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버트 영의 "백색신화"와 웬디 브라운의 "관용"

2012. 2. 9. 12:45Literatur/English

반응형
로버트 영의 "백색신화"
          포스트 구조주의자들은 68 프랑스 운동에서 시작했다고 대부분 알고 있으나 실제 이들은 알제리 출신이다. 즉, 알제리 출신에서 시작했다고 하는 것이 맞다. 프랑스 여성주의자는 대부분 유태인이거나 불가리아 인이다. 그러나 프랑스 페미니스트의 설정은 타자들이 아웃사이더를 설정한 것이 되는데 정체성이 모호한 것으로 보인다. 프랑스 시민을 박탈 사실 이들은 박탈당한 자들이었다. 20세기 영국 소설 대부분 비주류였다는 것과 유사하다. 프랑스에 초첨이 역사는 이뤄지고 있다. 역사의 연속체는 결국 지배자의 역사에서 비롯 된다고 할 수 있다. 헤겔의 변증법적 역사 자체가 소수자와 여성을 배재했었다. 역사는 정반합으로 흘거 간다고 하자. 그런데 이러한 정반합과의 사이에서 프롤레탈리아는 조직 노동자라면 이것 마저 배제되어 있는 소수자들은 역사에 들어가지 못한 것이나 다를바 없다. 막시스트가 꿈꿨던 토탈리티는 이러한 것이었다. 헤겔이 나오면 인정의 투쟁이 떠오른다.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이다. 목숨을 건 통치자와 목숨이 아까워 숨기는 노예와의 대립니다. 오만함과 치욕속에 뒤집을 생각과의 충돌은 서로 입장이 뒤바껴지면서 이는 계속 끊없는 싸움으로 진행된다. 이 역사에 참여불가능한 역사와 존재가 있다는 것이다. 관용으로 타자가 동일자의 구성에 포함되기 이전, 동일자의 논리가 교묘하게 작동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중구속 상태인 소수자는 주체라는 여성적 타자와 속박되지 못하는 절대적 타자 이 두가지를 떠안는 자들이다. 이분화된 규정된 타자와 절대적타자는 남성적 주체적 시각에서 비롯된다. 예를들어 동양의 우월성 그 말 자체가 서양에 보여주려는 것이다. 결국 속해져 있다고 생각하면된다. 근대성은 식민성과 한짝을 이룬다.모든 현상학은 타자를 인정한다. 이 타자는 타자성과 이타성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않는 존재다. 자아와 타자의 대립으로 더욱더 단단한 타자로 발전되어 간다. 눈으로 희생자를 볼수 있는 것과 없는 것으로의 나눔은 증언 불가능 성을 증언 할 수 없는 상태로서 비춰진다. 변증법의 과정은 암묵적인 폭력을 내포하고 있다. 전쟁은 나아닌 타자를 점유하고 지배한다. 그리고 타자를 용인하지 않는 삶을 살면서 타자에 대한 관용을 펼치는 것이다. 유럽중심주의가 바로 존재론이다. 

웬디 브라운의 "관용"
          권력이 어떻게 생명을 통치하는 지를 관용이라는 단어를 통해 경고하고 있다. 웬디브라운이 그렇다고 해서 관용을 나쁘게만 보는 것은 아니다. 일종의 관용을 통해 작동하는 제국의 시스템에 대해 경고를 하는 것이다. 관용이라고 해서 전지구적이고 보편화적인 것은 절대 아니다. 인구, 생명, 갈등을 통치하기 위한 미국이라는 제국에 대한 문제점을 지적하는 것이다. 연대를 위해 관용을 펼치는데, 타자 관리 방식이 제국의 시대에 들어서면 정교한 방식으로 이루어 진다는 것이다. 원래 길들이고 동일시 하려는 방식이었다면 지금은 타자를 인정하면서 관리를 하려 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타자를 체제 내 방식을 다양하게 교묘히 작동시키는 것이다. 미국을 중심으로 거대한 시스템 그리고 민족국가가 깨지면서 미국 또는 다국적 기업이 어떻게 피지배자를 착취하는지에 대한 과정을 담고 있다.
          NGO의 역할을 생각하며 다주으이 힘을 빼앗아 제국의 하부기관으로서 움직이낟. 만약 피라미드 식으로 생각한다면 제국이라는 미국 아래에 WTO, IMF  그리고 NGO 가 들어선다. 제국의 통치성의 문제는 예전 정부 운영과는 확연히 다르다. 침투와 지배 혹은 착취가 절대 아니다. 관리의 방식으로서 관용적으로 베풀어 진다는 점이다. 철저하게 개인적으로 문화적으로 환원시킨다. 타자를 용인하되 타자의 주 활동을 삭제 시켜 버린다. 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문화화 시킨다는 것이다. 타자를 중립화 시키면서 정체성을 수욕하고 급진성을 제거시키는게 관용인 것이다. 제국은 도와주는 것 같지만 다 빼앗아 버리는 역할을 한다. 다중과 만나는 전면이 간접적이다. 절대 미국 혹은 선진국이 직접 피 지배자에게 다가가지 않는다. 오직 WTO, IMF, NGO 가 있을 뿐이다. IMF가 침투를 하면 투명성을 강요한다. 그리고 요구하는 조건에 순응 하도록 압박을 가한다.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 하고 이에 잠식된다. 지국들이 좀더 쉽게 들어갈 수 있도록 발판을 마련 되게 하는 것이다. 이 책은 이러한 관용안 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의 메커니즘을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되면 사회가 풀어야할 문제를 개인적인 문제로 보게 할 수 있다. 아이의 능력의 문제 혹은 지능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무상급식을 도입하는 것과 같다. 그러나 사실은 국가가 빈부 격차 때문에 이러한 부자 세금을 강화하는 필요성은 찾아 볼수 없다. 정치 이슈를 탈정치화 시키는 것이다. 다문화 가정은 대부분 가난하다. 한국의 사회의 사교육 시장에서 힘들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 아이는 외국인이기 때문에 따로 독립해서 공부시켜야 한다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아이의 문제가 시스템이 아닌 개인으로 흘러가게 하며 이 아니는 본질적인 문제를 놓친채 계속 따라가지 못하게 되는 악순환을 거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