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 & Cloud Nine

2010. 10. 2. 11:02Literatur/English

반응형

* 함부러 퍼가지 마세요~~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의 작가 Tom Stoppard는 이중적인 정체성 문제에 대해 주로 언급하였다. 대부분 말장난을 선보이며 극중극이 포함되어있다. 부조리극 스타일을 지니며 패러디를 구사하였다. 햄릿의 친구가 주인공으로 이 극에서는 등장하기 때문이다. 시간의 의미가 없다. 의미없이 단어 게임을 펼치며 그것이 철학적이지는 않다. 삼단논법을 Guildenstern을 사용하며 복잡한 철학이 담겨 있기도 하다. 반복되는 단어는 이 극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Rosencrantz는 메타 드라마를 언급하여 배우들이 연극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Guildenstern은 의심과 확신이 없다. 그리고 목격자가 많아지ㅕㄴ 신비감에서 기정사실화 됨을 말한다. Rosencrantz는 삶자체가 무의미하기 때문에 정체성이 바뀌어도 상관없다고 말하며 Shakespear의 작품속 보잘 것 없는 인물이기 때문에 Parody로 무의미한 등장인물이라이름이 중요하지 않으며 유형화된 인물로 드러남을 이야기 한다. 이 세상이 마치 부조리 함을 예고한다. 어떠한 언어를 사용하는가? 어떠한 위트를 발휘하는가에 대해 의문을 가진다. Rosencrantz Guildenstern은 죽을 운명임을 암시하면서 자신들이 죽을 운명인데 Chance를 사용한다. 반복되는 행위와 말장난을 구사한다. Off-stage를 사용하며 말도안되는 게임을 일삼는다. 독단적인선례를 통해 무대퇴장과 성적임을 의미하기도 한다. 연극 배우는 삶이 등장인물이고 이것이 실재무대인지 실재 등장인물인지 의문을 재기한다. 일상과 무대는 하나이며 역할극에의해 정체성을 역할극 펼친다. 햄릿의 2 1장이 등장하며 아버지가 복수 명령함을 드러낸다. 본인들 마저 상황에 혼동을 하며 바로잡는데도 거꾸로 활동한다. 본질적인 정체성을 알수없다. 자신이 누군지 모르는 정체성 상태이다. Rosencrantz는 자신이 연기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으며 연기를 하며 시간 벌고 논다고 생각하며 연기한다. Rosencrantz는 각광 속에 일부러 들어가 자기가 연기하고 무대위에 있다고 인식하고 연기를 펼친다. 두주인공의 세계에 의문과 질문밖에 없다. 정체성이 중요하며 이름을 부른 다는 것은 정체성을 만들어준다. Rosencrantz는 고도를 기다리며를 흉내내듯 짧은 대사를 펼치며 역할연기에 감을 잡지 못핟다. 관객은 듣는데 상대는 못듣는 방백을 펼친다. 이극 은 세익스피어 재구성을 펼치고 있다. 의도적으로 미친짓하는 햄릿을 볼수 있다. 두주인공은 대화가 꼬리를 물고 의미없는 대화를 일삼는다. 에드립을 펼치기도 하며 대본은 질서이고 관객반응은 없다. 에드립은 즉흥과 인위, 우연, 임의를 가진다. 햄릿은 주인공이 아니기 때문에 대사가 짤막하다. 관객이 없는 공연은 존재하지 않음을 배우는 알린다. 연극은 배우와 연극이 존재하고 실재와 경계선이 허물어지며 삶속이 배우이다. 관객없이 공연했던 내용을 배우는 말한다. 배우는 세익스피어 햄릿의 핵심은 죽음과 불확실이다. Guildenstern은 혼자말을 할경우 조리있는 말을 한다. Rosencrantz는 죽는 것에 관심을 가지고 있다. 두 주인공들은 자신들이 죽는다는 것을 알고 있는지에 대해 의문이 생긴다. 우주에서 사는 죽음과 방향상실이 담겨 있으며 잘 끝나는 것이 없다. 아리스토 텔레스 시학이 나온다. 원래 배우의 공연이야기 에서 점점 햄릿으로 변한다. 눈앞에 자신의 죽음을 Rosencrantz는 보고 있으며 작품전체의 클라이 막스를 보인다. Guildenstern은 철학적이며 실제연극과 현실을 혼합되는 상황도 보인다. 몸을 많이 사용하는 코미디를 펼치는 데 그것은 죽음과 운명과 햄릿이 뒤얽힌 햄릿속에 존재한다. 주인공과 대비되는 포틴프라스가 나온다. 어디있는지 모르는 상황이고 어디에 처해있는지 모르는 상황이다. 어디 있느냐에 대한 강조와 타고 들어갔으면 알수 있을텐데 그것마저 모른다. 무대배경이 어두워서 시간과 공간을 파악하기 힘들다 심지어 관객뿐 아니라 배우조차 모른다. 등장인물도 모른다. 죽음에 관한 것은 나와있지 않으며 자기가 연극을 한다는 것을 어느정도 알고 있다. 연극 행위 대상이 큐를 한다는 것이다. 연극 속 인물이 할게 없는 모습도 보여준다. 누가 ㅈ누가누군지 구별못하는데 차별도 못한다. 배우로서 할게 없으며 즉 목숨과 관련이 있다.자기가 여기서 죽음하면 연극이 안된다는 것을 Rosencrantz는 알고 있다. 이 사람들의 존재에 대해 모든 것을 의문시를 Guildenstrn은 한다. 운명을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선택할 수 있었는데 그러지 못했다. 우리가 알수 없는세계에서 이기는 게임이 아니다. 결정되어 있다. 햄릿의 모습을 나열한다. 자신이 연극한다는 것을 알고있다. Rosencrantz Guildenstern은 편지를 보고 Hamlet이 바꿔치기하는 것은 원작과는 다르다 .다시 선택할수 있는 기회를 Guildenstern은 생각ㅎ나다. 갈이 소품용 칼을 사용하며 항상 죽음에 관한 것을 생각한다. 주인공이 잘했든 못했던 것은 알지 못한다. 기발한 패러디로 암울한 죽음 속에서 이미알고 있는 결말로 유머와 위트를 지니고 있고 주제는 실존과 인간조건 그리고 삶의 조건에 대한 부조리를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동전 한쪽면은 우리의 일상이 상식적으로 이해하지 못한 세계를 뜻하며 우리가 논리적으로 이성적으로 이해하거나 설명할수 없는 사회를 뜻하며 대처할수 없다. 코미디로 연기를 하며 고차원보다는 저차원적인 웃음을 제공 하며 지적인 말장난과 언어를 중요시 여긴다.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게임의 규칙을 이해 못하는 모습을 보인다.인생이라는 코믹캐릭터이며 인생에서 대본이 없는 연극을 보여준다. 즉흥적으로 연극할 수밖에 없다. 강요된 연극의 희생자들로 바꿀수 있는 기회는 있었지만 그러지 못한다. 우주의 질서를 이해할수 없는 실존주의적 경향이 강하다.

