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과 평화 가이드 노트

2010. 10. 23. 13:44Review/Book

반응형

*불펌 금지합니다.

공부하는 방법~~ 시험 칠때 유용함...ㅋㅋ 문항 나오면 바로 페이지 체크!

1. 인간과 전쟁

2. 강의구성

- 2 : 국가와 전쟁 1 -

1. 전쟁주체로서의 국가 (p.19)

2. 농경과 고대국가의 전쟁 (p,22)

 4) 부와 성벽 (p.22)

  a. 메소포타미아의 방위벽 (p.22)

  e. 고대에 대한 환상으로서 마지노 선 SDI (p.24)

 5) 폴리스 (고대도시국가) 적 농본주의에서 라티푼티아 (p.25)

  a. 중장보병의 밀집대와 지모신 (p.25)

  b. 팩스 마케도니카와 중장기병 (p.27)

  c. 농경의 노예화와 로마의 쇠퇴 (p.30)

- 3 : 국가와 전쟁 2 -

1. 민주정의 기원과 전쟁 (p.32)

 1) 보병의 수부 그리고 민주정 (p.33)

  a. 밀집대의 익명성과 시민권 (p.33)

  b. 무산평민의 세라미스와 알마타 해전 (p.35)

  c. 레스푸블리카와 임페리움 (p.36)

 2) 기사의 봉건제에서 총신의 민주주의로 (p.38)

  a. 피렌체, 데이세와 늦은 고전계승 (p.38)

  b. 등자와 편자에 의한 노르만정복 (p.40)

  c. 보병의 석궁이 제압한 크레시의 전쟁 (p.42)

  d. 반대중주의의 잔 다르크 (p.44)

  e. 머스켓총, 대포의 출현과 보병, 포병의 강화 (p.45)

  f. 시민적 권리와 종군의무 (p.46)

  g. 후방지원체제와 여성 찹정권 (p.48)

2. 근대 국민국가의 형성과 전쟁 (p.50)

 1) 근대국가의 생성 (p.50)

 2) 용병군에서 국민군으로 (p.52)

  a. 장자 상속제와 용병의 사회적 기능 (p.52)

  b. 마키아벨리 민병제론 (p.53)

  c. 상비군의 기원과 쿠스타프 아돌푸의 군제개혁 (p.54)

  d. .테리에와 르보아의 근대군 (p.56)

  e. 나폴레옹 전쟁과 내셔널리즘 (p.58)

  f. 클라우제비츠의 절대전쟁론 (p.59)

 3) 국가재정과 전쟁  (p.61)

  a. 전비지출을 위한 징세와 금융혁명 (p.61)

  b. 소브린 리스크의 원형으로서 훈가 몰락 (p.63)

- 4 : 군사화와 전쟁 시스템 -

1. 군사화의 개념 (p.64)

 1) 군사화란

2. 군비 확장 체제 (p.69)

 1) 무기의 역사적 변천 (p.70)

  b. 무기의 기술혁신이란 (p.70)

  c. 전쟁 코끼리에서 대포로 (p.71)

3) 프랑크의 군마와 송의 마정 (p.73)

 4) 전쟁에 있어서 관리 혁명 (나가시노 전투) (p.74)

 5) 전차의 전격작전과 기관총의 이동탄막사격작전 (p.75)

 6) 재해권에서 제공권으로 (p.76)

 7) 군비확장 (p.77)

   a) 2국 표준주의와 영독 건함경쟁 (p.78)

   b) 미국, 소련 핵개발 경쟁 (p.79)

   c) 핵무기의 비취약성과 명중 정밀도 (p.81)

   d) 우주군비확장과 SDI (p.83)

   e) 리차드슨 프로세스 (p.85)

 8) 군산 복합체와 무기무역 (p.87)

  a. 원형으로서의 맨하탄 계획 (p.87)

  b. 정치헌금과 방위산업 (p.89)

c. 다국적 군산 복합체와 군사기술개발동맹 (p.91)

  d. 세계무기시장의 형성과 발전 (p.92)

 9) 개발도상국의 군사화 (p.95)

  a. 3세계 군사화의 기원으로서 식민지 정책 (p.95)

  b. 세계시스템에 있어서 군사적 종속구조 (p.96)

  c. 최빈국 군사화의 사회적 비용 (p.98)

3. 동원체제 (p.99)

 1) 전쟁심리의 형성 (p.100)

  c. '나의 투쟁'과 전시선언 (p.100)

   d) 마한의 재해권론 (p.104)

  c. 인종주의와 제노사이드 (p.101)

  d. 백인 임무와 모모타로 파라다임 (p.103)

  e. 매킨더의 하트랜드론 (p.106)

  f. 냉전이라는 은유로서의 전염병 (p.107)

 2) 병참과 국가권력의 강화 (p.108)

  a. 철도와 슈라이펜 (슐리펜) 계획 (p.108)

   e) 국가권력의 강화 (p.111)

