, are you? Come on. We mustnt be found.

Mrs. Saunders: Dont go now.

b. Mrs. Saunders를 향한 그의 음탕한 바램을 억압함으로써 로맨틱한 말을 모방하여 과시한다.

Caroline, if you were shot with poisoned arrows do you know what Id do? Id do? Id fuck your dead body and poison myself,. Caroline, you smell amazing. You terrify me. You are dark like the continent. Mysterious. Treacherous

. 1막에서 Clive역을 했던 남성 배우가 2막에서 여아 Cathy 역을 맡게 된다.

2) Joshua

. 흑인 하인 Joshua는 백인에 의해 연기된다. Churchill Joshua를 흑인으로 규정하고 있지만 백인 배우가 연기하게 함으로써 관객에게 의도적인 거부감을 유도한다. 즉 백인과 흑인을 시각적으로 교차시켜 관객을 혼란에 빠뜨리고 그로 인해 관객들이 거부감을 느끼게 한다. 따라서 백인의 흑인에 대한 억압이 얼마나 부자연스러운 것인지를 인식하게 한다.

. 그는 자신의 정체성을 억압당하고 식민지 가치를 내면화 하고 있다. 심지어 자신의 흑인 종족, 나아가 친부모까지 혐오하며 철저하게 백인화 되어 살고자 한다. 이는 Joshua의 부모가 영국 군인들에 의해 살해 당하는데 Clive는 단지 간단히 사과만 하 고, Joshua는 자신의 감정을 보이지 않으며 오히려 Clive에게 (You are my father and mother)(284)라고 말하는 것과, 부모의 장례식에도 그들이 “Bad people(284)이었다고 하며 가지 않는 장면에서 잘 드러난다.

. Joshua의 등장 장면을 통해서도 사회에 의해 강요된 성 역할이 얼마나 모순적이며 불합리한가를 알 수 있다.

Joshua : My skin is black but oh my soul is white.

I hate my tribe. My master is my light.

I only live for him. As you can see,

What white men want is what I want to be.(4)

. Joshua는 결국 지금까지 억압의 역사를 살아왔음을 인식하게 되고 그의 주인 Clive에게 방아쇠를 당긴다. 총을 겨눈 장면을 유일하게 Edward만이 보았지만 그는 두손으로 귀를 막을 뿐,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3) Edward

. Edward Clive가 장악하고 있는 백인 가정의 어린 아들이다. 이 역은 성인 여성배우가 맡고 있는데 이는 Edward가 여성성 기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남성이 되도록 강요받고 있다는 사실을 강조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것은 소녀로써 올바른 행동이 무엇인가에 대한 관심사가 반영된 이슈들을 좀 더 명확히 보여주고 있다.

Clive   : My son is young. I’m doing all I can.

To teach him to grow up to be a man.

Edward : What father wants I’d dearly like to be.

I find it rather hard as you can see.(4)

. 극의 가장 첫 장면에서 Clive가 소개를 할 때 드러나듯이, 그가 성장해 나가면서 이루어야 할 목표는 “a man”이 되는 것이다. 정상적인 성인으로서 성장한다는 것은 내면적 특성보다는 기존 사회의 고정화된 성별 범주에 따라 형성되어 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런데 Edward는 여성 배우가 연기를 함으로써, 그 성 정체성에 이미 문제점이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Edward는 자신을 소개하는 Clive의 말에 뒤이어 “I find it rather hard as you can see.”라고 말을 하는 것이다.