스토파드의 인물들은 특정한 이데올로기의 대변인으로 작용할 수 있으나 어떤 인물도 작가 자신의 목소리를 대변하지는 않는다.  1979년의 한 인터뷰에서 그는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나는 나의 견해를 표명하는 주인공이 있는 극을 쓰지 않는다.  나는 논쟁극들을 쓴다.  나는 하나의 목소리보다는 두사람을 위하여 쓰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극중인물들의 견해에 대한 작가의 판단을 거부하거나 최소한 유보하는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스토파드의 탁월한 성격묘사는 그가 공감하거나 혹은 공감하지 않는 인물들을 이상화시키려는 것을 자제한 데에서 기인한다. 스 토파드는 주변적인 인물과 때로는 삶 그 자체의 주변을 주인공으로 삼는다.  인물들은 어떤 중대한 행동의 중심부가 아니라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있는 고독한 사람들이다.  자신들에 대한 진지한 믿음을 지니고 그들의 생을 이해하고 정당화시키기 위하여 노력한다.  그러나 자신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할 능력이 없으며 그들이 처해있는 환경을 거의 이해하지 못하거나, 혹은 이해했다손 치더라도 그들의 능력으로는 불가항력적이다.  이러한 면에서 스토파드의 인물들은 부조리극의 인물들과 곧 잘 동일시되곤 한다. 그 러나 스토파드 극의 혁신적인 면은 새로운 인물형의 창조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 반복되는 특정한 주제에서도 볼 수 있다.  관점의 중요성, 인식의 상대성과 같은 것들이 그것인데 이것들은 플롯에서는 부수적인 것이나, 극의 효과나 드러내고자 하는 궁극적인 의지설정에 있어서는 꼭 필요한 극적요소가 된다. 스 토파드의 작품들에게 가장 놀라운 특징은 극의 끊임없는 자의식이다.  극적 전통에 대한 의식으로부터 극형식과 주제를 끌어들였을 뿐 아니라 인생과 무대간의 유추로서 play metaphor를 만들어냈다.  또 예술가의 본질, 예술가의 책임, 사회적 위치에 대한 의문점을 갖게 하고 예술의 타당성과 그 의미에 도전하도록 이끌었다.  이러한 태도는 그의 예술관에서 자연스럽게 표출될 수 있는 것이다. 예술이란.... 그것으로부터 우리의 세계에 대한 판단을 하는 도덕적 모체, 도덕적 감수성을 주기 때문에 중요하다. 톰 스토파드의 작품들은 자신의 관심사뿐만 아니라, 영국의 연극계에서 주도적인 극작가로 자신을 확립시켜 가는 일련의 과정을 반영하는 몇 개의 분명한 단계로 구분되어 질 수 있다. 특 히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 <말퀴스트 경과 미스터 문 Lord Malquist and Mr Moon>으로 대표되는 초기 작품들에서, 스토파드는 자신의 삶과 세계 속에서 의미를 찾으려는 현대인의 절박한 노력과 동시에 작가가 되기를 열망하는 작가 지망생이 창조적 작가로서의 자신의 정체성을 확립하고자 하는 고통스런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초기 작품들의 주인공들은 구원이 불가능한 혼돈 속에 갇혀, 결국 의미 없는 죽음을 당하게 된다.

