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9. 26. 14:34ㆍLiteratur/English
위 자료는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정리한 것이므로 함부러 불펌하지 마시고 참고만 하세요~~ 틀릴수도 있습니다.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에 대한 착상은 스토파드의 대행인이었던 Kenneth Ewing에 의해 제기되었다. 그는 Ros.와 Gil.이 햄릿과 함께 영국에 도착했을 때 누가 영국의 왕이었겠느냐는 흥미로운 생각을 했는데 스토파드는 이러한 가능성을 유념에 두고 <햄릿>을 희화화했다. 스토파드가 셰익스피어의 극의 대사를 현대극의 텍스트 안에 도입하거나 희화화한 최초의 작가는 아니며, 이전에도 여러 작가들에 의하여 시도되었다. 특히 스토파드의 작품과 관련이 깊은 W.S. Gilbert의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에서는 Ros.가 햄릿보다 여러모로 뛰어난 자질을 가지고 있어, 어렸을 때의 애인이었던 Ophelia를 차지한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다. 스토파드는 길버트와 같이 기발한 착상에 머무르지 않고 <햄릿>을 기본적인 골격으로 하면서 ‘빌려온’ 인물들에 나름대로의 인생관을 융합시키고 있다는 점에서 독창성이 있다.
스토파드의 극은 베케트와 마찬가지로 인간조건에 대한 작가의 불안감을 그리고 있다. 베케트보다는 불안감이 덜하고 현존하는 문학과 기존의 문화에 그 뿌리를 두고 있으나, <로젠크란츠와 길덴스턴은 죽었다>가 <햄릿>을 무대 위에서 베케트적인 시각으로 바라보며 다시 쓴 작품이라고 평가되듯이 <고도를 기다리며>와 비교해 보면 인물묘사, 무대설정, 언어구사 등에서 유사점이 많다. 두 극은 모두 소극(Farce)에서와 같은 연기와 심각한 철학적 명상이 반복되는 부조리극의 일종이다. 심리학적으로 Ros.와 Gil.은 블라디미르와 에스트라공와 같이 한 쌍을 이루어 지배적 성향과 복수적 성향이 섬세하게 균형이 잡혀 있고 서로 의존적이다. 또 두쌍이 공포에서 벗어나기 위하여 끊임없이 놀이를 한다든지 과거에 대한 이해가 희박하다는 점에서도 동일하다.
언어적 측면에서 스토파드는 부조리극으로부터 많은 것을 차용하고 있다. 진부한 말놀이(Word Play)로 다시 철학적 명상으로 이끌어가기 때문에 이오네스코가 소위 “언어의 비극”이라고 불렀던 것을 환기시킨다. 특히 부조리극의 특징인 존재론적인 의문과 부조리적인 사고방식에 있어 T.S. Eliot와 S. Beckett의 음영을 곳곳에서 찾아볼 수 있다. 그러나 스토파드의 극이 부조리극과 구별되는 점은 문체상으로는 논리적이고 극의 플롯이 인간관계에 근거를 두고 있다는 것이다.
이 작품의 가장 특징적인 면은 인간상황에 대한 이미지로서 연극적 상황을 도입하고 있다는 것이다. 인간의 존재상황을 연극과 대비하는 것은 셰익스피어 이래 피란델로에 이르기까지 자주 나타나는 모티브이다. 스토파드의 극에서는 텍스트(즉 햄릿 대본)는 등장인물들에게 운명의 거미줄 같은 역할을 한다. 그들이 쓰지도 않았고 결코 이해할 수도 없는 역할로 텍스트에 구속되어 <햄릿>의 플롯 안에 포함되지 않은 어떤 행동이나 사고도 할 수 없는 상황에 처해 있다.
극 세계에 대한 유추의 적용은 실세계와 극세계의 ambivalence가 아니라 <햄릿>의 세계와 그것에 얽매어 있는 두 인물의 세계가 충돌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즉 <햄릿>의 플롯에 참여하는 “on-stage world"와, 그것과는 별개로 그들이 처해있는 상황을 이해하려 하는 ”off-stage world"라는 두개의 극적 리얼리티가 존재한다. 여기에서 이 극의 아이러니가 드러난다 예를 들자면 햄릿이 클로디어스에게 과거를 상기시키려고 <곤잘로의 살인>을 공연시키듯이 스토파드는 두 인물이 그들의 미래에 직면하도록 극의 구조를 전개시킨다. (Gil.과 Ros.와 똑같은 옷을 입은 스파이들이 왕에게 편지를 건네주고 처형당하는 장면)
셰익스피어는 <햄릿>에서 Ros.와 Gil.에 대한 정보를 거의 주지 않고 있다. 스토파드도 똑같이 그들의 과거생활에 대하여서는 아무것도 말하지 않고 있으나 그들의 주변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두 인물은 어떤 일이 일어날 것인가에 대해 거의 알지 못하며 그들이 들었던 것은 대부분은 진실이 아니다. 그러므로 그들은 삶의 중심 무대에서 벗어나 가장 자리에서 맴돌 뿐인 순진무구한 인물들에 불과하다.
<햄릿>을 보는 관객의 공감은 햄릿에게 쏠리기 마련인데 비해 스토파드는 관심을 두 사람에게 주고 있다. 그렇다고 해서 주인공에 대한 전통적 해석체계를 바꾸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주위에서 펼쳐지는 행동을 조금도 인지하지 못한 채 무대의 후면에 전락되어버린 인간, 즉 영원한 부재의 본질을 탐구하려는 것이다.
두 인물은 자신의 역할과 생의 무의미함에 의하여 점차적으로 혼란되는 시나리오를 연기한다. “the only being is birth and the only end is death(Act Ⅰ)"라고 인식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의 존재에 어떤 목적이 있을 것이라는 것을 믿으나, 그 신념은 점차 사라져가고 만다. 그들의 생은 보다 큰 사슬에 매어있기 때문에, 그들에게 할당된 역할을 ”We don't question..We don't doubt.... We perform"해야만 하는 것이다. 따라서 현재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문제는 순간순간 생존할 필요성이 된다.
이런 상항에 닥쳐 그들이 선택할 수 있는 전략은 공포를 잊기 위하여 놀이를 하고 의미없이 또 다른 질문만을 낳는 질문을 하는 것이다. 또 과학적 놀이로서 존재의 패턴과 목적을 찾으려 한다 그러나 이 모든 방어벽은 허물어지고 만다. 언어유희는 자신들의 아이덴티티에 대한 혼란스런 의문점만 가중시킬 뿐이며 동전던지기도 확률에 어긋나며, 대화는 “Do you think conversation is going to help us now?라고 반문함으로써 어떤 논리적 설명도 그들의 곤란에 해답을 줄 수 없다는 것을 인정한다.
이 극에서 그들이 소유한 유일한 자유는 죽음이다. 죽음을 통해서만이 인간으로서의 존재여부를 인식할 수 있는 것이다. Ros.는 관속에서 자유를 가질 수 있다는 환상을 갖는다. Life in a box is better than no life at all, I expect. You'd have a chance at least. You could lie there thinking-well, at least I'm not dead! In a moment someone's going to bang on the lid and tell me to come out! 그러나 이러한 환상은 자기 기만적인 것일 뿐이므로 지속될 수 없다.
배가 목적지에 가까워짐에 따라 환상이 조금씩 와해되기 시작하여 언어자체도 붕괴되기 시작한다. 공포가 보다 위협적이 되자 그들은 논리에 맞지도 않는 말을 기계적으로 되풀이 할 따름이다. 이것은 본질상 위협이 객관화되어 있지 않지만 언어의 단편화라는 측면에서 해롤드 핀터가 사용한 것과 같은 기법이다.
이 극은 여러 차례에 걸쳐서 관객의 존재에 대한 인식을 보여준다. 그 결과 관객은 하나의 역할을 분담받아 진리의 확립에 동참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하게 된다. 극이 진행되는 동안 관객은 일시적인 진공상태 안에 존재하고 한편으로는 그 인물들과 같이 절대적인 신념을 기다리면서 시간을 보낸다. Ros.와 Gil이 살고 있는 세계는 허구의 세계이다. 여기에는 정의할 수 있는 진리도, 확립된 패턴도, 추구해야 할 도덕률도 존재하지 않는다.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 연극과 영화비교>
<들어가기에 앞서>
사실 이 영화는 극작품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를 각색한 첫 영화가 아닙니다. 극이 성공한 직 후 1968년 MGM사의 요청으로 Stoppard는 이미 영화로의 각색 작업을 한 적이 있었습니다. 그러나 당시 그는 성공작이었던 자신의 극작품을 보존하는데 치중해 영화라는 매체에 적합하지 못한 대본을 쓰고 말았습니다. 20여 년이 흐른 뒤에야 원작으로부터 자유로워진 그는 연극과 영화 매체의 차이에 대한 의식을 바탕으로 이 연극을 알맞게 영화화 할 수 있었습니다.
<전반적/형식적 차이>
1. 연극에서는 베켓의 실존주의적 내용이 틀을 이룬다면 영화에서는 셰익스피어의 예술(연극)과 인생 사이의 관계, 즉 '세계는 무대이다.'라는 주제가 주된 틀을 이루고 있다
ex) 목욕탕 장면
리허설 장소 & 무대
실존주의란?
개개인의 인간이란 낯선 우주 속에서 던져진 고립된 존재이고 우주는 인간적인 진리나 가치가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것이라고 보고 인생이란 무로부터 시작해서 무로 끝나야 하는 까닭에 고뇌에 차 있는 부조리한 실존이라고 보는 것입니다.
2. 연극은 정체되어있는 반면, 영화에서는 끊임없이 움직이고 있다는데 차이가 있습니다.
Ros : Not by himself... Coming this way, I think. (Shiftly) Should we go?
Guil : Why We're marked now.