. Clive는 아들 Edward를 다음 세대의 가부장으로 키우기 위해 온갖 노력을 기울인다고 하지만, 이러한 아버지의 역할 기대를 Edward는 교묘히 감추려고 노력했다. Edward는 여성적 취향의 소년으로 인형놀이를 좋아하며 Harry를 사랑하는 동성애자이다.( 숨바꼭질을 하는 도중 Harry에게 “Harry, I love you.”라고 고백을 한다. 그리고 아주 노골적으로 성적인 접촉을 요구하는데, 그 둘의 대화에서 우리는 이미 과거에 그 둘 사이에 어떤 관계가 형성이 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 여성배우가 남성역할을 억지로 하려는 모습이 매우 인위적이고 부자연스러운 것처럼, Edward가 타고난 여성성을 억누르고 사회가 요구하는 남성의 역할을 억지로 하려는 모습 역시 매우 인위적이고 불합리한 것이다. Edward의 이러한 불합리성은 극을 통해서 아주 뚜렷하게 나타난다. 그의 타고난 여성성은 남자아이들이 즐겨하는 말타기나 공던지기보다는 여자아이들이 좋아하는 인형놀이를 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러나 아버지 Clive를 비롯해 교육제도를 통해 남성의 이데올로기를 그대로 답습한 어머니 Betty ,가정교사 Ellen,할머니 Maud Edward의 여성적인 기질을 없애기 위해 사회의 틀 속으로 밀어 넣는다.자아와 어른들이 요구하는 실체 속에서 그는 계속 갈등한다. 다음과 같이 자신의 성향을 죄로 취급하면서 실제 모습을 숨기고 억누른다.

Edward : Papa, Ellen tried to lock me in the nursery.

Mama is going to tell you of me.

I’d rather tell you myself. I was playing with Vicky’s doll again

and  I  know it’s very bad of me. And  I said I didn’t want to be

like you and I said I hated you. And it’s not true and I’m sorry,

I’m sorry and please beat me and forgive me.(42)

) Edward는 자신의 타고난 성향을 구속하며 아버지의 법에 따라 살아가려는 마음으로 인해 혼란과 고통을 당한다. 아들이 아버지에게 말하는 가족의 말투가 아니라, 고양이 앞의 쥐처럼 군림자 앞에서 무조건적으로 복종할 수 밖에 없는 어린 백성의 목소리다.

. Edward는 후에 총격을 당한 Clive를 지켜보는데 여지껏 Clive에게 행했던 태도와는 달리 총에 맞은 아버지를 지켜볼 뿐이다. Edward는 많은 변화를 보여주는 인물로서, 처음엔 선한 인물로 제시되다가 부도덕하며 교활한 인물로 끝을 맺는다.이는 자신의 여성성 기질을 억누르면서 아버지의 제도에 따라가야만 했음에 대한 내면적 욕구의 분출의 한 예를 드러내 주는 것이다.

. 2막에서 Edward는 양성적 정체성을 가지고 있는 대표적인 인물로 설정된다. 그는 자신의 성적 정체성에 혼란을 겪고 있으며, 동성 연인인 Gerry와의 관계에서 이성간의 결혼으로 이루어진 부부간의 관계를 원하지만 거절당한다. Edward는 여성적 역할에 익숙해져 여성적 경향을 강하게 드러낸다. Edward는 어릴 적 경험했던 부모의 모습으로 인하여 Gerry에게 전형적인 아내의 모습을 실현하려고 한다. Edward는 생물학적으로는 남성이지만 하고자 하는 사회적인 역할은 동성연애자로서 여성으로 성적 정체성과 성 정체성이 일치하지 않는 인물이다. EdwardGerry의 아내로써의 삶을 원하지만 Gerry와 쉽게 타협이 안 되자 Victoria와 함께 서로 남자들에게 싫증이 났음을 고백한다. 결국 Edward는 자신을 레즈비언이라고 부름으로써 자아 정체성의 혼란을 가져오게 된다.

Edward : I’m sick of men.

Victoria : I’m sick of men.

Edward : I think I’m a lesbian.(307)

. Edward의 여성적 성향은 2막의 후반에 접어들면서 변하게 된다. EdwardGerry에게 여성들과의 삶에 대하여 말하며 지금까지 여성이 되고 싶어했던 자신의 성향이 바뀌었음을 고백한다. EdwardGerry에게 더 이상 Gerry의 아내로써의 역할을 원하지 않으며 새로운 가족을 이루면서 지내길 원한다. Edward Lin Victoria의 여성 공동체에 여성으로 동참하게 된다. Edward는 그들과 한 침대를 쓰면서 두 여자의 아이들을 돌보고 집안 일을 하게 된다. 더 이상 EdwardGerry에게 자신의 여성적 성향을 보이지 않는다. 결국 그는 여성들과 함께 가족을 이루며 살고 있으며 과거에 여성이 되고 싶어했던 자신의 성향이 바뀌었음을 고백한다.