- 5 : 전쟁의 프로세스 -

1. 머리말 (p.113)

 1) 전쟁의 라이프 코스 (p.113)

  a. 포클랜드 전쟁 (p.114)

  b. 세계경제와 이란, 이라크 전쟁의 장기 소모과정 (p.116)

2. 확대 과정 (p.119)

 1) 에스칼레이션 역학 (p.120)

  a. 에스카레이션 (전황의 확대) : 전쟁 프로세스의 본질

  b. 스모크의 에스칼레이션론 (p.121)

  c. 맥나마라의 유연반응전략과 쿠바미사일위기 (p.122)

 2) 개입전쟁과 게릴라전 (p.124)

    . 강대국 개입의 원형 : 스페인 내전 (p.124)

. 베트남 전쟁 (p.125)

   b) 게릴라전 : 색적과 격멸에서 유전 파괴로 (p.127)

3. 제어과정 (p.130)

 1) 교전 하의 룰과 교신 (p.130)

  a. 적을 해치는 수단 (해적) 의 제한과 군사목표주의 (p.130)

 2) 쉘링 제어론과 참호전에서의 협조 (p.132)

  a. T. 쉴링의 한정전쟁 제어론

 2) 전쟁의 종결 (p.134)

  a. 휴전에서 강화조약으로 (p.134)

  b. 3자에 의한 주선과 중개 (p.136)

  c. 유엔에 의한 조정활동 (p.138)

- 6 : 세계 시스템과 전쟁 사이클 1 -

1. 서두 (p.143)

 1) 사이클과 시스템 (p.143)

 2) '기나긴 16세기' 와 세계시스템의 성립 (p.144)

2. 경제순환과 전쟁 (p.147)

 1) 긴 파도의 기층 (p.148)

  a. '위기의 17세기' 에서 콘트라티예프의 제 1파도론 (p.148)

  b. 프레, 콘트라티에프 곡선 (p.149)

 2) 콘트라티에프 장파와 전쟁 (p.151)

  a. 장파의 경험법칙 (p.151)

  b. 콘트라티에프 형 장파의 개요 (p.153)

  c. 장파속의 현재와 미래 (p.156)

 3) 콘트라티에프 전쟁과 경제국면 분석 (p.158)

  a. 경제상스기의 전사자 수 증가경향 (p.158)

  b. 풍부함이 대전쟁을 가능케 하는 구도 (p.161)

- 7 : 세계 시스템과 전쟁 사이클 2 -

1. 토인비의 전쟁 = 평화순화 (p.165)

 1) 라이트의 전쟁집중기순환설 (p.165)

   e) 1순환과 합스부르크의 패권유지 투쟁 (p.166)

  2) 1순환과 합스부르크의 패권유지 투쟁

  3) 2순환과 프랑스의 해게모니의 부정 (p.168)

  4) 3순환과 Pax Britannica의 도전 (p.170)

  5) 4순환과 '미국의 세기' (p.172)

2. 월러스타인의 경제발전과 패권순환 (p.174)

 1) '세계제국' 의 부정과 유럽 중심성의 기원 (p.174)

 2) 합스부르크 스페인과 은산 : 1순환 (p.176)

 3) 화란의 연공선=청어가공선과 세고센 : 2순환 (p.178)

4) 영국의 노예무역과 면직물 : 3순환 (p.180)

3. 모델스키의 세계대국 사이클 (p.182)

 1) 패권과 지도성 (p.182)

 2) 도르테시라스 조약과 포르투갈의 권세 (p.184)

 3) 세계대국의 조건 (p.187)

4. 패권순환으로부터 포스트패권시스템 (p.189)

 1) 패권국의 개념 (p.189)

 2) 질서통괄 세력으로서 포루투칼의 한계 (p.190)

 3) 패권전쟁의 주기성과 패권순환의 비정기성 (p.191)

 4) 제국의 과잉확대와 패권시스템의 역설 (p.193)

 5) 포스트 근대세계 시스템과 패권형 공동관리 본제 (p.194)

- 9 : 행동과학과 전쟁 연구 1 -

1. 서언 (p.196)

2. 전쟁행동의 추세 분석 (p.197)

 1) 통계로 보는 역사적 추세 (p.197)

  b. 자연환경과 호전도 (p.197)

  c. 계절과 전쟁 (p.200)

  d. 전쟁규모의 장기확대경향 (p.201)

  e. 나라별로 보는 전쟁지향성 (p.203)

 2) 전쟁의 유형과 질적 변용 (p.205)

  a. 부툴와 카레트의 최근 20세기 전쟁분석 (p.205)

  b. 켄테의 전후의 국지전쟁분석 (p.206)

  c. 빈곤지대와 대리 개입형 제 3세계전쟁 (p.208)