3. Los와 Guil의 관객 역할 강조
ㄱ. 창문이나 문 같은 틈을 통해 성 안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결정적인 대화 장면을 우연히 목격하지만 당사자들은 Los와 Guil을 의식하지 못함
- 한 발짝 물러서서 ‘Hamlet’이라는 연극을
지켜보는 듯한 느낌, 스파이 역할 암시
ㄴ. 우연히 목격하는 장면이 아닌, 유랑극단이 공연하는 연극 자체를 끼워 넣음으로써 Los 와 Guil에게 보는자(viewer)의 역할을 반복 수행하게 함
- 반복을 통해 그들이 죽을 운명에 처했음을 암시해 줌으로써 그 상황을 탈주할 수 있는 가능성 부여
<장면적차이>
1. 동전던지기 게임
[연극] 시간을 보내기 위해 일정한 장소에서
[영화] 말을 타고 이동하는 중에 우연히 동전을 발견하게 되며 이동하면서 게임을 반복
이동 중인 장면은 영화에서만 가능한 점
2. 유랑극단의 마차
[연극] 단순히 무대 소품을 운반
[영화] 관객이 있는 곳을 찾아가서 마차 자체가 무대로 변환 됨
3. Ros와 Guil이 숲속에서 Elsinore 성으로 이동하는 장면
[연극] 조명만 바뀌면서 Hamlet과 Ophelia 등장
[영화] 휘날리는 종이들 (시각적) : 대본
비명소리 (청각적) : 도망가는 Ophelia
휘감은 천을 헤치고 나옴 : 무대의 커튼
→ ‘Hamlet’이라는 연극 무대의 연기자로 등장
4. Rosencrantz의 과학적 발견
[연극] 죽음 같은 철학적 주제에 관한 토론
[영화] 무의미한 철학적 대사 분량 축소. 우둔한 Ros가 고전 물리학의 개념을 직관적으로 알게 되는 장면들을 첨가
But, 중요한 발견들이 코믹한 상황과 함께 묻힘
Stoppard의 재치와 위트
Ex.
(i) 물의 부피가 줄어들 때 수면을 따라 종이배도 낮아지는 현상 (부력의 원리)
But, Alfred의 벗은 뒷모습을 보고 넋이 나감
(ii) 대본으로 접은 종이 비행기를 날리자 다시 되돌아오는 현상 발견 (베르누이의 원리)
But, 관심을 가지지 않고 구겨버림
→ 주변인물의 삶을 사는 Ros의 운명
5. 영국대사가 Ros와 Guil의 죽음을 알린 후
[연극]‘Hamlet’원전의 대본대로 막을 내린다
[영화] 유랑극단이 배를 만들었던 장치들을 꾸리는 장면으로 바뀌고 무대가 다시 마차가 되어 영화 시작 장면의 숲 속으로 옮겨짐. 시작과 결말의 배경을 연결시킴으로써 다시 대본의 처음으로 돌아감을 암시
배의 활대 끝에 목을 맨 상황에서 Guil의 마지막 대사
“ 처음 시작할 때 어느 정도 거절할 수도 있었을거야 . 그 시기를 놓치고 말았어. 다음엔 더 잘하겠지 뭐. ”
→ 다음을 기약하는 대사를 집어넣어 관객의 다양한 해석을 의도함
Growing Up On Cloud Nine : Gender, Sexuality, and Farce
by Susan Bennett
Ⅰ. 서론
-시대의 변화에 따라 각색된「Cloud Nine」
Ⅱ. 본론
1. 1979년
- 마가렛 대처의 경제학을 비판하는「Cloud Nine」
2. 1981년
- 미국적 페미니즘으로의 재조정된「Cloud Nine」
3. 1987년
- 「Cloud nine」에 대한 관중의 평가와 관점
4. 1994년
- 돈과 성, 식민지주의와 동성애혐오증
Ⅲ. 결론
Ⅰ. 서론
희극 장르는 여성에게 “실행할 수 있는 변화의 양식과 성장”을 제공한다. 이 변화와 성장은 서로 연관성이 있다. 「Cloud Nine」은 이러한 논쟁에 관한 전형적인 텍스트이다.
논문 저자는 여기서, 창작물의 역사와 시대를 거쳐 변하면서 받아들여진 것, 그리고 연극이 요구하는 웃음 (그 안에는 변화와 성장의 idea들이 있다)에 주목한다.
연극의 성공은 ‘희극적’인데만 있는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의 실험”에도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이 이데올로기 실험은 그 장르 자체에도 평판을 가져다 준다.
「Cloud Nine」은 특히 정치학으로서의 소극(웃음극笑劇)인데. 동시에 우익 정치에 관한 소극을 잔인하게 전시해 보인다.
Ⅱ.본론
1. 1979년
- 마가렛 대처의 경제학을 비판하는 「Cloud Nine」
여성학 수업에 등장하는 Materialist Feminist analysis(사회주의 페미니즘 분석)은 「Cloud Nine」에서도 인지할 수 있다.
어떤 의미에선, 그 점이 이 연극을 매우 성공적이라 평하는 부분이다. 이 연극은 경험을 통해 페미니스트가 된 이들 (Lin과 2장의 Betty)뿐만 아니라, 여성학 수업을 들었던 세대에게도 말하고 있기 때문이다. cloud nine은, 이상한 역사의 조작 속에서, 동요하는 1970년대 말의 영국 여성의 삶에 대해 많이 이야기 하고 있다.
더 넓게는, 마가렛 대처 수상이 권력의 자리에 오르면서 충격받은 영국 좌파세대에게 말하고 있다. Milk Snatcher(우유도둑)로 한 때 비웃음 당한 교육부장관 마가렛 대처는 지금 보수당과 국가를 통치하고 있고, 좌파지식인들은 이것을 믿을 수가 없었다. 「Cloud Nine」은 마가렛 대처리즘 아래의 영국인들과 그녀의 철학과 가치에 전혀 어울릴 수 없는 종류의 사람들에게 선견지명을 제공하고 있다. Victoria, Lin 그리고 Edward의 삶의 배열-그들이 Victoria와 Martin 사이에서 난 아이를 기른다든지 하는 등은 마가렛 대처의 “pretended family"(가짜가족)에 대한 나중의 탄압을 미리 나타낸다. 가짜 가족은 마가렛 대처 정부가 정의 내린 것이다. (심지어, 처칠은 어떤 타입의 가족의 한계를 보여준다. Gerry 는 Edward에게 ”난 결혼 하고 싶지 않아“라고 주장한다. 좀 더 급진적으로 , 바로 연극의 그 구조는, 마가렛 대처의 끊임없는 미사여구들을 말하는데, 그 미사여구란, 빅토리아시대 노동관으로의 회귀를 요구하는 것이었다. 처칠은 우리에게 19c 영국을 대영제국으로 올려놓은 그 위선과 압제를 상기시켰다. 1장은 단순히 그 제국의 모조품을 표현한 것이다. 2장에선, 가족의 압력에 저항하는 캐릭터들을 볼 수 있는데, 사실은 대처 경제학에 대해 저항하는 것이다. 마가렛 대처의 경제학이란, 그녀가 주장하곤 했던 ”영국을 일터로 되돌려놓자“라는 것이다. 「Cloud Nine」에서는 아무도, 생산적인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다. Edward는 정원사, victoria는 선생님, Martin은 작가 등. 국제적인 시장에 팔 상품을 생산하는 데 노동을 강요받는 증거는 없다. 영국에 다시 ”영화“를 가져다 줄 매력적인 투자도 없다.(마가렛 대처가 또 하나 좋아하는 표현 ”great")물론, 이미 처칠은 1장에서, 영국이 이전시대에 자신들의 발전하는 산업을 위해, 자재를 획득하는데 있어 식민지 국가들이 치러야 했던 “희생”을 나타냈다. 2장에서는, 점차 누적적으로 마가렛 대처 정부가 원했던 모든 것에 대한 비평을 무대에 올렸다.
그 연극을 보고 몇몇은 열광적이었고, 몇몇은 덜 성공적이라 평가했다. 부정적으로 평가한 이들은 당시 모든 수업에 등장했던 Brecht를 gender(성)에 적용했다는 걸 찾았기 때문이다. (victoria 대사 중 “ You can't separate fucking and economics" 당신은 성과 경제를 분리 시킬 수 없어요” 근거로 하여)
그러나, 각본과 공연성 두가지 면에서 모두 관심을 끈 ‘「Cloud Nine」'은 현대 고전으로서의 즉각적 지위를 얻은 것 같았다. 게다가 그것은 ’페미니스트 연극‘으로서의 고전이었다. 사람들을 고민케 하고, 걱정하게 했던 이슈들을 상연하게 한 문화, 여성의 연극이 중요할 수 있다는 것 등은 1980년을 흥분케 했다. 이런 점에서 본다면, 처칠의 연극은 의미 있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2. 1981년
- 미국적 페미니즘으로의 재조정된 「Cloud Nine」
「Cloud Nine」은 대서양을 횡단하였다. 개정판으로, 그 연극은 Lucille Lortel Theatre에서 1981년 5월에 공연되기도 했다. 북미로 오면서 미묘한 변화가 있었는데, 원본에 비해 가장 중요한 변화는 마지막 부분이었다.
(1984년 Methuen 편집의 서문에서)
[ 구조적인 변화로는, 앞쪽에 있던 베티의 독백을 Gerry와 함께 있는 씬 뒤쪽에 배치한 것 뿐이었다. 그것은 뉴욕 결말에 있어선, 매력을 끄는 부분이 많다. 그것은 왜 우리가 그러했는지 하는 등의 감정적 클라이막스에 더 많은 것을 제공한다. 그러나 전체적인 면에서, 나는, 베티가 자아 발견으로 끝나는 것보다는, 그것을 넘어서서 누군가와 새로운 관계를 만들고자 첫 시도로 움직이는 것으로 엔딩 처리하는 것을 더 선호한다. ]
그 연극의 처음은 Joint stock극단과 함께였고, 특히 처칠은 Max Stafford-Clark와 오래 작업하였다. 그랬기에, 뮤지컬 감독으로 이름을 날린 Tommy Tune과 일하기 위해 북미로 간 것은 그녀에게 모험이었다. 그것도 위험한 모험이었다. Nicolas Surovy(뉴욕작품에서 Harry/Martin 역을 맡은)는 처칠의 그 극본을 받고 얼마나 많은 배우들이 오디션을 보지 않으려했는지 묘사했다.