Gerry : Whose wife are you now then?

Edward : Nobody’s. I don’t think like that any more. I;m living with some women.[…]

Gerry : What women?

Edward : It’s my sister,Vic, and her lover. They go out to work and I look after the kids.

Edward : we do sleep together, yes.(315)

4) Victoria

. 1막에서 말 못하는 인형으로 등장한다. 그녀는 가부장 사회에 의해 만들어진, 인격이 없는 존재이다. Clive Betty와 인형을 던져주고 넘기고 이를 다시 Ellen에게 넘겨준다. Clive가 말 못하는 Betty에게 오늘 밤 별로 말이 없다고 말하는 장면(Not very chatty tonight are we?)은 매우 우스꽝스러우면서 아이러니컬한 장면을 연출하게 된다. 인형이 Victoria 역을 함으로써 관객들에게 웃음을 던져 주는 동시에 가부장제에서 어린 여성의 위치에 대하여 암시해 준다.

. 2막에서 Victoria는 날카로운 비평의 안목을 가진 페미니스트가 되었다. 2막이 시작되면서 Lin Victoria 에게 성 관계를 요구하지만 Victoria가 자신의 남편인 Martin을 의식하면서 결정하지 못한다. (I dont know what Martin would say. Does it count as adultery with a women?)  Victoria는 기존의 전통적인 관습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하여 혼란을 겪게 된다. 하지만 Victoria Lin과 대화하면서 점점 페미니즘적 사고방식을 확고하게 가지게 되면서 페미니즘적 사고를 행동으로 옮기기 시작한다. 결국 Victoria Martin을 떠나 Lin과 함께 살 것을 결심한다.

5) Harry

. Clive의 친구로 탐험가이며 동성애자이다.그는 여성을 사랑하면서도 남성과 성 관계를 선호하는 Victoria 시대 위선적인 남성을 대표한다.

. Betty, Edward, Joshua와 각각 관계를 맺으며 이들에게 심리적 억압을 가한다. 그는 Betty와의 관계를 유지하면서 Joshua와는 동성애적인 관계에 있다. 성에 대한 그의 태도는 이중적이다. 그는 Joshua뿐만 아니라 Edward와도 동성애 관계를 맺는다. 당시 Victoria 시대에 억압받던 동성애를 실제 행동으로 옮기는 Harry의 행동은 제국주의를 대표하는 Clive의 권위에 도전하는 것이다.

. 그는 자신의 동성애를 숨기기 위해 Betty를 유혹한다. 그리고 흑인 하인 Joshua에게는 자신의 지위와 힘을 이용하여 성관계를 요구한다. Harry Joshua에게 선택의 여지가 있다고 생각하지만, Joshua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Joshua는 백인의 힘에 굴복함으로써 힘을 가진 백인을 만족시켜야 한다고 믿는다. 이렇게 Harry는 성에 대해 이중성과 식민지적인 사고를 보인다.

. 1막의 끝에서는 Clive의 권유로 가정교사 Ellen과 결혼까지 한다. 이들의 강제적인 결혼은 단지 사회의 성 억압이 만들어낸 부정적인 관계일 뿐이다. 신부인 Ellen은 레즈비언으로 게이와 레즈비언의 결혼인 것이다. 이는 동성애를 감추기 위한 결혼으로 서로의 결합이 아니라 오히려 분리이다.

6) Moud

. Betty의 어머니이다. 그녀는 오직 남성에게 복종해야만 한다는 사고를 Betty에게 주입시킨다. . 자신도 남성에게 복종해야 한다는 강요된 삶을 살았음에도 불구하고 아무런 자각없이 딸 Betty에게 같은 삶을 강요한다. Moud가 보이는 이러한 인식의 부재는 결국 교육을 통한 가부장제의 억압이 얼마나 무의식적으로 스며들어 있는지를 단적으로 증명해 준다. Moud는 과거에는 남편에게, 현재는 사위에게 종속되어 있다. 그녀는 계속해서 Betty에게 결혼은 지속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이 것은 자신이 사위를 가짐으로써 얻게 되는 안전을 위해서도 필요하기 때문이다. Moud는 가부장제하에서 완전히 종속된 여성의 인식을 드러낸다.

