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교육 배경 이론에 관한 12가지 질문과 주관적 답

2015. 8. 31. 14:34Education/English

반응형


(위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입니다.)


1. Languages are learned mainly through imitation. = agree

 

모국어 습득을 시도하는 아동들이 언어를 학습하는 데 있어서, 모방은 중요한 학습 요소가 될 수 있다. 아동들은 주변에 들리는 소리와 언어를 모방하면서 언어 사용에 대한 학습 동기 유발과 연습을 할 수 있는 환경을 외부로부터 제공받는다. 행동주의자(Behaviorism)들은 언어발달의 주된 과정으로서 연습과 모방에 있다는 관점을 가지고 있었다(15). 이러한 모방(imitatation)과 연습(practice)은 타자의 발화를 단순히 따라하면서 언어를 습득하는 데 있어 반복적으로 단어 혹은 구문을 익히는 데에 그치지 않는 활동이다. 그것은 모방(mimesis)과는 다른 개념이다. 단순한 반복적 연습과 이에 따른 모방에 학습자가 언어를 받아들이는데 있어서 선택적으로 받아들이며 자신의 학습 가능성 혹은 수준에 따라 학습해 가는 모방이다. 또한 모방의 대상에 대한 신뢰와 거리 그리고 친밀 정도에 따라 학습자가 타자를 모방할 수 있는 타자로서 받아들이는 과정이 언어 습득에 존재한다. 그렇게 때문에 주체인 학습자가 타자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그것을 자신의 인지 혹은 상징체계에 표상들을 다시 언어로 이끄는 것에는 교육이 필수적인 것이다.

 

2. Parents usually correct young children when they make grammatical errors. = agree

아동들 중 아직 유치원에 등교하지 않는 아동일수록 어머니가 아동의 발화에 개입하여 문법적 오류들을 수정해주어야 만 아동이 올바른 언어를 사용할 수 있다. 왜냐하면 계속된 문법적 오류의 사용은 곧 습관이 되기 때문이며, 아동은 혼자 스스로 문법적 오류를 발견하여 수정해 나갈 수 있는 지식 및 능력이 없기 때문이다. 비고츠키(Vygotsky)의 주장처럼 학습자 주체는 타자를 통해 사회관계를 가지면서 올바른 언어 학습이 가능하다. 아동과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은 교수학습 상호작용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그가 주장한 점유(appropriation)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아동의 상징체계 질서에 이미 타자로부터 학습되고 공유된 부모로부터 상호작용을 거쳐 언어의 지적 능력이 발달한다.

 

3. People with high IQs are good language learners. = disagree

 

학습자의 지능이 높아 그만큼 외국어 오류를 다른 학습자에 비해 빨리 깨닫고 그것을 자기 자신에게 충분한 언어적 지식으로서 학습한다면, 지능지수가 높은 학생이 뛰어난 외국어 학습자가 될 것이다. IQ 테스트가 문제 해결 능력을 중심으로 측정한 시험이기 때문에 외국어 학습자가 외국어 학습하는 것과 문제 해결 능력과의 관계는 서로 영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아무리 뛰어난 영재라도 동기가 없다면 외국어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없을 것이다. 또한 하워드 가드너(Howard Gardner)는 언어 능력이 단순히 논리력과 언어력만으로 해결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음악적 능력이 뛰어나면 억양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과 같이 다른 분야의 영역에서도 외국어 학습에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했다. 또한 올러(Oller)는 언어 학습 능력이 사회성에서도 큰 영향을 끼친다고 주장했다. 이처럼 단순한 IQ 보다는 EQ, MI 등등 여러 가지 관점을 통해 인간의 능력을 판단해야지 IQ 하나만을 가지고는 좋은 언어 학습자가 될 수 있는지 그렇지 않은지는 알 수 없다.

 

4.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success is motivation. = agree

 

인간 행동 그 자체가 동기를 통해서 행동한다. 심지어 학습을 하지 않겠다는 것 그 자체도 학습을 거부하는 학습자의 동기로부터 시작된다. 따라서 교사는 학습자가 외국어 학습의 동기를 가질 수 있도록 동기를 부여하고 학습자가 교사가 원하는 학습 목표에 맞춰 학습자의 동기를 전환시켜야 한다. 되르나이(Doernyei)와 길로티악스(Guilloteaux)는 교사가 동기화가 학습자의 수업 참여에 연관성이 있다고 주장했다. 학습자의 수업 집중과 수업 참여에 교사의 동기화가 크게 기여할 수 있다. 그러나 성공적인 언어 습득까지 생각하면 학습자의 동기가 이를 절대적으로 보장 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동기는 근본적으로 인간 행동의 시작이며 언어 학습에 있어서의 동기는 학습자가 언어 습득의 시작을 의미하기 때문이다. 싫은데 어쩔 수 없이 외국어를 공부하는 학생 그 자체도 그 동기에 의해서 학습을 하는 것이다. 좋은 동기의 시작이든 나쁜 의미의 동기든 간에 동기는 외국어 학습을 성공적으로 이끄는 중요한 요소인 것이다.