처칠의 극본에 대해, 확실히 미국 배역들은 오리지날 영국 배역들처럼, 그 같은 양의 투자가 없었다. 영국 배역들은 워크샵에 참석했고, 그 워크샵에서 연극이 창조되었다.
미국 배역들은 또한 극작가와 함께 일하는 역사에서 오는 자신감(영국 Joint stock극단이 즐겼듯이)도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욕연극은 비평적 시각을 가졌고 관중을 동원하는데 성공했다. (앞서 말한 처칠의 논평에도 불구하고,)
엔딩부분의 변화는 특별히 흥미로웠다. 미국 페미니즘 (자기발견/자기 인식)의 담화를 채택하는 것은 처칠의 사회주의 비평을 재조정했다. 그 사회주의 비평은, 영국이나 기대지평을 타깃으로 하기보다는 미국인 관중을 타깃으로 한 것이었다.
브레히트 기법이 북미에선 아직 많이 알려지지 않았기에 (베를리너 앙상불이 1986년까진 북미에 상륙하지 않았다.), 개인에 대한 이야기도 잘 알려지지 않았다. 그래서, 이런 다소 다른 이유로ㅡ 베티의 ‘자아찾기’에 대한 여정이 「Cloud Nine」을 미국에서 현대의 고전으로 만들었다. 이런 방식으로 그 연극은 ‘베티의 이야기’가 됐고, 그 자체로 관중들에게 그들과 연관 있어 보이는 ‘중심 캐릭터’를 제공했다. 그것은 전통적인 성 기대환경에서 태어난 여성( 남편, 집, 아이들에 대한)이 더 이상 그 같은 평가로 그러한 기대를 하지 않는 세상에서 오직 자신을 찾는 것이었다. 베티의 자신을 위한 삶을 만들기 위한 투쟁은 1980년대 북미의 대중적 신문이 번성하는 데 기초를 놓았다.
뉴욕작품이 의지하고 있던 것은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이 될 수 있다면, ‘정치적인 것도 똑같이 개인적이 될 수 있다’는 것이었다.
내가 학부생일 때와 달리, 대학원생 프로그램에선 어떠한 페미니즘 이론이나 여성 문학, 정말로 어떠한 여성 문화적 작품도 제공해주지 않았다. 한번이나마 있었던 그 투쟁은,
신비평의 기초를 깨뜨린 점, 영국과 미국에 의해 철저히 식민지화된 대학 커리큘럼에 캐나다 문학을 가져오게 한 점 등에 중심 역할을 했던 걸로 보였다. 이런 사회적 환경에서, 최소한 1980년대 초엔, ‘경제와 사회구조간의 연계’에 관심 있어 하는, 영국 여성이 만든 연극이 상연될만한 뚜렷한 공간은 없었다. ‘경제와 사회구조간의 연계’같은, 처칠의 (미국)연극과 영어가 훈련된 학생들이 당연시 여긴 그러한 종류의 분석들은, 대신에, 특별한 세미나의 주제일뿐이었다. (가령 막시즘이라든지 페미니스트 독자반응을 중시하는 이론 같은 장기간의 이론 수업에서나 들을법한 것이었다.) 그런 얘기는 저녁파티나, 방과 후 술자리에서 ‘정체성 정치학과 세상에서 여성으로 있는다는 것의 의미’간의 논쟁으로서만 남겨졌다. 어떤 의미에선, 베티의 이야기는 북미에선 세대적으로 덜 특별했다. 우린 우리 자신을 위한 공간을 만들기 위해 시험 삼아 해본 것이었고, 그녀들의 비평이 담긴 마지막 모노로그에 의해 그것이 전달되길 바랄뿐이다.
확실히 「Cloud Nine」의 정치학 면에 있어 급진성과 거친 면이, 베티의 내러티브 장면에 포커스 맞춘 데에선 찾을 수 없는 걸로 보인다. 어떤 형태로든, 정치학은 다소 북미에서는 요구할 수 없는 것처럼 내게 보였다. 개인이 지배하는 땅에서, 아무도 계급에 관해선 신경 쓰지 않았다. 뉴욕에서, Tune과 처칠의 공동합작품인 「Cloud Nine」은 변화의 종류(작지만 중요한)들을 전면에 내세웠다. 그런 변화들은, 내 생각에, 북미 문예학회 안에서 효과적으로 기능하게 위해선 필수적이었던 걸로 보인다.
이전의 「Cloud Nine」들이 symptomatic(증상)들을 앓았던 데 반해, 이 「Cloud Nine」은 교훈적이었다. 만약 페미니즘이 다소 보편적이라면(적어도 영어권 세계에서), 페미니즘 종류들은 명백히 지리적인 배경 안에서는 다른 것이다.
3. 1987년
- 「Cloud nine」에 대한 관중의 평가와 관점
「Cloud Nine」은 1986-1987에 다시 한번 발표되었다.
소문에 의하면, 연극 기술 스텝들이 그 연극의 첫 토론에서, 그 text의 우스꽝스러움, 조잡함, 통속적인 면, 상연에 알맞지 않은 면, 재미없는 점 등을 들며 떠났다고 한다. 그 연극 기술 스텝들은, 이 극이 학생배우들뿐만 아니라 극장의 관중들에게도 적합한 것인지 확신해야 했다. 난 처칠과 그녀의 연극에 관해 강연해 달라 요청받았는데,(그것은 분명히 현대 영국 연극뿐 아니라, ‘여성’에 관한 연극에 관해 설명해달란 것이었다.) 그 강연은 1학년 학생들뿐 아니라 배역을 맡은 이들도 참석했다. 난 이런 강연 속에서 필사적으로, ‘마가렛 대처의 경제학과 관계된 문맥’을 연극의 논의사항으로 복원코자 노력했다. 2장의 성적(性的) 전환에 대한 것만이 아니라, 작은 사건들 가령 Lin의 남자형제가 북아일랜드군대에서 죽는다든지 하는 것에 대해서도 ‘마가렛 대처의 경제학과 관련한 것’이 우리의 인식에 얼마나 중요한지 지적하면서 말이다. 난 또한 그 연극이 가진 ‘사회적 구조물로서의 gender’에 대한 깊이 있는 생각에 대해서도 강연해보려 노력했다. 학생들은 처칠 텍스트에서 성(gender)의 불안정성에서 오는 유머 외에는 의미 있는 것을 보는데 실패했다. (심지어 그것도 좀 믹스된 감정이었지만...)
에드워드의 말 “ I think I'm a lesbian" 에 대해선 떠들썩 거리며 유쾌한 반응을 보였다. 비록 그것은 조크가 아니라는 것을 아는 사람이 별로 없을지라도 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학생 연극은 여러 방면에서 흥미로웠다. 제 1막에서 베티는 영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주황색 수염을 기른 6피트 신장을 지닌 성인 남성과는 거리가 먼, 양성적인 젊은 남성이 연기하였다. 이는 르네상스 시기의 극장이 제대로 선보이지 못했던 동성애적 요소를, 처칠의 성역할 수행능력에 대한 예리한 감각이 표현한 것 같다. 마크 실버스타인은 「Cloud Nine」에서의 베티에 대한 소개를 충실히 나타내고 있다.
베티의 등장(과 소멸) 이전의 청중들은 성적(性的) 차이로 인해 이데올로기극에서는 여성들이 등장하지 못한 채 남성 중심의 환상에 등장하는 상상의 레퍼토리에 불과했다는 사실을 환기시켜줬다. 어떤 징후로서의 여성, 성적(性的) 감정을 일으키는 대상으로서의 여성, 결핍으로서의 여성, 욕망의 개체로서의 여성, 이국적인 타자로서의 여성. Clive의 말을 빌자면, ‘비이성적이고 요구하는 것이 많고 모순적이며 믿을 수도 없고, 탐욕적이다’. 이것들은 여성의 신체에 대한 구문 중 극히 일부에 불과하다.
제 2막은 나만의 관점을 통해 극의 역사를 살펴보는 것은 처음이었기 때문에 제 1막만큼 성공적이었다고 생각했다. 아이러니하게도 내가 꼼꼼하게 살펴왔던 초기 상연들에 대해 내가 보였던 반응에 대한 이유 중 일부는, 주류 매체가 「Cloud Nine」의 초연에 대해 비판하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에 대해 수잔 칼슨이 토론했던 것들이다. 칼슨은 이렇게 말한다:
그 연극의 익살맞은 도입부에 대해 호평했던 많은 평론가들은 제 2막으로의 전환에 당황스러운 모습을 감추지 못했고, (제 1막과)제 2막의 차이에 대해 적대적이기까지 했다. 피터 맥개리는 결정력이 부족한 그 흐름이 그 후의 무대에도 영향을 미쳤다고 불만을 토했다. 그리고 피터 젠킨스도 최악의 평가를 내리며 그와 뜻을 함께 했다: ‘가장 위험한 것은 단순한 연기 연습의 연장선상, 혹은 카바레에서의 춤처럼 쇠퇴한 채 진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다’. 이런 평가에 대해 불만을 표하면서 처칠의 연극은 전통적인(인습적인) 희극 구조에 대해 전쟁을 선언한다. 이는 낡은 형식이 갖는 부족함과 아직 검증받지 않은 해방, 그리고 새로운 형식들이 지닌 잠재적인 분열의 가능성에 대해 청중들이 직접 판단하게 하는 것이었다.
난 항상 느껴왔고, 지금도 느끼길, 2막 중반에서의 개그는 별로 좋지 않았다고 본다. 하지만 성격묘사는 훌륭했고, 이것이 정치학을 훨씬 더 불명확하게 만드는 효과를 만들었다. 하지만 난 다른 비평가들과 마찬가지로, 과거를 현재보다 더 쉽게 다루었다는 점, 코미디는 이래야 한다는 기존의 관념으로 평판한 점에서 죄인이었다. 내가 2막에서 본 것은 Cloud .Nine의 좀 더 브레히트적인 각색에서는 다소 잃어진 것이었다.
