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5. 26. 22:33ㆍEducation/English
( 위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 입니다. )
스크립트 기반 언어 및 문화 통합 지도법
참고문헌
한국형 EFL 영문학교육론 : 학습자문학의 이론과 실제 정립. 김경한. 한국문화사.
가치관의 패턴이 방대할 것 같지만 분류 작업이 가능하다. 구현 방법이 행동에서 나오는 것을 통해 활동하며 그곳에서 언어가 발생한다. 언어에서 의미는 사회속에서 언어활동을 통해 그 의미가 명확해 진다.
스크립트의 의미는 협의의 의미로서 교과서, 회화 교재 등의 듣기와 말하기 대본을 포함하여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극적 대화를 말한다. 일상생활에서 주어진 역할과 일상적인 순서에 따라 표준화된 대화와 행동이 일어난다. 이는 주어진 스크립트를 지속적으로 반복하면서 살아가고 있음을 의미한다. 영어교육적 관점에서 스크립트의 또 하나의 중요한 의미는 인지심리학에서 말하는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 즉 스키마(schema)로 작용하는 사회적 스크립트(social script)이다. 이때 스크립트는 형식 스키마(formal schema)로서 언어 습득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스크립트는 인간에게 내면화되어(internalized)있어 기억의 틀로 작용함으로써 일상에서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의사소통에서 절차는 사회적으로 표준화된(standardized) 의례(ritual)라고 할 수 있다. 나라마다 스크립트가 다르기 때문에 스크립트를 학습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모국 문화와 목표 문화 간 차이를 비교 학습하게 되고 이를 통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스크립트의 구조적 특징은 하위구조와 상위구조가 위계적(hierarchical)으로 연결되어 있다. 스크립트는 장면(scenes)이라는 하위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위계적 구조는 스크립트-장면-행동(script-scene-action)으로 구성된다. 스크립트의 의미론적 관점에서 스크립트는 선천적으로 타고 나는(innate) 것이 아니다. 스크립트는 본능적이라기보다는 매일 매일의 행동과 다른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을 통해 사회적으로 학습된다. 그리하여 행동(action)과 상호작용(interaction)을 통해 내면화되고 그것의 외재화는 특정한 상황의 사회적 규범과 관행을 따른다. 그리고 스크립트는 만인에게 보편적(universal)으로 적용되지 않는다. 스크립트는 특정한 문화의 가치관에 종속되기(culture-specific) 때문에 문화 간에 서로 다른 스크립트가 존재하게 된다. 이 때문에 아주 극단적인 경우에는 스크립트가 문화 충격(culture shock)으로 나타날 수 있다.
영어 학습에서 상황별 스크립트 학습이 이뤄지게 되면 상황에 대한 기억이 의사소통기능별 표현들을 훨씬 쉽게 습득할 수 있게 돕는다. 이것은 마치 이야기를 읽고 나서 그에 대해 회상할 때 이야기 문법에 따라 이야기를 회상하면 전체가 잘 회상되는 이치와 같다. 이야기 문법을 바탕으로 스토리텔링(storytelling)을 잘할 수 있듯이 스크립트를 바탕으로 일상적인 대화를 잘할 수 있게 된다. 교육과정에 의사소통기능별 표현학습과 더불어 상황별 스크립트의 도입이 필요한 이유다. 예를들어 레스토랑과 같은 의사소통에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상황들을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전형적인 스크립트 대화를 개발한 뒤 해당 의사소통 표현들을 중심으로 역할극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연습한다면 듣기, 말하기 습득이 훨씬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스크립트를 습득하게 되면 나아가 자연스럽게 문화 능력도 배양되는 효과가 발생한다. 해당 문화권의 사람들은 그들 자신의 스크립트에 따라 학습하고 사고하고 행동하므로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배양하기 위해서는 목표 언어의 스크립트를 학습해야한다. 모국어에 대한 스크립트가 존재하므로 대부분은 모국어 스크립트의 도움을 받아 절차를 예상할 수 있으나 문화 간 차이를 보여주는 부분들에 대해서는 그것이 심한 경우 문화 충격이 될 수 있다. 이러한 문화 간 차이가 실제 의사소통의 단절을 가져오게 되므로 이 부분에 대해서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것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한국에서 레스토랑 가기는 미국에서 레스토랑 가기와 다르다. 표준화된 절차에서도 차이가 있고 의사소통 표현도 다르다. 한국에서의 음식 주문하기는 하나의 세트를 고르기만 하면된다. 그 안에 모든 것이 다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웨이터가 다 알아서 해준다. 그러나 미국에서 주문하기는 마실 것부터 시작해서 수프, 메인 요리, 디저트 등 모든 항목에 걸쳐, 선택에서 시작해서 선택으로 끝나므로 손님이 다 알아서 주문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절차에 대한 이해가 있으면 다음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까다로운 미국 레스토랑에서 주문하기가 어렵지 않게 된다. 스크립트를 학습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목표 문화와 모국 문화간 차이를 비교 학습하게 되고 이를 통해 문화 간 의사소통능력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자연스럽게 언어 및 문화 통합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크립트 기반 언어 및 문화 통합 수업 모형은 다음과 같다. 스크립트를 체험하여 스크립트를 활성화하고 이를 일상 스크립트로 말해보는 활동, 스크립트를 개념벅으로 이해하여 일상 스크립트를 생성하여 전형적 절차 추출, 스크립트를 적용하여 극화하고 문화충돌 발생에 따른 대화문 만들기, 스크립트를 인식 및 평가를 하여 역할극을 하는 활동을 순차적으로 거친다. 이러한 언어학습은 문화가 담겨있다. 문화자체으 지식보다 문화 가치 즉, 사고방식에 담고있는 언어회화를 함으로써 문화교육을 실현시킨다.
참고문헌
한국형 EFL 영문학교육론 : 학습자문학의 이론과 실제 정립. 김경한. 한국문화사.
( 아래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 입니다. )
'Education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크리티컬 리터러시의 영어 학습에서 적용 (0) | 2016.05.31 |
---|---|
코퍼스 DDL 수업방안 (0) | 2016.05.28 |
수업자료 - 4. 보어의 형태 - 부산 K고 - 신사고 다트 어휘 문법 (0) | 2016.05.25 |
수업자료 - 3. 병렬 구조와 어순 - 부산 K고 - 신사고 다트 어휘 문법 (0) | 2016.05.24 |
수업자료 - 2. 수의 일치 - 부산 K고 - 신사고 다트 어휘 문법 (0) | 2016.05.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