Waiting For Godot(고도를 기다리며) 해질 무렵, 어딘지도 모르는 시골길에서,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이라는 두 사람의 떠돌이가 고도라는 인물(이를테면 절대자)을 기다리는 동안 부질없는 대사와 동작을 주고받으며 시간을 보낸다. 거 기에 노예 럭키를 데리고 포조가 등장하여 역시 두서 없는 대화를 나누다가 떠났는데, 심부름하는 양치기 소년이 와서 "고도는 내일 온다"고 알려 준다. 두 사람은 계속 기다린다. 2(다음날)에서도 거의 같은 내용이 되풀이되는데, 이번에는 포조가 장님이 되어 있으나 럭키는 달아나려고 하지 않는다. 관객은 고도가 누구인지 갈수록 알 수 없게 되지만, 두 사람은 여전히 기다리고 막이 내린다. 작자는 '기다린다'는 기묘한 행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의 그늘에 숨어 있는 현대인의 존재론적 불안을 독자적 수법으로 파헤쳤다.

"진실이란 우리가 진실이라고 믿는 것에 불과하다", 라는 극중 대사처럼 어느게 진실이고 어느게 허상인지 구분을 못하며 어리둥절하는 두 친구의 모험담쯤으로밖에 안 보였으니까말이다.

, 부조리극은 전통의 무대 행위와는 전혀 다른 기법이라는 측면과 더불어 극중의 상황과 인물들이 그들의 이성과 의지로는 이해할 수도 없고 해결할 수도 없는 ‘부조리’한 상황에 내동댕이쳐 있음을 말해준다.

작품의 제목에서 암시되듯 죽음은 이 작품의 전편에 깔려 있는 한 주제이다. 죽음은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 두 주인공이 주고 받는 화제의 주를 이루고 있다. 그들은 실제로 죽어서 관 속에 누워 있는 것을 가상도 하며 죽음이란 무엇인가에 관해서 ‘존재의 부재’라고 하는가 하면 ‘궁극적 부정’으로 소멸하는 것을 말하기도 한다. ‘유일한 시작이 출생이요, 유일한 종말이 죽음’이라고 하지만 자신의 종말이 다가올 때 미지의 세계에 대한 두려움을 지울 수가 없다. 죽음이란 인간에게 있어서 최후적인 행위요 피할 수 없는 현실로 받아들여질 수밖에 없다. 이 두 주인공은 작가에 의해 씌어진 각본에 따라 인생에 있어서나 연극에 있어서 그들의 죽음을 완성하는 것이 그들의 목적이다. 다시 말하면 오직 죽기 위해서 태어난 것이다. 이미 정해진 상황에 처한 인간은 이 이 세상에 존재하는 것만으로 자유 선택의 제한을 받는다.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본래 셰익스피어의 <햄릿>에 잠깐 등장하는 별볼일 없는 캐릭터였다. 오죽했으면 로렌스 올리비에의 <햄릿>(1948)에서는 아예 삭제된 배역이 됐을까! 톰 스토파드는 이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햄릿>을 패러디했다. 이들이 파악하고 있는 <햄릿>의 내용은 완전히 엉뚱한 허방짚기의 연속이어서 관객은 배가 아프도록 웃어젖혔다. 그러나 톰 스토파드의 이 독창적인 코미디에는 심오한 철학적 주제 혹은 실존적 슬픔이 배어 있다: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끝끝내 자신들이 그 스토리의 진정한 주인공이라고 굳게 믿고 있는 것이다!