Moud : The men will do it in the proper way, whatever it is. We have our part to play(273)

Moud : Clive will know what to do. Your father always knew what to do (274)

 7) Mrs. Saunders

. 그녀는 Ellen역을 맡은 배우가 Mr.Saunders 역도 맡는다. 이 두 여성은 무대 위에서 한번도 마주치지 않는다.

. 1막에서 거의 유일하게 독립적인 여성상으로써 등장하는 Mrs. Saunders는 작년에 남편이 죽은 미망인인데, 경제적이나 성적으로 상당히 자기 중심적이며 스스로 일어서는 인물로써 그려진다. 그녀는 가정이 있는 Clive와 굉장히 노골적이고 적나라한 성적 관계를 가지고 즐기는데, 자신의 쾌락과 유희에 대하여 상당히 긍정적으로 반응하며 부끄러워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러한 Mrs. Saunders 역시 Clive에게는 하나의 정복의 대상에 불과하다. Clive는 그녀에게 반복적으로 “amazing spitir”라고 말하면서, 그녀가 다른 여자들과 매우 다른 인성, 즉 매우 다른 여성성을 지니고 있음을 지적한다

Clive : You terrify me. You are dark like this continent. Mysterious. Treacherous.

. 그는 그녀에 대하여 깊은 애정이나 관심을 가지고 관계를 맺는 다기 보다는, 특이하고 아직 미지의 세계로 남아 있는 아프리카를 영국이 점령하듯이 식민지화 시키려고 노력을 한다. 

. 끝까지 자신의 삶의 방식을 고수하고 독립성을 갖춘 여성으로써 남는다. 후에 Harry가 자신에게 청혼을 했을 때에도, 망설임 없이 “I choose to be alone.”이라고 대답한다. 그녀에게 있어서 결혼이란 꼭 해야만 하는 필수 요소가 아닌 것이며, 다시는 누군가의 아내가 되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결혼이라는 것에 대하여 그녀가 딱 한가지 좋아하는 것이 있다고 말하는 것은, 성적인 쾌락을 암시하는 것으로써 그녀가 얼마나 자유 분방한 연애 사상을 가지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드러내는 부분이라고 생각한다.

8) Lin

. 1막에서 Ellen 역과 Mrs.Sounders 역을 맡은 배우가 맡는다. (Ellen/Mrs.Sounders 동일배우)

. 2년 전 남편과 이혼하여 혼자 Cathy를 키우고 있는 Lin Victoria에게 자신을 폭행했던 남편에게 Cathy를 혼자 키울 수 있게 해줘서 감사하고 말하며 자신이 레즈비언임을 떳떳하게 밝힌다.

Lin : I left mine two years ago. He let me keep Cathy and I’m grateful for that.

Victoria : You shouldn’t be grateful.

Lin : I’m a lesbian.

Lin : I hate men.(291-92)

. 2막에서 레즈비언 주체, Lin의 등장은 이성애 중심적 사고의 틀에서 벗어나 기존의 지배적인 질서를 해체하며 기존의 성 이데올로기에 대하여 도전을 한다. 이는 남성 중심의 이데올로기를 유지하기 위해 이성애적 관계만을 강요하는 가부장제를 해체시키고자 하는 대안으로 레즈비언을 등장시킨 것이다.

. 가부장 사회에서 부당하게 대우받았던 자신의 처지를 보상받기 위해 Cathy를 남성적으로 키운다.

. 자신의 어머니가 키웠던 방식을 거부하고 남성적인 옷차림과 행동을 하며 Cathy의 여성성을 거부함으로써 가부장제의 해체를 도모한다.