- 10 : 행동과학과 전쟁 연구 2 -

1. 전쟁의 상관인자 (전쟁의 개량적 인과 가설) (p.210)

 a. 국내전쟁불안 (p.210)

 b. 정치체제 (p.212)

 c. 대외경제관계 (p.213)

 d. 사회적 압박감 (p.215)

 e. 슈클리=노스에 의한 측압의 실증 (p.216)

2. 국제 시스템과 전쟁의 개연성 (p.219)

 a. 캐플란의 국제체계론 (p.219)

 b. 다극화와 양극화 논쟁 (p.220)

 c. 부에노, , 메스키타의 클러스터 강화의 분석 (p.222)

 d. 전쟁선행현상으로서의 동맹형성 (p.225)

 e. 오르간스키와 쿠글러의 파워 이행론 (p.227)

 f. Pax Consultationis (p.229)

 g. 포스트 패권형 포괄체제 (p.231)

- 11 : 국가안전보장 1 -

1. 서언 (p.235)

 1) 안전보장의 양의성 (p.235)

2. 안정보장의 이념과 현실 (p.236)

 1) 안전보장정책 (p.237)

  a. 자강과 예방전쟁의 위험성 (p.237)

  b. 동맹정책 (p.239)

  c. , 일 안보조약으로 본 지배와 동맹 (p.240)

  d. 환경정비 (p.243)

  e. 영세중립과 핀란드화 (p.244)

 2) 세력균형체제 (p.246)

  a. 유럽내 파라센(균형자)과 세계의 패자 (p.246)

   b) 동맹의 비절대성 (p.249)

   c) 외교교섭의 중시 (p.249)

   d) 패자 부활 (p.249)

   b) 소국의 희생과 제 1차세계대전 (p.250)

  c. 세력균형의 전제조건 (전제조건의 붕괴) (p.252)

 3) 집단 안전 보장체제 (p.254)

  a. 국제연맹의 설립 (p.254)

  b. 집단적 반격의 원형으로서의 제1차 세계대전 (p.256)

  c. 정전론과 무차별 전쟁론 (p.257)

  d. 연맹규약의 경제제재 중심주의와 미국 국력의 구조 (p.259)

  e. 회원(전원) 참가형 제재정전이념과 제2차 세계대전 (p.261)

  f. 로카르노조약 (p.263)

  g. 유엔헌장에서 보는 집단적 강제조치 (p.264)

  h. 헌장 제7장 형 유엔군과 한국전쟁 (p.267)

  i. 평화유지활동 (p.268)

  j. 유엔 안전 보장체제 (p.270)

- 12 : 국가안전보장 2 -

1. 냉전과 핵억지체제 (p.273)

 1) 원폭정책과 냉전의 기원 (억지 : 함부러 못하는 것) (p.273)

 2) 냉전 심리의 비동(선동) (p.276)

 3) 봉쇄정책 (p.277)

 4) 상호확증과 파괴 (MAD : Mutually Assured Destruction) (p.280)

 5) 대병력전략 (p.283)

 6) 핵겨울 (p.285)

2. 군축과 군비관리 (p.287)

 1) 파르크 안 (바루크 플랜) (p.288)

 2) 실험규제와 군비제한 (p.288)

3. 핵비확산과 비핵지대 (p.291)

 4) INF 전폐조약과 핵무기의 미래 (p.295)

- 13 : 폭력의 세기를 넘어서 -

1. 부번구조의 역학 (전쟁금지구조) (p.299)

 1) 외교의 발전 (p.300)

  a. 기원과 기능 (p.300)

  b. 현대외교의 특질 (p.302)

  c. 정상외교 (p.304)

 2) 국제협력의 틀 (국제공조) (p.305)

  a. 상호의존과 정책 협조 (정책공조) (p.305)

  b. 시장통합과 국제레짐 (p.308)

2. 지구적 문제중에서 개도국 (p.310)

 2) 구조적 폭력과 남북관계 (p.311)

  a. 중심-주변 구조 (p.311)

  b. 현대의 빈곤과 억압 (p.313)

 3) 시장통합과 국제레짐 (지구와 인간사회) (p.316)

  a. 지구적 규모의 환경문제와 도상국 (p.316)

- 14 : 세계평화의 섬 1 -

1. 배경

 1) 세계화, 지방화 시대와 제주도의 발전전략

 2) 평화의 개연

2. 평화의 섬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개념

2) 평화의 섬 구상의 당위성

 3) 평화의 섬으로서 제주 : 제도적 구상

 4) 제주 평화의 섬 유형

- 15 : 세계평화의 섬 2 -

1. 제주평화의 섬 모형설정

 1) 제주 평화의 섬의 개념적 모형

 2) 제주 평화의 섬의 현실적 모형

 3) 제주평화의 섬의 실천적 모형

2. 제주 평화의 섬 실천전략

 1) 전문가들의의견을 수렴한 실천전략

 2) 평화의 섬 선언

 3) 제주도 개발 특별법에 따른 실천전략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