인용된 ‘gests-이야기들’은, 영국 연극에서 표상화된 전략으로 나타났었던 것과는 달리, 이 학생 배우들은 정극으로 연기했다. 사실적 연기로의 회귀는 다소 놀랍고 감칠맛 나는 효과를 자아냈다. 빅토리아역을 연기한 배우는 실제로, 린과의 관계가 그녀에게 제공한 그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처럼 보였다. 또한 좀 더 실제적인 마틴은 내가 전에 본 적 없는 충격적인 명쾌함으로 부각됐다. 마틴은 정말 클라이브같았다. 그가 말하는 방식은 늘 바뀌어 왔지만, 그 내용은 거의 동일했다.
‘난 미국남자가 여성해방의 결과로 무력해져왔음이 몇 퍼센트든 간에 난 그와 같지 않아. 여성해방은 좋아하지만, 난 니가 니 자신인 것보다도 때때로 더 많이 생각해. 난 너의 악인 중 하나가 아니야. sex하고 열심히 하고 자버리는.... 나의 목표는 네게 기쁨을 주는 것. 내 목표 중 하나는 내가 다른 여자들에게 했듯 성적 흥분을 주는 거야.
Amy Krtzer가 써놓았듯, 마틴은, 그 이전의 클라이브같이, 여성을 그의 필요에 의해 항상 맞춰져야하는 존재로 정의한다. 그는 여성관점에서 여성에 대한 소설을 쓴다. 그리고 교활한 방법으로 빅토리아를 통제하길 시도한다. 그는 그녀의 성적인 둔감함이 그를 불행케 만든다고 암시한다거나, 제공된 직업전환에 대해 보이는 그녀의 우유부단함이 마틴 자신의 이미지에 상처 입힌다는 것을 불평한다.
대부분의 관중들에게 이 작품의 진기함은 남녀가 옷을 바꿔 입는 것이었다. 정치학의 연극 (연극의 정치학이 아닌)에 조화시키는데 거의 주의를 기울이지 않은 문맥 속에서, 그 스릴들은 익살에서 가장 확연히 찾을 수 있다. 이제 이 연극을 다시 찾는 관객들 때문에, 확실히 그 세계에 대한 내 자신의 경험이 변하는 것과 함께, 난 내 반응이 변함을 발견했다. 그러나 난 왜 처칠이 명곡집과 대학 레퍼토리 둘 다에서 여성 드라마의 대표가 되었는지를 확실히 알았다. 그것은 페미니스트적으로서의 성공 때문이 아니었다. 사실, 난 그것이 페미니즘이야 할 필요가 있는지 궁금하기 시작했다. 왜냐하면 남자들이 여성을 희롱하고 욕했기 때문이다. - 관중들은 그것을 재미로 받아 들였다. 만약 빅토리아가 성적인 요소와 경제적인 요소가 서로 갈라질 수 없는 것이라고 했다면, 그것은 잘못된 명제로 보였을 수도 있다. 아마도 처칠은 ‘성적인 요소와 경제적인 요소를 갈라놓을 수 없다.’ 라고 썼다면, 그 성적인 요소들은 아마도 섹시하게라도 보였을 것이다. 경제적인 요소는 사회학과의 막시스트들이 알아서 해야 할 것이다. 북미적인 「Cloud Nine」은 ‘연극’을 말하려 했다고 본다. 이것은 이 연극이 북미의 연극이라는 단언이라고 볼 수 있다. 「Cloud Nine」은 특히 북미 특유의 문맥과 소통수단을 골라내는 감독과 다른 사람들의 능력에 의존하려는 것처럼 보인다. 다른 말로 하면, 「Cloud Nine」은 페미니스트 연극의 교과서가 되어 왔는데, 그 이유가 두드러지게 페미니스트적이지 않은 방식으로도 이 연극을 생산하는 것이 가능했기 때문인 것이다. 또, 익살에 대한 단호한 강조는 연극의 정치학을 해체시켰는데, 가부장 문화에 대한 더 깊은 차원이 비평이 아닌 오직 표면적 표시로서만 기능하는 범위 내에서의 정치학만 해체시켜왔기 때문인 것이다. .
4. 1994년
- 돈과 성, 식민지주의와 동성애혐오증
「Cloud nine」에 관한 나의 최근 경험은 Calgary 대학 연극부 학생이며 MFA(Master of Fine Art)석사과정 중인 Kelly Daniels가 자신의 논문과제로 연극을 고르던 때인 1994년 이였다. 당연히 시즌 발표는 처음에 나의 마음을 무겁게 했다. 나는 다시 한 번 Churchill 희곡의 위상에 대해 생각하게 되었다. 「Cloud Nine」을 연극한 다른 학생은 없었다. 여성에 관한 드라마와 페미니스트를 대표하는 작가는 오직 처칠뿐인가? 게다가, 왜 항상 「Cloud nine」을 대표작으로 들까?
한편, 캐나다에서 가장 보수적인 주인 이곳 Alberta에서 때때로 대학생들에게 연극을 가르치면서 나는 이 극이 여전히 위험한 모험처럼 보이리라는 것을 안다.
(Alberta주에서 내가 가장 인상깊었던 수업의 한 순간은 한 학생과 나의 post-Gender Trouble의 토론에서 Edward의 한 구절인 "I think I'm a lesbian"에 대해 "이런 종류의 얘기를 꼭 해야 되나요?" "난 Saskatchewan주에서 왔다고요"라는 대답을 하며 농담반 진담반으로 대꾸했던 일이다.)
그래서 나는 왜 이 어린 여학생이 「Cloud Nine」을 자신의 논문에 적합하리라 생각하였는지 이해가 간다. (보수적이니까 여성과 성이 주가 된 공연에 관심이 갔을 것.)
그러나 내가 궁금한 건 이 연극이 런던에서의 첫 공연으로부터 20년이나 걸쳐 하고자 하는 말이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좀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연극이 진행되는 동안 내가 가졌던 질문은, 스스로를 작풉공연과 후기 식민지 시대의 지식보급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여기는 학술 세계와 HIV, AIDSdhk 같은 병이 만연한 현실세계에서 이 작품이 어떻게 해석되어져야 하는가였다.
나는 그 시대의 독자들의 반응 뿐만 아니라 나 스스로의 반응에도 놀랐다.
「Cloud Nine」의 일 막은 동시대 극작가의 모습을 가장 정교하게 만들었고 이 학생의 공연에서 동시대 극작가의 희극적이고 실제적인 정치적 잠재력을 완전하게 표현한 것으로 기억된다. 그 장면은 인종적이고, 성불평등, 국민 불평 등 문제, 성정차별적인 문제를 소주제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대표적인 문제들이 「Cloud Nine」에서 언급되어 질뿐만이 아니라 구체화 되어 지고 있다.
그 결과 Clive가 Mrs. Saunders와 잤을 때 우리는 빅토리아시대의 가부장적인 측면에 있어서의 도덕적인 오점 뿐 만이 아니라 그의 바지에서 문자 그대로 얼룩을 목격하게 된다.
이 사건은 또한 나의 관점을 명백히 깨어주었다. 이 관점은 모든 종류의 유기체의 생산에 있어서 반드시 필요한 위험성인데 그러한 측면은 우리가 어쩔 수 없는 성적욕구의 표출에 항상 흔들릴 수 있다는 것을 상기시켜준다. 적어도 그 날 밤에 내가 본 연극에서의 관중들의 공통된 반응은 후 식민지 시대의 감수성의 하나로 특성화 되어질 수 있다. 그것은 고의적으로 제국주의의 압박 혹은 지리적이거나 성적육체의 활동을 인지하게 한다..
실제로 1994년 「Cloud Nine」의 관객들에게 정작 드러낸 것은 성차별 주의적 태도가 틀렸다는 우리의 공통된 인식을 매우 잘 드러냈다. 명료하고 간단하게 Clive의 성 차별 주의 적인 행동은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비웃음을 이끌어 냈다는 점이다. 공연은 완벽했지만 그 내용은 우리가 받아들일 수 없었다. 심지어 새로운 공휴일인 가족의 날의 본고지인 Alberta에서조차도 (가족을 중요시 여기는 가부장적인 Alberta주) 관객들은 여성의 육체를 위험하고 결점으로 보고 남자의 육체를 힘차고 뛰어난 것으로 보는 문화적 가설이 퍼져있는 세상에 대해 빅토리아 시대의 기만을 연기한 연극에 찬사를 보냈다.
첫 장면에서 여성 인물의 나약함은 특별한 상황에서 조차 쓸쓸해 보이지 않을 수가 없다. 그녀의 성을 박탈하면서까지 경제적 수단을 최우선으로 여기는 Mrs. Saunders. 같은 사람들 말이다. 여성의 성장과 변화에 대해 언제나의 무관심은 그렇게 냉담해 보일 수 없었다.
이것은 2막까지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보인다. Martin은 관객들에게 Clive를 어느 정도 재현하는 것처럼 인식된다. 그리고 그들의 반감을 쉽게 느낄 수 있다.
여성의 권리를 약속하는 협의서 에서 최소한 그들은 대등한 진보적인 인도주의자로 임명되는 것으로 용기가 북돋는다. 관객들은 그것이 10년 혹은 15년 전에 똑같이 그랬을 것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게다가 해방운동의 연설은 문화적으로 하나로 포용하는 것처럼 보였다.
나는 2막에서 소박하고 희망을 잃은 여성들에게 거의 이상향에 가까운 걸 발견했다. 그리고 관객들에게 꿈을 위해 그리고 인격을 위해 분투하는 여성은 하나의 기쁨이였다.
그들이 믿었기 때문에 우리는 믿을 수 없다.
그들이 모르는 것을 우리는 안다. 그들이 찾고자 하는 것을 우리는 이미 알고 있다.
나는 1990년대 이 극을 연출한 감독으로서, 1970년대 후반을 표현하는 당대의 의상과 음악을 통해 그들의 몸에 대해 단호하게 점수를 매겼을지도 모른다. 19세기후반만큼, 1970년대는 우리가 다시 되돌릴 수 없는 역사 속의 과거이다. 그것은 연극의 제작과 상영에 있어서의 신중함을 말하는 것이며 성에 대한 이슈는 관중들로부터 가장 갈채를 받았다.
