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 평가 연구의 미래

2016. 12. 26. 22:04Education/English

반응형



( 위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 입니다. )


수행 평가 연구의 미래

20146146 박형락

 

수행 평가에서 과업을 기반으로 한다면 언어학습 활동에 있어서 아주 매력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왜냐하면 영어 학습에서 발화를 할 법한 현실 상황을 가정하여 과업을 수행하기 때문이다. 다만 평가자 입장에서는 수행활동에 대해 여러 언어 요소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것을 평가하기가 간단하지 않을 것이고, 수행 평가 설계를 하는 데 있어서도 목표 언어 학습에 대한 평가를 한다는 것이 간단하지 만은 않을 것이다. 언어학습에서 수행평가의 일차적인 목표는 수행자가 수행을 하면서 이끌어내는 언어활동이다. 따라서 수행 평가에서 과업의 성공 여부는 언어 평가 보다 우선시 되지 않아야 한다. 과업 활동은 수행 평가를 위해 존재하는 것이지 수행평가가 과업을 위해서 존재하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수행평가의 특성은 세 가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것은 수행 세부사항, 수행 내용 그리고 수행의 채점을 위한 규준으로 구성된다. 수행 평가는 전통적인 시험 유형을 넘어서 내용, 채점, 점수에 대한 해석, 교육과정 개발, 결정하기, 대화하기 같은 모든 언어 교육의 요소들에 이점을 가져다준다. 하지만 수행 평가는 과업 평가에 대한 단점을 그대로 안고 간다. 시험의 진행과 채점 기준과 시험 구조들이 복잡하다. 이는 학생들의 특성과 과업의 조건과 과업의 특성이 복잡하게 수행 평가 안에서 얽혀 있기 때문이다. 수행 평가를 채점하는 최선의 방법은 다양한 채점 기준들 중 수행의 목표와 언어 평가의 목표에 적합한 요소를 찾는 것이다. 신뢰도의 측면에서 수행평가는 수행의 종류, 수 그리고 평가 내용과 채점자의 수에서 시험의 신뢰도에 영향을 준다.

수행 평가에 대한 타당성은 많은 연구를 통해 검증되어 있었고, 다른 목적, 다른 상황 설정에서도 이를 만족시켰다. 네 기능 중 하나에 초점을 맞추거나 통합적으로 평가를 이뤄질 때도 유효한 타당성을 지녔다. 그러나 수행 평가 연구에 있어 고려해야할 요소들은 많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계속 이뤄져야 한다. 어떤 새로운 수행활동을 타당성이 있고 신뢰도 있게 구성하여 그에 따른 어떤 것들이 발생하는 지를 연구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방식의 수행평가가 다른 방식의 수행평가와 다른 점이 있을 것이다. 위에 언급 했던 수행 평가의 과업 세부항목, 내용, 수행 그리고 상호관계에서의 일반성과 유용한 특성들을 계속해서 연구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수행평가가 가지는 이점들을 수행의 내용, 점수 해석, 교육과정 개발, 대화, 의사 결정, 채점을 기준으로 연구를 하거나, 다른 관점과 수행 내외에서의 구성원에 대해서도 찾아 볼 수 있다. 수행의 난이도, 복잡성, 조건, 특성에 따라서 수행의 어려움의 요소가 어떤 것이 있는지를 수행의 구성원을 기준으로 그리고 타당도와 신뢰도와의 관계를 가지고 연구 할 수 있다. 또한 수행의 타당도와 신뢰도의 측면과 다른 목적과 다른 상황에서 기능의 범위, 채점 규준, 채점 방법, 채점표 등 여러 가지 수행 평가에서의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연구 할 수 있다. 그리고 언어 수행 평가에 있어 지역 의존적 정도의 문제와 이에 대한 전략, 정의적 하위영역의 특수성에 따른 수행 평가의 기능들에 대한 효과, 수행 평가에서의 평등성, 어떻게 채점 정확성을 높이는지, 수행 평가에 따른 비용과 분석 방법, 척도 조정 와 동등화 등이 있다.

국가 직무 능력이 기업의 입사 시험 적용에서 확대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서도 이를 적용할 것을 국가는 요구하고 있다. 영어 학습에서 영어와 전공 내용에 학습에 대한 부진을 수행평가를 통해서 최대한 관심사를 자극 할 수 있는 좋은 활동이 될 것이다. 그렇지만 필자의 개인적인 조사에서 이에 대하여 15개교 약 525명의 교사와 학생들의 큰 고민이 있었음을 개인적으로 알아내었다. 교사 입장에서는 직업 영어에서 전공과목의 파편화로 수행 평가를 설계 시 발생하는 시간과 노력과 비용이 국가가 아닌 교사 개인에게 돌아가며, 이에 따라 상당히 부담된다고 했다. 게다가 직업 영어의 경우 영어 교사 또는 전공 교사가 참여 하는데, 영어 교사의 경우 전공 지식 부족이, 전공 교사는 영어 교육법에 고민이 많았다. 그렇다고 자료가 많은 일반계 학생들이 공부하는 실용영어 학습이 대안은 아니다. 학생들은 일반계 고등학교 수준의 영어 지식이 없어 괴로워하고 있었고 눈과 소리를 활용한 학습과 체험 학습을 선호했다. 즉 전공과 영어가 혼합된 수행 평가를 원했다. 그러나 수행을 위한 자료 부족과 기초 영어 학습 신장이 문제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 정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국가직무능력표준 사업은 매력적이라고 생각한다. 기업과 국가가 제시하는 의사소통능력을 기준으로 광범위한 수행 활동과 영어 학습을 좁혀 학생과 교사에게 부담을 덜어 줄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된다. 또한 국가가 영어 학습을 하는 데 있어 정확히 영어를 필요로 하는 국민과 영어 교육에 투입된 자금과 그에 대한 효과를 매출 실적 평가 하듯이 조사 및 연구하여 구조조정을 시행하고, 이에 따른 원활한 자금으로 실질적인 영어 수행을 하여 유희가 아닌 국가에 도움이 되는 일꾼으로 나아갈 수 있는 과업 및 수행 평가를 학생들에게 제공하길 원한다.

 

요약문헌

Brown, J. D. (2004). Performance assessment: Existing literature and directions for research. Second Language Studies, 22(2), 91-139.



( 아래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 입니다. )


반응형

'Education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률 영어1 보충PPT자료 7과  (0) 2017.12.01
국가직무능력 기반 건축 영어 수행평가  (0) 2016.12.28
Testing Overall Ability  (0) 2016.12.23
Assessing Writing  (0) 2016.12.22
Assessing Reading  (0) 2016.1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