 

Cloud Nine

 카릴처칠은 60년대 여성해방운동을 초창기 작품을 가지며 70년대 페미니즘 작품 등장 및 인식이 부각된다. 페미니즘 작가이다. 마가렛 대처가 영국의 정권을 잡고 최초의 영국 여성수상으로 보수적인 정치 노선을 표방하였으며 시장 중심주의를 가진다. 다수지식인 노동당이 대게 사회주의적이고 페미니즘 적이었다. 1945년이전 지구절반이 영국인시기에서 1945년 이후 소련과 미국의 시대를 거쳐 식민지 와해 및 독립을 하지만 많은 식민인들이 영구으로 오게 되고 영국이 다문화를 가지며 영국 전통이 와해된다. 대처는 이에 돌아가려하지만 이에 처칠이 비판을 한다. 1막은 비토리아 제국주의 전성시대를 나타내며 2막은 현대시대다. 브레히트는 관객을 연극 내용으로부터 작품속에 빠져들게 하지 않는데 이를 처칠은 이용했다. Clive는 집의 가장으로 아프리카 지배를 하여 아프리카의 아버지이다. 아버지의 상징이며 가부장제 표상이다. 그녀의 아내 Betty의 존재는 자신에 의해 만들어진다고 하고 Betty는 아버지의 표상에 순종적이다. 남성질서 속에 만들어지는 아내이며 남자가 연기하고 남자들에 의해 좋은 아내가 된다고 한다. Joshua는 백인에 의해 연기되어 지며 백인을 닮고 싶어한다. 인종차별과 식민주의, 제국주의 , 백인질서에 순응하여 백인화되려고 한다. 이원화시켜 우위와 열등을 그려내며 전형적인 서구의 형이상학적 논리를 주장한다. 1차 논리인 Clive와 제국주의, 가부장제, 남성, 백인을 상징하는 것은 결국 탈구조주의의 공격대상이 된다. 가정의 천사인 아내는 나라를 희생해서 봉사한다고 생각하고 19세기 이성애적, 제국적, 가부장적인 젠더 역할을 Clive는 보여주고 있다. Gender체제는 Cross casting Edward를 통해서 드러낸다. 여왕폐하의 영토지역에서 대영제국과 제국이미지를 떠올리게 한다. Clive가 원하는 gender에서의 남성 즉 남자다움과 어울리지 않은 Betty를 그려내며 Edward는 남자로 요구하지만 gender 사회에 부합된다. 말장난을 주로하며 Clive가 봤을 때 남성적 gender를 보여주고 있지는 않다. Maud는 전형적 여성 정체성을 충실히 살아가며 Betty에겐 일탈과 탈출 욕망을 주입시킨다. 여성은 항상 수동적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남자와 여자 일의 영역을 놓고 Gender 이데올로기를 가진다. Clive는 의무와 기쁨과 즐거움을 누리는데 여성은 이를 선택하지 못한다. 이는 보이지않는 이데올로기가 작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남자의 보호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남자에게 수동적인 것을 Clive는 요구한다. Betty와는 다른 정체성을 Mrs. Saunders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Harry Clive와 다르게 흑인을 야만인이라 생각하지 않고 좋게 평가한다. Joshua는 자기스스로 백인이라고 생각한다. Harry Betty를 보면서 엄마역할을 권ㅇ퓨하며 전형적인 여성의 모습을 생각한다. Betty는 가정의 천사가 집밖에 나가며 가정의 태도를 벗어나고 싶어한다. 여성에게 부관된 gender를 강요하지 않으려 한다. Clive가 그린 이미지는 제국주의적이고 가부정적이인데 Harry gay로써 제국주의적 가치관을 충실히 하는 이중적인 양성 가치관을 가지고 있다. Clive는 이중잣대를 가지고 있어 여자이기 때문에 당신은 안되고 나는 된다는 논리를 가지고 있다. 