이와 다르게 내가 가장 놀랬던 부분은 공연 내 성의 표출에 관한 것이었다.
1막에서, “정도를 벗어난” 성의 표출이라 규정될 수 있는 것의 표현은 가장 크고 수월하게 관중들의 웃음을 자아낸다. 또한, 성의 혼합은 인종, 국가, 성 역할, 나이 등 정치적 모토가 될 수 있는 다른 요소들보다 제국의 계획에 훨씬 덜 고착된 것처럼 보인다.
나는 여기서 극을 관람하는 데 있어 나의 직관적인 반응을 강조하기 위해 이 극에 대한 일반적인 관점을 정의 내린다. 그러한 성의 표출은 공공의 행동과 작문의 지배적인 관례에 더 이상 용납될 수 없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정치적으로 옳다라는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이와 동시에, 동성애 혐오증은 여전히 치명적이고 광범위하며 사람들에 의해 검토되지 않을 뿐더러 언급되지도 않는다.
식민지주의와 동성애 공포증의 연결은 이 극에서 매우 중대한 것이기에 몇몇 측면에 있어 이것은 매우 놀라운 것이다. 동성애 혐오의 근간에 놓인 것은 규칙을 위반하는 몸에 대한 심오한 걱정이다. Peggy Phelan이 다른 연극에서 언급한 것처럼 동성애 간 성행위의 일반적인 특징인 무생식의 성행위은 보수적 성향의 정치단체, 넓게는 국가를 위협한다.
이 작품에서 돈과 성은 상당히 연결되어 있다. 이에 대해 Phelan은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돈은 재생산되어야 한다. 돈은 벌기 위해 쓰는 것이고 그것을 늘리는 것은 곧 권력의 증대를 의미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재생산의 반복은 생산력이 없어져버렸다. 연방정부의 결점은 재정적 제어와 안전한 소비를 고려하지 않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였다는 것이다. 이 상황은 전염병에 걸린 사람이 자신의 정자를 배출하는 것과 유사점을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정절을 약속한 검증된 사람과 안전하게 성행위를 하길 바란다. 그러나 그 사람들 모두 그러한 보장이 불가능하리라는 것을 안다.
1970년대 후반의 대처리즘과 1990년대 중반의 신우익 정치운동이 가진 공통점은 안전이라는 구호아래에서의 “자기표현의 규제”이다. 경제적 측면에서 대처가 이루어낸 기적은 영국의 경제를 회복시켜놓았다는 것이다. 그녀의 자본주의 경제학의 첫 번째 규칙은 ‘돈이 돈을 번다’ 라는 것이다. ‘돈을 함부로 낭비하지 말라’ 이는 곧 돈이 안전하게 재생산되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내가 이미 언급한 것처럼 이 극의 2막에서는 아무도 생산적인 직업을 가지고 있지 않다. 처칠은 이것을 대처의 경제학 이론을 혼란스럽게 하는 영국의 현실이라 말한다. 1990년대 우리는 현재 그것과는 다른 안전한 소비의 시대에 살고 있다. 하나는 동성애자들에 대한 성행위의 영역과 연결되어 있고 이것은 이성애자들 또한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우리가 알다시피 에이즈에 대해 언급하는 것의 범위는 게이에 대한 두려움과 처벌에 관한 것이 되어왔다. 돈이 제국주의를 정당화하는 것처럼 동성애 욕망에 대한 규제는 이성애의 “당연한” 권리와 권력을 보장한다.
Calgary대학의 연극학과 연출에서 Ellen과 Lin은 Harry와 Gerry가 그랬던 것처럼, 1인2역을 하였다. Daniel감독은 개념상의 충동보다 실제적인 고려를 함으로써 나를 안심시켰지만 나는 그것의 효과에 대해 궁금하고 걱정스러웠다. 성행위의 일치를 유지하는 데 있어, 이 극의 제작은 도착행위에 대한 관객들의 인정을 얻어내야 한은 위험을 안고 갔다.
작가가 전달하고자 하는 바 즉, 한번 동성애면 항상 동성애라는 것은 좀 더 명료하게 보였다. 1990년대의 작품은 동성애적 요소를 좀 더 명백하고 위험하게 연출했어야 했다. 아마 그것이 우리들로 하여금 HIV나 에이즈, 우리가 슬퍼해야 하는 어떤 이와 그들의 몸에 대해 상기하게끔 했을 것이다. 그러나 처칠이 너무나도 훌륭히 상연했던 그러한 것들에 대한 압박은 여전히 자유롭지 못하다.
Ⅲ. 결론
「Cloud Nine」은 내가 1979년도에 깨달았던 것보다 훨씬 더 귀중한 작품이었다. 물론 우리는 시대를 살고 그 시대가 지나고 나서야 그것에 대해 더 많이 알게 되지만 말이다. 대학생 1학년 때와 지금 재직 중인 영어학교수가 되기까지 나에겐 매우 먼 길이였다. 내가 만약 그 기간 동안 성장했다면, 처칠의 연극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Laura Doan이 처칠의 후기 작품인「Serious Money」에 대한 통찰력있는 논평에 의하면, 처칠은 사람들이 편견을 갖고 있는 복잡미묘한 문제를 제기했으며 페미니스트들을 당혹케 하였다. “어떻게 여자가 가부장적인 경제체계에 참여할 수 있으며 그것들의 가치에 흡수되는 것을 피할 수 있었겠느냐?” 이 작품은 역사와 여성들이 그러했던 것처럼 매우 먼 길을 돌아왔다. 그러나 이 극은 또한 우리에게 이 극에 나타나는 레즈비언과 게이의 정체성에 대한 공공연한 웃음을 통해 주류의 문화가 무엇을 원하는지 생각하게끔 한다. 나는 정치학을 괴상하게 풍자해놓은 또 다른「Cloud Nine」작품을 찾아볼 것이다.
“Cloud 9” 에 나타난
영국의 식민주의
- 식민주의와 성차별 유사성비교를 통한 여성의 정체성 획득 –
Ⅰ. 서론
Caryl Churchill의 [Cloud 9]은 식민주의를 남성과 여성의 성차별 문제와 상관지어, 계층간의 차이와 성차별의 유사성을 비교하고 있다.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로 남성과 여성의 관계를 극명히 나타내고 있으며, 19세기 제국주의이념을 배경으로, 20세기 탈 제국주의 시대에 재부상한 가정의 모습을 극화 하였다.
생산력과 소유의 개념이 빈약했던 원시 공동체 사회에서는 사회조직이 분화되지 않아 계급이 존재하지 않았으며, 남녀는 함께, 채집, 수렵한 자연물을 나누었다. 농경의 시작과 함께 여성은 노동력의 재생산을 위한 중요한 생존의 열쇠를 쥔 역할을 담당하였는데, 이 시기를 흔히들 '모계 사회'라 일컫는다. 그러나 뒤를 이어 출현한 시대는 철기도구를 사용하는 집단이 강력한 힘으로 이전까지의 공동체적 사회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질서를 요구하였는데, 그것은 바로 계급의 탄생을 가져왔다. 동시에 평등했던 남성과 여성의 관계는 남성이 사회 권력의 주도권을 쥐게 됨으로써 무너지게 되고, 계급의 유지를 위한 사회 조직의 분화와 함께, 남성의 여성 지배를 합리화하고 정당화하는 가부장제도가 성립되었다. 이 흐름은 그 이후로 훨씬 더 공고히 강화 되었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도 그 굳건한 벽은 허물어지지 않고 있다.
이러한 시각은 Caryl Churchill이 [Cloud 9]에서 말하고자 하는 주제들과 일치한다. 그녀의 시각은 1막에서 영국 Victoria왕조 때, Africa를 점령한 영국의 식민주의를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로 다루고 있다. 2막에서 Caryl Churchill은 식민주의와 남성과 여성의 차별관계를 단순히 제시, 비교하는 차원을 넘어서, 여성의 본질적 자아와 정체성에 대한 인식과 그 획득을 중심된 주제로 삼고 있다. 그녀는 여성을 남성에 의해 그 존재성과 역할 등이 정해지는 수동적 존재가 아니라, 자신의 의지와 힘으로 스스로 설 수 있는 능동적이고 독립된 존재로 규정하고 있다.
이와 같이 [Cloud 9]에 나타난 주제는 위에서 밝힌 바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식민주의 시대적 상황과 작품 인물들의 성격과 관계를 통해 작품을 살펴보겠다.
Ⅱ. 본론
§ 식민주의와 성차별의 유사성
1) 제국주의와 식민주의
19세기 말, 과학 기술이 진보하고 제2차 산업 혁명이 진전되면서 자본주의가 크게 발달함에 따라 선진 자본주의 국가들은 상품의 원료를 얻고, 상품을 팔거나 자본을 투자할 새로운 시장이 필요하게 되었다. 자본주의가 발달한 국가들이 자기 나라의 이익을 위해 약소국을 무력으로 침략하여 식민지로 지배하려는 경향을 갖게 되었는데 이를 제국주의라 한다.
다른 나라나 지역, 식민지에 대해 직접적인 영토 침략이나 식민지화하는 것 뿐 만이 아니라 간접적인 정치·경제의 조정 및 영향력 행사에 대해서도 제국주의라고 할 수 있다. 제국주의의 지배는 기본적으로 다른 나라에 대한 정치·경제에 대한 통치를 의미하나 제국내의 국외 영토 및 속령, 식민지 등에 대한 지배를 의미하기도 한다.
제국주의 이데올로기를 바탕으로 식민지의 획득과 유지를 지향하기 위한 대외 정책으로, 경제적·정치적인 세력을 국외의 영토로 확장하고, 정치적 종속 관계를 통해 그 지역을 자국의 영토로 삼는 침략정책을 식민주의라 하며, [Cloud 9]은 제국주의 정책에 의한 식민지 통치의 황금시대를 이룩한 빅토리아 시대를 배경으로 하고 있다.