 

11. 작가의 의도 (결론)

. 패러독스 : 역할과 감정이 더욱 설득력 있게 연기되어 지는 것이 아니라 더욱 설득력 있게 약화된다. 이를 통해 관객은 일상적인 감정과 담화의 수준을 뛰어 넘는 의식의 상태가 된다. 연극은 비판적인 사고를 유발시킬 뿐 아니라 연기자와 관객이 갖고 있는 의식을 확장시켜 준다.

 ) 인종적이고 민족적이고 직업적이고 성별 또는 기타의 속성들이 씻겨 져 나간 후에 남아 있는 개인적인 자아와 의도가 제거된 자기 각성으로 이루어진 나의 본질적 정체가 된다. : 상대적인 속성을 자기와 동일시 하는 것으로 개념적 내용의 주.객 이원성을 초월한 순수한 분별력을 향하여 나아간다. 따라서 지각적인 경험을 재구성하고 정신과 육체의 일과성의 속성으로 볼 수 있다.

 ) 남성 중심의 주관성을 해체하고 통찰적인 주의력을 부각시킨다. 

.‘표준적’인 삶, 견고한 사회구조라고 믿어졌던 Victoria 왕조와 Clive의 작은 제국인 가정이 해체되는 새로운 국면이 제시된다. Harry 의 출현은 가부장적 남편 Clive와 그의 순종적 아내의 위치를 교란시킨다. 특히 Betty Edward에게 있어서 그들 주체의 안정적 위치는 붕괴된다. 숨겨져 있던 그들 내면의 정체성을 깨닫게 해주고, 이들의 외적 세계와의 괴리를 알게끔 유도한다. 이러한 불안정성은 그들로 하여금 지금까지 가부장 사회가 자연스럽다고 느껴온 시각의 전환을 가져오게 한다. 그리고 이것은 가부장제 사회를 붕괴시키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와 같은 가치를 지닌 Harry는 결국 1막에서 Clive의 강요에 의해 결혼을 하게 된다. 이들의 결혼은 표면적으로 타자와 타자성을 인정하지 않는 성 담론과 이데올로기의 승리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게이적 성향을 가진 Harry와 레즈비언인 Ellen의 결합은 관객들로 하여금 결혼에 대한 전통적인 기대를 무너뜨리게 하는데 이는 동시에 전통적 사회구조의 해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모순된 결혼식 장에서 일어나는 Joshua의 반란은 그의 흑인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의미하며, 식민지 제국인 Victoria 왕조의 쇠락을 상징적으로 극단화 시켜 나타내고 있는 것이다.

. 작가는 2막을 통해 그녀가 추구하는 이상적인 인간관계와 성의 정치학, 새로운 공동체 등을 제시한다. 1막과는 다른 가치관과 문화적 양상을 통해 Churchill은 가부장제의 극복과 함께 전면적인 문화의 전환을 요구한다. 그리고 양면적 성 역할 등을 제사함으로써 관객에게 우리가 어떻게 보여지는가에 의해서가 아닌 우리가 스스로를 어떻게 규정하느냐에 따라 남성이나 여성으로 규정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전통적 성 역할 개념의 해체를 의미하는 것이다. 또한사회적 재생산의 필요에 의한 가정 형태가 아닌 욕망 추구에 따라 여러 형태의 가정을 보여 줌으로써 Clive의 가정의 이분화된 구조가 자연스러운 것이 아니라 가공된 것이며 Clive의 가정이 유일한 형태가 아님을 보여준다. 이혼하는 Betty, Lin, 그리고 남편을 떠나 타 도시로 갈 계획을 하고 있는 Victoria의 가정 등 붕괴되는 전통적인 이성애적인 가정 대신 Gerry Edward의 동성애 관계, Victoria, Lin, Edward 3인 관계, 그리고 Betty의 가족 관계 재설정 등을 제시한다. Churchill은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도 성 역할 그 자체가 아닌 사회적, 혹은 관계적 중요성만을 강조한다

. 이 극은 1막을 통해 갈등 상황을, 2막을 통해 대안적 상황을 제시하면서 Victoria 시대 이데올로기의 산물인 Betty의 변화하는 과정과 그 자녀들의 삶을 통해 서로를 억압하고 지배하는 폭력적 사회구조에서 벗어나 평등한 사회로의 변화의 가능성을 탐구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12. 생각해보기

1) Mrs. Sanunders Lin Ellen 이 동일 인물인 이유는??