 

5. The earlier a second language is introduced in school programs, the greater the likelihood of success in learning. = agree

조기 외국어 교육은 아동에게 모국어 학습과 외국어 학습의 시간차를 줄일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인지적인 능력을 통해 아동이 모국어를 자신의 내적인 요소로서 무의식적으로 학습한다면 외국어는 의식적으로 학습하기 때문에 수많은 언어 사용의 실수들을 의식적으로 확인하고 고쳐나가야 한다. 더글라스 브라운(Douglas Brown)은 학자들의 연구로부터 언어와 인지 과정이 아동들에게서는 모국어를 배우는 과정과 외국어를 배우는 과정이 일반적으로 비슷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고 했다. 게다가 조기 외국어 교육을 한다는 것은 개인이 혼자 스스로 터득하는 것이 아니라 교사와 동료들의 관계를 통해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이므로 상대적으로 외국어를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을 것이다. , 조기 영어 교육을 한다는 것은 가정 형편에 따른 외국어 학습이후 외국어 사용 혹은 또래들과의 학습 수준이 아동의 외국어 학습에 영향을 끼칠 것이다.

 

6. Most of the mistakes which second language learners make are due to interference from their first language. = agree

 

모국어를 습득할 때 모방과 연습은 행동주의자들의 견해를 비추어 보면 그것 역시 습관화 되는 것과 같다. 따라서 모국어를 습득하고 나서 외국어를 공부할 경우 이미 습관화되어 있는 언어체계로부터 외국어 학습에 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이는 표현주의(expressionism)처럼 기표(signifiant)를 타자로부터 오감을 통해 받아들이는 주체가 이를 인식하고 다시 표현하는 과정에서 왜곡되는 현상과 비슷하다. 외국어를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학습자가 지니고 있는 모국어의 언어 구조와 외국어의 언어 구조를 비교하게 되거나 사전식으로 최대한 쉽게 외국어의 의미를 모국어의 의미로 끌어내어 외국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사람들과는 다른 일그러진 표현을 하게 된다.

 

7. Teachers should present grammatical rules one at a time, and learners should practise examples of each one before going on to anoter. = agree

아시아 영어 학습 배경에서 학습자들에게 문법을 가르친 뒤에는 반드시 학생들에게 배운 문법을 활용하여 새로운 문장을 완성시키거나 발화를 하도록 철저한 훈련이 필요하다. 짜오(Zhao)의 실험 연구에서 학습자가 교사 또는 동료 학습자로부터 건네받은 피드백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된 자신의 문법 지식을 단지 피드백을 건네준 자에 대한 권위에 대한 복종이라는 이유로 무작정 모방을 감행한 것이 드러났다. 즉 이는 평가 이후 연구자가 해당 학습자에 대한 인터뷰를 통해 밝혀진 사실이었는데, 해당 학습자가 피드백을 제공 받고 틀린 문법을 올바른 문법으로 학습해 나간 뒤 연구자에 의해 목표 문법에 대해 설명해라고 요청받고 답변하는 과정에서 목표 문법을 어떻게 사용하는 지에 대해 전혀 모른 것이다. 또한 이들 학습자는 시험 위주의 영어 학습자들이었다.

 

8. Teachers should teach simple language structures before complex ones. = agree

 

학습자의 성향에 따라 효과가 있고 없고의 차이가 있을 수 있겠지만, 목표 문법에 도달하기 위한 학습 속도의 차이는 단계적으로 학습을 받은 학습자와 그렇지 않은 학습자 간에 어느 정도 간격이 있다. 인지적으로 문법을 습득해야 다시 그것을 응용하여 조금 더 복잡한 구조를 사용할 수 있다고 피네만(Pienemann)은 주장하였다. 피네만은 학습자가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에서 학습자 자신의 현재 언어 능력, 새로운 언어 능력을 이해할 수 있어야 하는 기본 지식, 동기 그리고 교사의 능력이 필요하며 이를 학습자가 단계적으로 준비가 되어 있지 않으면 다음 단계의 언어를 습득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의 생각은 학습자가 자신의 언어 지식이 교사에 의해 일정 단계로 지정되고 그것을 받아들인다면 문제가 되지 않으나, 만약 수치 문화가 강한 아시아 문화권에서는 학습자의 학습 동기 저하가 발생할 수 있는 측면을 고려해야 한다.