2) 본문에서의 “식민주의”
1막에서 Caryl Churchill은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계층 구조를 남성과 여성의 관계와 관련시켜 성차별의 문제를 다루고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작가는 아프리카의 한 지역을 점령, 지배하는 영국식민사회를 선택하였다. 가장 분명한 계층간의 구분과 각 계층들의 계층의식이 뚜렷이 드러나기 때문이다. 또한 한 지역 사회내의 계층 분화를 다루지 않고 지리적으로 원거리 지역간의 세력불균형 관계를 다룸으로써 나중에 설명할 남성과 여성의 성차별과 억압이 단순히 일정 지역 단위 공동체의 문제가 아니라 전 인류의 남성과 여성에 관계된 문제로 확장시켜, 인간의 본질상의 문제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식민지 사회의 계층 관계는 이 극에서 지배국 영국의 백인주인 Clive와 식민지의 흑인하인 Joshua의 관계로 나타난다. Clive는 지배자로써 식민지 운영의 책임을 맡고 있는 사람으로 그의 모국 영국에 봉사하여할 위치에 서 있는 인물이다.
Clive : This is my family. Though for from home, we serve the Queen wherever we may roam. I am a father to the natives here,
반면, 식민지인으로써 피지배자인 Joshua는 벌써 이름부터가 서양화 되었으며 주인인 Clive에게 절대 복종하고, 또한 그 자신 본래의 민족의식과 공동체의식을 잃은 채, 무의식 속에서 지배자인 백인들과 자신이 동일하다고 인식한다.
Joshua : My skin is black but oh my soul is white. I hate my tribe. My master is my light. I only live for him. As you can see, what white men want is that I want to be.
식민지 통치의 양상은 정치, 경제, 사회적인 총제적인 면에 걸쳐 나타나는데, 우선 정치적인 면을 살펴보면 식민 지배를 받는 국가나 민족은 그들의 고유한 주권을 박탈당하고 식민지를 경영하는 국가에 예속된다. 또한 다른 나라와의 외교권도 상실하며, 그들만의 정치 조직을 구성할 수도 없다. 설사 정치조직이 있다 해도 그것은 지배국에 의해 조종되며, 그들의 영향력 하에 간섭을 받게 된다. 그 예는 멀리서 찾을 필요 없이 일제의 우리 조선에 대한 식민통치를 통해 쉽게 살필 수 있다. 당시 우리 조선의 국정운영은 일제에 의해 철저히 제약을 받고, 그들의 손에 의해 다루어졌으며, 외국과의 접촉도 주권국가로써의 지위를 박탈당한 채, 외교권을 제대로 행사하지 못하였다. 또한 비록 조정에 '왕'이 존재하고 정치기구들이 설치되었어도, 그것은 허울뿐 실질적이고 주체적인 권한은 가질 수가 없었다. 이러한 식민지 소유는 모국의 정치적 영향력과 그 힘에 보탬이 되었으며 그들의 세력을 더욱 크게 확장하기 위한 군사기지를 제공하였다.
다음으로 식민지를 운영하려는 국가들의 주요 목적은 경제적인 욕구 때문이었다. 지배국은 피지배국에 대한 지배를 통해 경제적 이익을 꾀하였는데, 식민지 국가의 모든 토지와 자원을 수탈하여 자국의 부를 증대시키는데 주력하였다. 식민지국으로부터 들어오는 금과 은은 중요한 경제 품목이었으며, 커피나 담배와 같은 특용작물은 지배국 국민들의 주된 기호품이었다. 그리고 식민지를 해상무역의 거점으로 삼아 국제 무역의 이익을 꾀하였다. 식민지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이들 인구들의 대부분은 전통적인 생산방법을 사용해 농사를 짓고, 식민 국가들에 의해 자원이 고갈되는 국가들은 점점 더 종속 상태로 빠져들게 되었다.
문화적 면을 살펴보면, 식민지 지배 국가는 식민지 개척 초기에 가장 먼저 선교사업을 실시하였는데 표면상으로는 종교 즉 Catholic을 전파하는 목적을 띠나, 실질적 선교사업의 주요활동은 그 지역의 지리, 문화, 풍습 등 지역에 관계된 정보들을 수집하는 것이었다. 본격적인 개척사업과 지배가 시작되면 지배국은 무력을 동원, 식민지를 장악하게 되고, 지배 유지를 위한 각종 제도들을 실시한다. 이 과정에서 식민지 통치 국은 자국 문화를 식민지에 이식하고 식민지인들에게 자국문화를 따를 것을 강요한다. 한편, 식민지인들에게는 그들의 지배가 합당함을 주입시키기 위해, 고유의 민족정신과 공동체 의식을 제거하고, 지배국의 논리에 따라, 지배국에 복종하고 순종하도록 교육시킨다. 일제가 우리민족에게 신사참배와 대동아 공영권을 강요하고, 조선어를 금하고 일본어를 사용토록 하고, 이름을 일본식으로 개명토록 한 창씨개명 등은 이를 증명하는 좋은 예라 할 수 있다.
3) "식민주의"와 "가부장제"의 연결성
이 작품에서도 흑인 하인 Joshua는 철저히 식민화된 인물의 전형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그는 자신의 뿌리가 백인이고 자신의 민족들과는 다른 사람이며, 그들은 나쁜 사람들이라고 까지 말하며, 철저히 자신의 정체성을 부정한다.
Joshua : Of course, it's not true. It's a bad story. Adam and Eve is true. God made white like him and ......
Mrs. Saunders : You don't mind beating your own people?
Joshua : Not my people madam.
Mrs. Saunders : a different tribe?
Joshua : Bad people.
또한 Joshua는 자신의 부모가 영국군에 의해 살해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살해된 부모는
자신의 부모가 아니며, 그의 주인인 Clive가 자신의 부모라고 말한다.
Clive : Joshua, do you want a day off? Do you want to go to your people?
Joshua : Not my people, sir.
Clive : But you want to go to your parents' funeral?
Joshua : No, sir.
Clive : Yes, Joshua, yes, your father and mother. I'm sure they were loyal to the crown. I'm sure it was all a terrible mistake.
Joshua : My mother and father were bad people.
Clive : Joshua, no.
Joshua : You are my father and mother.
위와 같이 흑인 하인 Joshua가 백인 주인인 Clive를 그의 부모로 여기는 것은 그의 의식 속에 잠재한 '가부장제'의 영향이 작용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인류의 역사에서, 지배자, 즉 왕이나, 군주 등은 가족 내의 '아버지'처럼 상징되어 왔다. 이들은 절대적 권력을 행사하였으며, 그들의 지배를 받는 국민이나 주민들은 그들에게 절대 복종하며 봉사의 의무를 지녀야했다. 특히 이 극의 시대적 배경이 되는 영국 Victoria 왕조의 시대는 중세 유럽의 봉건제가 무너지고 왕권이 극도로 강화된 '절대왕정'의시기로서, 강력한 왕권 아래 유럽 각국은 국가의 세력 확장과 부의 축적을 위해 혈안이 되어 있었다. 프랑스의 루이 16세가 '짐이 곧 국가며 법이다'라고 한 말은, 이처럼 강했던 왕권의 힘을 잘 드러내 주고 있다.
이것은 가족 내의 '아버지'와 존재가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한 가정 내에서 '아버지'는 가족을 위해 경제적 부양과 보호를 책임지는 동시에, 가족 구성원을 규제하며 통제하여 모든 권한을 행사한다. 가족 구성원은 '아버지'의 뜻에 따라야 하며 이를 거부할 경우, 아버지의 제제와 함께 가족 내에서 그리고 이웃에서도 비난과 처벌을 받아야 한다. 이러한 가부장제는 한 지역에 국한된 현상이 아닌 전 인류의 보편적 현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가부장제도가 생산해낸 문화는 당연히 남성이 여성을 주도하고, 여성이 남성이 거머쥔 권력과 힘에 의해 남성에게 복종하고 순종하는 관계로, 그리고 그것을 당연히 여기는 한 체제로 자리 잡게 하였다. 이 가부장적 제도와 문화 아래서 여성은 남성에 의해 그 역할이 규정되고, 여성 자신의 독립적 존재성은 인정되지 않으며, 남성과의 결합을 통해 그 존재의미와 정체성을 갖게 되는 불완전한 존재가 되고 만다. 이와 같은 관계를 Caryl Churchill은 Clive와 Betty의 입을 통해 극명히 나타내고 있다.
Clive : This is my family. Though far from home, we serve the Queen wherever we may roam. I am a father to the natives here, and father to my family so dear.…… my wife is all I dreamt a wife should be, And everything she is she owes to me.
Betty : I live for clive, the whole aim of my life
Is to be what he looks in a wife.
I am a man's creation as you see,
And what men want is what I want to be,
· · · · · ·
Maud : Young women are never happy.
Betty : Mother, what a thing to say.
Maud : Then when they're older they look back and see that comparatively speaking they were ecstatic.
Betty : I'm perfectly happy.
Maud : You are looking very pretty tonight. You were such a success as a young girl. You have made a most fortunate marriage. I'm sure you will be an excellent hostess to Mr. Bagley.
· · · · · ·
Betty : what a long time they're taking. I always seem to be waiting for the men.
Maud : Betty, you have to learn to be patient. I am patient. My mama was very patient.
'결혼'의 의미 역시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특히 여성에게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시각을 통해 형성된다. 결혼의 본래 의미는, 독립된 남성과 여성이 한 단위의 '가족'이라는 공동체를 이루는 것이다. 거기에는 누가 높고, 누가 낮고 하는 상하의 관계가 있을 수 없다. 그러나 '결혼'은 인류의 역사에서 남성이 가정 내의, 그리고 사회적 부를 장악하게 됨으로써 상대적으로 여성의 경제적 지위가 취약해짐에 따라 여성이 남성에 종속되는 입장으로 변질된다. 경제적 지위를 잃게 된 여성들은, 활동범위가 제약 당하였으며 그리고 남성에게 봉사와 희생하는 것을 여성 제일의 덕목으로 여기게 되었다. 이 작품 Cloud 9에서도 전통적인 가부장제 사회에서의 '결혼'의 의미가 다루어지고 있다. Betty와 그녀의 장모 Maud는 '결혼'은 자신의 행복을 위한 것보다는 남편의 행복을 위한 것이고, 결혼을 통해 여성은 보호받고, 사랑받는다는 의식을 가지고 있는 전형적인 가부장제하의 여성들이다. 그들에게 이러한 사회적 통념에서 벗어난 여성은 도덕적이지 못하며 여성답지 못한, 천한 인물로밖에 비쳐질 수 없다.
