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vestigating Learners’ use and understanding of peer and teacher feedback on writing: A comparative study in a Chinese English writing classroom by Zhao

2014. 12. 31. 12:05Education/English

반응형

Investigating Learners’ use and understanding of peer and teacher feedback on writing: A comparative study in a Chinese English writing classroom 요약

 

연구 배경

1) 기존 연구에서는 글쓰기 학습에 있어서 동료 피드백 보다 교사 피드백이 효과가 있었다. 또한 학생들은 동료를 통해 학습을 받는 것 보다 교사가 상대적으로 더 지식이 뛰어나기 때문에 교사 피드백에 신뢰를 더했다.

2) 기존 연구에서 학습자가 교사 피드백을 통해 활용한 글쓰기에서 완벽하게 이해를 못한 채 교사가 가르쳐준 교정 문법을 그대로 따라(copy)하기만 한다고 했다.

2. 현재 연구

1) 연구 목적

A. 2외국어 글쓰기 학습에 있어서 동료 및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들의 활용과 이해에 대해 조사.

B. 2외국어 글쓰기 학습에 있어서 동료 및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들의 활용과 이해를 서로 구분.

2) 연구 질문

A. 글쓰기 동료 피드백 또는 교사 피드백 중 학습자가 어떤 것을 더 자주 수정하는데 활용할 까?

B. 글쓰기 동료 피드백 또는 교사 피드백 중 학습자가 어떤 것을 더 잘 이해할까?

C. 만약 동료 및 교사 피드백을 받아들이는데 학습자의 의사결정과정으로 영향을 끼쳐졌다면 요인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3) 연구 방법

A. 학습자가 처음 작성한 것과 동료 피드백과 교사 피드백을 하여 수정 초안을 작성한 것을 맥락 분석

B. 동료 및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이해 조사를 위한 자극 회상 면담

C. 동료 및 교사 피드백에 대해 학습자의 반응 요소를 찾기 위한 학습자들과 인터뷰

4) 연구 맥락

A. 연구하고 있는 교육기관에서 현존하는 영어 글쓰기 교육법

A) 영어 글쓰기를 구체적으로 연구하고 있지는 않은 현지 실정

B) 교육기관의 여섯명 교사들은 3에서 10년 경력 소유자로서 18명 학습들과 영어 글쓰기 교육에 관한 인터뷰 수행.

C) 추가적으로 인터뷰한 여섯명의 교사들이 수행하는 10개 학급을 관찰.

a. 1회 되고쳐쓰기 및 수정부분 표시

b. 교과서에 지나치게 의존. 글쓰기 시험에 있어서 고득점 방법이 담긴 교과서.

c. 교사 중심 침묵 수업

d. 평가 주체로서의 교사

B. 참여자의 배경

A) 남자 8, 여자 10

B) 2년차 영어 전공

C) IELTS 6점대

D) 30년 동안 미국에서 영어를 수업했고 2년 이상 중국에서 영어를 가르친 영어 글쓰기 교사가 판단한 중급 영어 실력자.

E) 교사 및 학생들은 동료 글쓰기 피드백 학습법을 사용하거나 받은 적이 없음.

F) 학습자들은 시험위주의 교사 중심 영어 글쓰기 수업을 계속 들어왔기 때문에 사전에 동료 피드백 글쓰기 학습을 가졌다.

G) 학생들은 사전에 어떻게 동료 피드백을 줘야하는지에 대한 교육은 연구자가 제공하지 않았다.

C. 현존하는 교사 피드백을 바탕으로 동료 피드백을 포함한 과정

A) 현존하는 교사 피드백 과정 45분 수업 이후 10분 휴식

a. 교사는 학생들에게 지난 수업 숙제를 돌려줌.

b. 교사는 학생들에게 그의 지적을 읽도록 요구함.

c. 교사는 학생들이 요청하는 지적된 부분에 대해 설명.

d. 교사는 학생들의 일반적인 실수에 대해 요약.

B) 동료 피드백 과정 45분 수업

a. 교사들은 1에서 9번 숫자를 학생들에게 지정.

b. 학생들은 같은 숫자의 짝을 찾음.

c. 파트너의 글쓰기를 학습자가 15분 동안 읽고 글쓰기 피드백을 제공.

e. 25분 동안 학습자들은 제공된 피드백에 대해 토론. - 이전 수업시간에 녹화되지 않은 3짝을 선별하여 각 수업시간마다 녹화됨.

f. 동료 글쓰기 피드백이 포함된 학생들의 초안을 수집.

g. 수업 종료 후, 교사는 학생들이 작성한 초안과 동료로부터 수정받은 초안에 대해 주석.

h. 해당 시간에 선별된 3짝의 학생과 교사가 학습회의에 참여. 15분 동안 학습자는 교사로부터 자신들이 혼란스러웠던 부분에 대해 피드백을 통해 해결. 그리고 15분 동안 동료 상호교환을 함.