위험하면서 매혹적인 말을 Saunders 에게 말하면서 전형화시키고 코믹하게 보며 단어를 중시한다. Deward는 남성다운 Gender가 여배우로 연기하고 사대답지않고 공놀이하고 인형하고 논다. Harry는 자신의 문제를 알고 있다. 자신이 문제있는 양이라고 한다. Betty는 일탈하고 싶고 벗어나고 싶어한다. Harry는 딸이고 엄마고 아내인 Betty를 보며 Harry가 우너하는 건 이상적인 여서상을 원하며 불륜은 아니다. 충실한 아내로써 Betty를 원한다. Betty Ellen에게 흠모당한다. 그녀는 이데올로기에 충실하며 이분법적이다. Ellen Betty에게 키스한다. Clive는 영국 시대 대변하는 가부장적 질서를 보이고 모든인물은 각자 나름의 비밀적 욕망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비밀욕망에대해 1-3에서 처벌한다. Mrs saunders는 사회에 어울리지 않는 인물이며 과부다. Maud는 가장 전통적 여성이며 가부장에 충실히 시행한다. Betty는 아들을 남자답게 키우려고 한다. Joshua는 자신이 백인이 되고 싶어한다 Clive Betty의 상황을 알고 있고 의지를 잃고 감정에 쉽게 빠지는 참을수 없는 의지를 여성은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다. Cross cast는 이데올로기를 일깨워주며 자연스러움은 가공되어진것이라고 주장한다. 식민주의는 정치, 경제 사회적 계층구조를 남성과 여성의 관계와 관련시킨다. Joshua는 철저하게 식민화된 인물의 전형이다. 가족은 도구장치다. 제국주의 유지휘해 강력한 사상이 필요하며 그것이 바로 지배 이데올로기를 작동시키는것이다. Clive는 남성과의 관계를 우정과 정신적이고 고상한 관계로 취급하며 여성과의 관계는 육체적이고 의무적이다. Clive는 여성의 하위로 둔다. 해체주의는 우리인간이 특정한 가치체계를 위해 만들어진 것 즉 가부장제를 지니며 복장전환은 가공적으로 만들어진 여성적 gender 해체를 목표로한다. ㅇ 결혼함으로써 모든 것을 다 해결하는 모습을 Harry에게 보여준다. 문화적 압박이 내재하며 Harry의 모델은 clive. 1막 마지막에 위험은 사라지지 않고 계속 존재한다. Edward는 지배적 이데올로기로 한 덩어리로 하나의 이념과 기치로 나아가긴 힘든 전체주의를 보여준다. 2막에서는 여자아이인 Cathy가 총놀이를 하고 바지를 입음으로써 gender의 문제를 보여주며 학교가면 놀림을 받는다. Edward는 직장에서 퇴사당할까봐 gay를 숨긴다. Gerry Edward는 여러 사람과 한사람 사랑간의 차이가 있다. Lin은 문화적으로 가해지는 gender의 압박을 가진다. Bettyd게 독립심이 모두 결여된 기분을 가진다. Lin은 제국주의의 잔재가 남아 있다고 한다. Gender란 무엇인지 Gerry Edward 사이에서 보여준다. Edward는 여자로써 여자를 좋아하며 이성애와 동성애간의 해체와 남자와 여자간의 해체를 보여준다. 여호수아는 가부장질서를 나타내며 Lin Edward는 반기독교적이기 때문에 지배에 속해있지 않다. 여성성회복의식을 가진다. Sexparty 또는 다산을 의미한다. Edward는 자신은 레즈비언이라고 생각한다. Cloud Nine 노래를 통해서 또다른 질서와 새로운 질서를 암시한다. Sex 의식은 현존의 또다른 모습이며 현실에서 존재하지 않은 삶으로 여신을 대변한다. 유령은 과거의 제국주의적 이데올로기가 잔재하고 있고 영향력이 현재도 남아 있음을 보여준다. 어떤 시대의 가치관에 따라 좋고 나쁨이 다르다. Lin은 또하나의 여성이다. Betty는 새로운질서를 만들어야한다고 생각한다. Betty와의 포옹은 한단계 성숙한 모습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