Maud : I dare say Mr. Bagley will be out all day and we'll see nothing of him.
Betty : He plays the piano. Surely he will sometimes stay at home with us.
Maud : We can't expect it. The men have their duties and we have ours.
Betty : He won't have seen a piano for a year. he lives a very rough life.
Ellen : Will it be exciting for you, Betty?
Maud : What do you mean, Ellen?
Ellen : We don't have very much society.
Betty : Clive is my society.
· · · · · ·
Maud : You let that girl forget her place, Betty.
한편 남성의 입장에서는 여성을 보호하고 부양하는 것, 그리고 여성의 잘못을 용서하고 감싸는 것은 남성으로서 갖추어야 할 당연한 태도로 인정된다. Betty와 탐험가 Harry는 서로 사랑의 감정을 느끼지만 Betty에게 그것은 부정한 짓으로 양심의 가책을 강요한다. Betty와 Harry의 은밀한 애정행각은 하인 Joshua에게 발각되어 Clive에게 알려지지만, Clive는 그것을 모른척하고 있다가 Betty의 고백을 듣고 그 사실을 이미 알고 있었지만 Clive는 Betty와 Harry에 대한 믿음과 우정으로 모두를 용서한다고 말하며 여성은 원래 약하고 위험한 존재이므로 여성을 그것으로부터 지키는 것이 남성의 의무라고 말한다.
Betty : I am bad, bad, bad―
Clive : You are thoughtless, Betty, that's all. Women can be treacherous and evil. they are darker and more dangerous than men. …… I can't believe you are. It would hurt me so much to cast you off. that would be my duty.
Clive도 역시 Mrs. Saunder와 정을 통하지만, Clive는 오직 그의 정욕을 해소키 위해서 Mrs. Saunder를 찾는다. Mrs. Saunder는 Betty와 달리 혼자서 독립되게 살아가려 하지만 주위의 환경들은 그녀가 혼자 살 수 없도록 만든다. 이것은 여성들의 종속이 사회적 환경에 영향 받음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가정교사 Ellen은 독신을 고집하고, Betty에게 동성애의 사랑을 느끼지만 결국 Harry와 결혼하게 된다. 따라서 여성보다 높고, 고귀한, 그리고 선한 존재인 남성은 그들이 하는 일에 있어서도 여성의 일들과 당연히 차이가 있다. 이 극에서도 1막의 극중 인물 중 Clive와 Betty의 아들 Edward를 제외한 모든 남자역의 인물들은 '남성스러움'을 충분히 살린, 일반적인 남성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Clive는 영국에 충성하며 그의 가족을 지킬 의무에 충실해야 하고, Harry는 새로운 땅을 개척해야 할 탐험의 임무를 지니고 있다. 그런데 굉장히 흥미로운 사실은 흑인 하인인 Joshua가 주인마님인 Betty를 대하는 태도이다. 비록 Joshua가 식민지의 하인이라 하나, 그는 남성이다. 이것은 그가 Betty를 대하는 자세에 대한 충분한 설명을 제공한다. Betty가 Joshua에게 명령을 내리면 Joshua는 Clive에 대한 태도와는 달리 경멸 섞인 농담으로 거부한다. 곧 Joshua는 자신이 식민지의 하인이지만, 그래서 자신의 정체성도 잃고 백인 주인을 정성껏 부모처럼 섬길지라도 여성인 Betty의 명령은 남성인 Joshua에게는 모욕적인 것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것은 남성의 전형적인 태도라 할 수 있다.
Betty : Joshua, fetch me some blue thread from my sewing box. It is on the piano.
Joshua : You've got legs under that skirt.
Betty : Joshua.
Joshua : And more.
또한 Clive와 Betty, 그리고 주변 사람들은 Edward가 여자애처럼 구는 것에 대해 우려하고 걱정을 한다. 모두가 Edward에게 남자다워질 것을 요구하지만 그는 동생 Victoria의 인형을 갖고 노는, 그리고 Harry와 동성연애를 하는 아이로 나타난다. 그러나 그에게는 아버지처럼 남자다워야 하는 의무가 있다.
Clive : My son is young. I'm doing all I can
To teach him to grow up to be a man.
Edward : What father wants I'd dearly like to be
I find it rather hard as you can see.
이상으로 Caryl Churchill의 [Cloud 9]의 1막에 나타난 식민주의와 가부장제를 살펴보았다. 그렇다면 이 두 가지 면들은 무엇을 말하고 있는가? 그것은 앞서 잠시 언급한대로 식민주의의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와 가부장제의 양상이 유사하다는 점이다. 통치 지배 권력을 쥔 지배측은 피지배 측에게 복종과 순종을 강요하는 동시에 그것을 전혀 불합리하고 불평등한 것으로 여기지 않고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게끔 하는 것은 남성이 정치, 경제, 사회적인 총체적 권력구조를 장악하여 여성으로 하여금 남성에게 종속되어 봉사하고 희생할 것을 요구하는 것과 동일하다 할 수 있다. 따라서 피지배측이나 여성은 하나의 완전한 독립된 주체가 아니라 전체의 부분을 차지하는 부속적인 존재인 것에 불과할 뿐이다. 이러한 유사성을 Caryl Churchill은 다음과 같이 인물들 간의 관계들로 엮어 설명하고 있다.
Clive와 Joshua와의 관계는 기본적으로 주종의 관계일 뿐만 아니라 Joshua에게 Clive는 아버지와 같은 역할이라는 것은 이미 설명했는데, 여기에 또 다른 하나의 관계를 살필 필요가 있다. 그것은 Joshua가 Clive를 그가 사랑하는 연인, 즉 이성으로 생각했다는 점이다. Joshua는 Betty의 부정한 관계를 Clive에게 몇 번씩 폭로하지만 그는 계속해서 Betty를 감싸며 Joshua에게 Betty에게 복종할 것을 명령한다. 그런 Clive에게 느낀 배신과 그의 연인인 Clive를 빼앗아간 Betty에 대한 질투는 결국 Joshua가 Clive를 총으로 쏘게 만든다.
이와 같이 식민주의의 지배와 피지배의 관계와 남녀의 성차별의 관계는 feminism을 펼치는 학자나 작가들뿐만 아니라 그 밖의 많은 작가들에 의해서 상당히 다루어진다.
전체적으로 이 작품의 1막에서의 인물관계는 위에서 밝힌바와 같이 식민주의의 지배구조와 남성과 여성의 차별적 모습을 서로 연결하여, 대칭적으로 잘 드러내주고 있으며, 이를 위해 현대 이전의 시대상황을 설정하였다는 작가의 의도를 쉽게 알아차릴 수 있다. 그렇다면 현대이전의 그러한 불합리하고 부조리한 상황은 '이성의 시대'인 현대에는 사라져야 함이 마땅할 것이다. 그러나 과연 지금 우리의 주변 상황이 '변혁'을 이룩한 이상사회의 모습일까? 이러한 물음에 대해 Caryl Churchill은 2막에서 현실에 대해서는 회의적 시각을 보이지만 반면에 근본적이며 올바른 변화의 출발점을 제시하고 있다. 그것은 바로 여성자신의 시선으로 보는 자기 자신에 대한 깨달음이다.
§ 여성의 정체성 획득의 과정
19세기 식민주의 시대 여성의 이미지는 일반적으로 일정하게 규격화된 틀을 가졌다. 조용하며, 온순하고, 가냘프고, 여린, 그리고 남성의 사랑을 받고, 남성에 의해 보호받아야 하는 등의 수동적 부차적 성적 특질을 갖는다. 여성의 존재를 단지 집에서 남자를 기다리는 역할로 인식했다. 그렇다면, 이러한 성적인 특징이 여성 본래의 자연적이며 유전적 요소이며 '여성'이라는 존재의 정체성을 규정하는가?
인간의 '성(sex)'은 생물학적인 성(sex)과 사회적 성(gender)로 구분 지을 필요가 있다. 생물학적 성이 신체적인 차이를 의미하는데 반해, 사회적 성은 남녀간의 심리적, 사회적, 그리고 문화적 차이를 일컫는다.
생물학적인 성의 차이에 있어서, 남성과 여성의 외형상의 구분은 뚜렷이 드러난다. 그러나 남성이 여성과 비교되었을 때 더 활동적이고, 또한 육체적으로 힘든 작업에 적합하도록 배려된 생물학적 차이는 실제로 미미하다. 그리고 어느 문화권에서는 남성이 다른 사회들과 달리 수동적이며 비활동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고 하는데, 이것은 유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공격적인 성향을 갖고 있다는 주장을 뒤엎는 것이다. 따라서 남녀간에 나타나는 행동상의 차이는 대개의 경우, 후천적으로 발생한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이처럼 여성의 정체성이 사회적 환경에 의해 규정된다면, 그 사회적 환경을 개선을 토대로 남성과 여성간의 차별을 종식시킬 수 있을 것이다. 르네상스의 태동으로 인간존엄의 사상은 기나긴 중세 암흑기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사회의 시작을 알렸다. 이 흐름은 근대에 들어와서 프랑스 혁명 등을 이끈 인권주의로 발전하였으며, 현대에 이르러서는 모든 인간이 평등하고, 자유로 와야 한다는 민주주의 사상을 낳았다.