I. 수업이후 학생들이 교사 피드백과 동료 피드백이 있는 초안을 수정 요청 받을 때는 과제를 다음 시간에 반환.

 

2) 데이터 수집 및 분석법

A. 피드백과 수정 데이터

A) 수업 숙제 선택 기준 모두 만족해야함. - 26개 글이 선정됨.

a. 숙제는 초안과 수정된 글을 비교.

b. 수정된 글에서 교사 피드백과 동료피드백 활용에 대한 흔적이 있어야함.

c. 초안과 완전히 달라져버린 수정된 글은 제외.

d. 숙제는 학습자들 사이에서, 교사와 학생간의 학습회의에서 논의된 것.

e. 자극 회상 면담 참석한 학습자의 숙제.

B) 피드백은 교정할 수 있는 것으로 공백에 표시, 문제있는 부분에 밑줄 긋기, 교정, 구체적인 글 부분에 논평 및 제안된 것.

C) 학습자들의 고쳐 쓴(redraft)글은 교사 피드백을 활용한 것(TF/used), 교사 피드백을 활용하지 않은 것(TF/not used),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것(PF/used), 동료 피드백을 활용하지 않은 것(PF/not used)으로 나눈다.

B. 자극 회상 면담(stimulated recall interview)

A) 초안에서 받은 피드백과 고쳐 쓴 글에서의 수정한 것들을 같이 비교.

B) 지침 학생들이 피드백을 활용한 고쳐 쓰기에 대해 제대로 이해했는지 확인.

a. 일부 피드백에서 혼란스럽다고 느끼는 부분에 대해 내가 좀 도와줄까?

b. 여기 이 지점을 니가 바꿨는데, 바꿨을 때 무슨 생각했냐?

c. 이 부분을 너는 삭제 했는데, 삭제할 때 무슨 생각했냐?

C) 학생이 이해하지 못했을 경우.

a. 학생이 피드백을 받아 수정을 했지만 혼란스러워서 도움을 연구자에게 요청할 때.

(TF/used/not understood)

b. 학생이 수정한 내용에 대해 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할 때.

c. 학생이 삭제한 내용에 대해 그 이유를 설명하지 못할 때.

D) 학생들이 이해했을 경우

a. 학생이 왜 피드백을 제공했는지에 대해 정확하게 해석할 경우.

b. 학생이 피드백을 기초로 한 수정 방법을 어떻게 이해했는지 설명할 경우.

c. 학생이 어떻게 피드백으로부터 자신의 글쓰기 양질에 도움을 줬는지 설명할 경우.

C. 인터뷰 데이터

A) 연구 끝 무렵에 반구조화된(semi-structured interview) 시행.

B) 학습자들의 고쳐 쓴 글에 있는 동료 및 교사 피드백의 인지적 과정을 포착.

C) 11 명의 지원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인터뷰 시행.

D) 질적 자료 분석 소프트웨어(NVivo2) 활용.

3. 연구 결과

A. 동료 및 교사 피드백 활용 빈도

A) 교사 피드백이 동료 피드백 보다 활용 빈도가 높음.

B) 비록 동료 피드백일 지라도 교사의 주석이 수정과정에서 더 영향을 끼칠 수 있음.

C) 학습자가 교사 주석이 없는 동료 피드백을 믿지 못해서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B. 동료 및 교사 피드백 이해하고 활용한 수치

A) 동료 피드백이 교사 피드백에 비해 활용 대비 이해한 비율이 높았다.

B) 학습자가 피드백을 받고 수정을 할 때 이해 없이 수정할 수 있다.

C) 교수 피드백이 동료 피드백 보다 표준편차가 크다.

 

C. 초안 수정 시 동료 및 교사 피드백에 대한 학습자의 반응에 영향을 준 요소

A) 동료 및 교사 피드백의 이질성

a. 학습자는 결국 교사가 학습자의 글에 표시하는 유일한 합리적인 행위자(sole legitimate agent)이기 때문에 학습자의 글을 다룰 때 교사의 피드백을 요구로서 따른다. - 평가 문화(assessment culture) , 권위(authoritative)

b. 학습자는 동료의 피드백을 제안으로서 따른다.

c. 동료 피드백을 할 때는 학습자가와 피드백 제공자 사이에 상호활동(interactively, feed forward and feed back between us)이 많았다.

B) 동료 상호과정에서 1 언어 사용

a. 동료 상호과정에서 모국어를 사용했기 때문에 외국인 교사에게 피드백 받은 거 보다 더 이해가 쉬웠다.

 

Zhao, H. (2010). Investigating learners’ use and understanding of peer and teacher feedback on writing: A comparative study in a Chinese English writing classroom. Assessing Writing, 15(1), 3-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