 

9. Learners errors should be corrected as soon as they are made in order to prevent the formation of bad habits. = disagree

모국어 학습과는 다르게 외국어 학습의 경우 이미 학습자가 모국어의 언어 구조 체계가 습관화 되어 있는 상태다. 따라서 외국어를 배우려는 학습자는 원어민 수준의 외국어를 구사하지 않는 이상 의식적으로 외국어를 사용한다. 따라서 잘못된 외국어 습관은 의식적으로 고칠 수 있다. 다만 학습자 개개인이 사회과정을 거치면서 받아들인 자신의 성격과 문화에 맞게 피드백을 받아야 한다. 예를 들어 사토(Sato)의 연구에서 학습자들은 피드백을 받을 때 순간적으로는 당황할 수 있겠지만 학습효과는 즉각적인 피드백이 더 좋았다 라고 인터뷰에서 대답을 하였으며, 신타니(Shintani)의 연구에서는 직접 글쓰기 피드백 오류를 지적하는 학습법보다 학생들에게 오류 수정 방향을 고민하게 하게끔 해준 학습법이 더 효과가 있었다.

 

10. Teachers should use materials that expose students to only those language structures which they have already been taught. = disagree

만약 학습자가 교사의 교육 자료를 쉽게 이해하는 영역 혹은 이해하지 못했지만 목표 학습 단계를 배웠기 때문에 되새김이 가능한 상태라면 복습뿐만 아니라 앞으로 다음 단계를 배울 수 있는 기초를 초시간성을 지닌 교육 자료는 학습자에게 학습에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나 라이트보운(Lightbown)이 피네만(Pienemann)의 견해를 통해 학습자의 단계적 학습 능력은 학습자가 들리는 말의 흐름에 인지하고 기억하는 발달 능력이 기반 되어있다고 주장한 것처럼, 학생들이 습득할 수 있는 단계가 있어 그 이상의 단계는 무의미 할 수 있다(177). 다만, 학습자가 배우지는 않았지만 교육학적 측면에서 보았을 때 일부 교육 자료에 배우지 않았지만 앞으로 배울 언어구조를 제시해 준다면, 학습자는 추후에 있을 학습 시간에 다음 언어 구조 영역을 예상하게 될 것이다.

 

11. When learners are allowed to interact freely (for example in group or pair activities), they learn each others mistakes. - disagree

 

사토(Sato)의 연구에 따르면,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또래 집단의 학습에 있어 일부 학생들이 서로를 교정 피드백에 대해 불신했다고 보고하고 있다. 즉 학습자들 사이에서 또래 학습을 통해 상호관계를 맺으면서 흥미 있는 수업을 하고 있다고 학습자 개개인이 생각하고 있는 것이지 교사보다 정확한 언어 구사 능력과 피드백 능력을 동료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따라서 이들은 동료에 대해 불신하고 자신이 발화한 언어와 동료 발화 언어에 대해 비교하기만 한다. 이에 대해 짜오(Zhao)는 동료 피드백에 있어 교사의 중재는 필요하며 동료 상호관계 학습 이전이나 이후에 해당 목표 문법을 학생들에게 수업하고 피드백을 줘야 한다고 주장했다.

 

12. Students learn what they are taught. = disagree

학습자가 타자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것을 배운다고 하기는 학습 자체가 제한적이다. 언어 학습에 있어서 공통 문법 가설을 주장한 촘스키(Chomsky)의 주장처럼 학습자는 생득적으로 가지고 있는 언어 구조 원칙에 의해 제한적인 학습을 통한 언어를 활성화하여 새롭게 창조할 수 있다. 또한 만약 학습자가 타자로부터 가르침을 받는 것을 배워야 하는데 그러지 않을 수도 있다. 피아제(Piaget)의 주장처럼 언어학습이 인지 발달에 따른 언어 습득 과정에 근거로 한다면, 학습자가 언어 습득을 하는 데 있어서 인지 발달 능력이나 아니면 동기나 여러 내부와 외부 학습자 사정에 의해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서 가르침을 받은 것을 학습 하지 않을 수 있다.

 

참고문헌

Brown, H. D. (2007).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White Plains, NY: Pearson Longman.

Lightbown, P., & Spada, N. M. (2006). How languages are learned.

Oxford england: Oxford University Press.

Sato, M. (2013). Beliefs about peer interaction and peer corrective feedback: Efficacy of classroom intervention. The Modern Language Journal, 97(3), 611-633.

Shintani, N., & Ellis, R.(2013). The comparative effect of direct written corrective feedback and metalinguistic explanation on learners' explicit and implicit knowledge of the English indefinite article. Journal of Second Language Writing, 22(1), 286-306.

Zhao, H. (2010). Investigating learners’ use and understanding of peer and teacher feedback on writing: A comparative study in a Chinese English writing classroom. Assessing Writing, 15(1), 3-17.


(아래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