2) Stoppard Caryl Churchill Cloud Nine과의 유머와 실존 사이의 관계는??

3) Brecht의 낯설게 하기(Verfremdung)[1] Cloud Nine의 성 정체성과의 관계는??

4) Cloud Nine의 성 정체성이 2009년 우리에게 주려고 하는 작가의 궁극적 목표는??

5) Caryl Churchill Cloud Nine 에서 제시한 2막이 작가의 이상적 모델이었을까??

 

* 참고문헌

Caryl Churchill Cloud Nine에 나타난 가정과 몸의 해체 : 김영덕 : 한국영미어문학회

Caryl Churchill Cloud Nine에 나타난 성의 권력구조 인식과 성 해방 모색

Caryl Churchill의 페미니즘 연극 분석 : 박정열 : 숙명여자대학교

Sacred Theatre : William S. Haney 2 : Univ of Chicago (Between the Oppsites : Gender Games)

구성된 젠더 정체성의 해체 : Cloud Nine M. Butterfly

브레히트의 드라마투르기를 통해 본 카릴 처칠의 페미니스트 극 분석 : 동국 대학교



[1] 낯설게 하기 (Verfremdung)

"명백하고 잘 알려진 그리고 분명한 사건이나 인물에 대해 놀라움과 호기심을 불러일으키는" 연극적 시도들의 통칭이다. 그것은 이전의 연극에서 관례시 되어왔던 가상적 현실의 제공을 파기하기 위한 시도로서, 직접적으로는 감정 이입론에 대립되는 개념이다. 이전의 연극이란 관객이 연극을 마치 실제처럼 느끼도록 실제와 같은 무대와 인물 등을 재현하는데 모든 노력을 집중했다. 그와 반대로 낯설게하기 기법은 관객으로 하여금 자신이 극장 안에 앉아있음을 잊지 않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다시 말해서 낯설게하기의 연극은 이전의 연극이 지켜야 했던 일련의 규칙, 즉 집약된 줄거리, 작은 부분들의 유기적 구성, 실제와 똑같은 재현 등을 단호히 거부하고, 어쩌면 공연상 치명적인 실수처럼 보이는 것까지도 낯설게하기의 한 방식으로 이용한다. 그렇게 관객의 인식과 판단을 얻는다. 브레히트는 지금까지의 가상주의(Illusionismus)적 연극이 관객을 도취시킴으로써 자신의 현실과 분리되고, 그것을 회피하기 위한 도피처를 제공한다고 비난했다. 그러한 그의 비난은 시대의 변화에 대한 통찰에서 비롯되었다. 그는 과학의 발전으로 경제적 신분이 상승된 시민계급이 예술에의 몰입을 통해 자신의 개인성을 확인했던 근대, 즉 초기 자본주의 사회와는 달리, 사회의 거대한 매카니즘에 좌우 당하는 현대에는 인간의 개인성을 예술 속에서 확인한다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을 내렸다. 그리하여 영웅적 개인이 세계에 승리하는 과정에서 자신을 발견하는 것이 근대의 인간들에게는 적합한 틀일 수 있어도, 그 개인의 과정이 실제의 자신과 현격하게 다를 수밖에 없는 현대의 인간들에게는 현실의 고난을 잊기 위한 방편이 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브레히트는 낯설게하기를 통해 현실의 모순을 직접적으로 대면하고 그것을 판단하며, 연극이 제시하는 결과와는 다른 가능성을 발견할 수 있는 연극을 내놓았다.

"그것은 (낯설게하기는) 무대 위에 그려지는 인물들이 더 이상 그들의 운명에 내맡겨진 고정불변의 인간이 아니라는 점을 관객이 알게 한다. 관객은 그것에 의해 이 사람은 주위 상황이 이러이러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방향으로 행동하게되고, 또 이 사람이 이러이러하기 때문에 상황이 이렇게 된 것이구나 하는 것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연극은 이제 관객에게 세계를 손에 쥘 수 있는 것으로서 제시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