그러나 이 커다란 변혁의 역사의 과정에 있어서, 여성의 지위나 여성에 대한 시각은 그리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여성의 사회참여는 지난 과거시대보다 활발히 전개되었으나 그것은 일부에 한정되었으며 그것 역시 남성의 일에 대한 부차적인 것이었다. 또한 여성 자신에 대한 인식도, 미흡한 수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Caryl Churchill은 이러한 정체적 상황을 작품에서 인물과 시간적 배경의 흐름의 연속성과 일치성을 파괴함으로써 드러내려 하고 있다. 작가의 이와 같은 의도는 1막과 2막의 시대적 배경이 각각 Victoria 시대의 영국식민지와 현대의 London으로, 거의 200년간의 차이를 두고 있지만, 인물들에게는 겨우 25년이 지난 것으로 설정되었다는 점에서 잘 나타난다. 즉 시간은 상당히 흘렀지만, 여성의 모습은 계속 그 자리를 유지하고 있다는 것이다.
2막에서 각 인물들은 1막의 인물들과 달리 상당히 개방된 사회 속에서 살고 있다. 동성애와 성관계의 관계가 공공연히 거론되고, 등장하는 남성들의 의식들도 진보적인 것으로 묘사된다. Lin과 Betty의 딸 Victoria의 동성애적 관계, 그들과 Edward의 관계, Edward와 Gerry의 동성애적 관계 등은 은밀한 비밀 속의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관계로써 나타난다. 그리고 Victoria의 남편인 Martin은 가사를 도와주고 남녀 관계에 비교적 진보적인 시각을 갖춘 인물처럼 묘사된다.
그렇지만 정작 작품의 여성인물들은 그리 자유롭지 못하다. Lin과 Victoria는 모두 양육의 문제를 안고 있고, 경제적인 독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리고 남성중심의 가부장적 시각은 여전히 존재한다.
한편 '25년'이라는 시간의 상징성은 여성에 대한 지위와 인식의 사회적 정체성을 나타내는 동시에 여성의 새로운 시작을 암시하고 있다 할 수 있다. 인간에 있어 '25살'이란 나이는 청소년기를 벗어나 스스로 자신의 삶을 책임지고 개척해 나가는 시기라 할 수 있다. 이 시기에 인간은 한 주체로 자신을 재인식하게 된다. 이 극에서 여성 인물들은 극이 진행되는 동안 점차적으로 자신의 존재를 발견해 나가게 되는 데 아마도 가장 그것이 분명히 드러나는 인물은 Betty일 것이다.
Betty는 Clive와 이혼하고 혼자 살아가게 된다. 그것은 그녀에게 자유로움보다는 왠지 불안하고 걱정되며 무엇인가 빠진 것 같은 느낌을 준다. 그것은 그녀가 지금까지 오직 Clive의 한부분일 뿐, 그녀 자신의 존재를 잃고 살았기 때문이다.
Betty : You must be very lonely yourself with no husband. You don't miss him?
· · · · · ·
Gerry : Good. so do I. You can do what you like.
Betty : I don't really know what I like.
새로운 상황은 그녀가 적응하는 것을 힘들게 하며, 혼자라는 두려움을 극복하지 못하게 한다. 그녀가 느끼는 두려움은 이제까지 지속된 여성의 가치절하와 이제부터 가능한 성적 자유로움에 기반을 두고 있다. 그녀는 Lin, Victoria, 그리고 Edward의 관계를 인정하지 못한다. 그녀가 자신의 삶의 환경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과 능력은 돈을 벌기 시작하면서 점차 나타난다. 병원에서 일하면서 버는 돈은 그녀의 독립적 의지를 지탱해주는 경제력을 제공하는 동시에, 자신감을 그녀 자신에게 준다. 대부분의 학자들에 따르면, 여성이 남성의 종속적인 상태로부터 벗어나 성차별의 문제를 풀기위해서는 가장 먼저 경제적 독립이 선행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후에 경제력에 의해 자신감을 되찾은 Betty는 독립된 개인으로서의 자신의 가치를 인식하고 Victoria의 선택을 수용한다. 큰 집을 구입하여 함께 살 것을 제안하고 Gerry를 초대하는 식의 새로운 행동을 하게 된다.
2막은 1막에 등장한 Betty와 2막의 Betty가 포옹하면서 끝난다. 이 장면은 Betty가 새로이 관계를 맺으려고 했던 Victoria와 Gerry에게 거부당한 뒤, 그리고 1막에서 등장했던 Maud와 Clive에게 비난받은 뒤 이루어진다. 두 명의 Betty가 포옹하는 모습을 두고 관객은 과거와 현재의 단순한 융합이나 정체성의 통합으로 해석할 수는 없다. 오히려 현재의 Betty가 과거의 자신에 연결되면서도 또한 분리된, 전혀 새로운 자아를 느끼는 장면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것은 앞서 언급한 Lacan의 '타자이론'에서처럼, 자신의 거울 속에 비친 모습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확인하는 동시에, 이전의 자신과 달라진 자신의 모습을 깨닫게 되는 것이다. 과거에 대한 재해석을 통해 현재를 자신의 의식에 의해 구축함으로써 Betty는 그녀가 시작한 변화의 과정을 지속할 것임을 관객에게 보여준다.
2막에서 관객은 Betty의 변화를 통해 그 변화가 개인적 차원에 머무르지 않고 그녀를 둘러싼 사회의 변화가능성으로 확대됨을 엿볼 수 있다. 경제적 독립을 확보함으로써 성적 자유로움을 획득한 그녀는, 1막과 달리 그녀 스스로가 자신의 운명을 통제하고, 전혀 새로운 적극적 방식으로 변화를 하는 모습은 남성의 욕망과 정체성의 대상물로서의 여성이라는 종속적 입장을 거부하는 모습이며, 새로운 경험을 통해 스스로 자신의 역할을 확보하려는 모습이자, 전통적인 남성의 역할을 함으로써 주체와 객체의 관계를 다시 정립할 수 있게 하는 기회를 제시한다.
Ⅲ. 결론
앞에서 살펴보았듯이 식민주의에서 나타난 계층간의 차이와 남성과 여성의 차이는 그 양상에 유사점을 갖는다. 지배의 위치에 있는 쪽이 피지배 쪽의 존재성과 정체성을 망각시키고, 그 상태를 영구화시키려 한다는 것이다.
Caryl Churchill은 [Cloud 9]에서 여성다움과 남성다움을 생득적 차이에 의해서가 아니라 사회·문화적 규정에 의하여 결정된 행동 위에 만들어진 것이라 주장한다. 식민주의 시대 배경을 토대로 남성과 여성의 성차별은 인위적인 규정에서 비롯된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녀는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문화가 설정한 '여성'의 개념을 부정하고 있으며, 여성들이 사회적 역할에 의해 규정하는 것을 거부한다. 그녀는 자연스럽게 일반적으로 인정된 여성적인 특질이 사실은 문화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라는 점에 강조를 두고 있다. 역사적으로 볼 때 남성들이 문화적인 면에서 여성이 지닌 고유의 가치와 의미를 조작하고 통제해 왔으며, 따라서 남성들에 의해 조작되어온 '여성'은 마땅히 해체되어야 할 존재로 인식하고 있다. 또한 여성 스스로 자신에 대한 정체성 인식 및 통찰이 요구되어야 한다는 것을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 있다. 올바른 가치관을 실현함과 동시에, 그러한 '여성'의 미래가 보다 희망적이며 밝다는 확신을 관객들에게 심어주고 있다.
Feminism & Gender
1. Femenism 이란
여성의 권리를 획득하기 위해 결성된 운동, 곧 "여권 신장론"이며, "여성해방운동"을 전제로 한 여성문제의 접근 방법으로, 여성에게 가해지는 사회적 차별에 대항하는 하나의 이론
많은 연구자들이 남녀의 위치가 서로 다른 원인은 남녀의 선천적 성향 때문이 아니라 사회적 요건 때문이었다는 논지를 펴고 있음.
페미니즘이란 용어 자체는 여성과 여성적인 것을 나타내는 female이라는 단어를 어원으로 하고 있어 여성 중심적, 여성성 지향으로 여성존중의식을 나타내고 있다.
2. Gender & Sex
sex는 생물학적이며 행위중심의 성(性)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개념
性에 있어서 生에 해당하는 부분으로 이해.
Gender는 생물학적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정의된 성
또한 여성성과 남성성의 사회적 의의를 뜻하기도 하며 퀴어, 동성애 등의 LGBT(레즈비언, 게이, 양성애자, 성전환자의 두문자를 딴 말)를 의미하기도 한다.
3. Feminist 연극 주제
⑴페미니스트들은 "가부장제가 여성 억압의 주된 원인이었다"고 주장하고 이런 입장이 페미니스트연극출발점.
⑵둘째, 여성에 대한 억압이 성적인 억압이었으므로 남성 위주의 성에 대한 통념을 해체하고 새로운 성에 대한 개념을 확립하려고 노력함.
⑶셋째, 여성운동은 여성의 의식을 고양시키려고 노력하며 많은 여성극들이 극단들의 의식 고양작업의 산물이다.즉, 여성이 삶의 주체가 되는 경우가 많음.
⑷넷째, 페미니스트 연극에서는 여성간의 사랑과 유대가 가부장제가 지배하는 사회의 억압으로부터의 도피처로서 그려짐.
4. Feminist의 연극 특징
공연제작 과정에서의 특징은 기존의 가부장적 질서로 여기지는 위계적이고 권위적인 질서와 통제에 대한 반발을 가장 먼저 들 수 있다.
실제 상황과 사실적인 인물 묘사에만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성 역할의 구분을 해체시킬 수 있는 하나의 장치로서 기존의 연극에 대한 도전이요, 기존 극 구조 자체의 해체 작업이라는 점에 주목
대개의 여성주의 연극 공연집단은 구성원이 여성으로 되어 있으며 스탭도 여성, 그리 고 때때로 관객도 여성으로 제한 하는 경우 존재. 이는 관객에 여성만 있는 경우와 남성 섞인 경우의 반응과 공연의 효과 큰 차이
많은 여성 작가들이 자신의 경험으로부터 글을 쓰며 같은 여성의 몸을 가진 배우가 육체적인 몸짓으로서 같은 여성의 경험을 표현해주기를 기대한다. 이러한 육체적, 정신적인 긴밀한 관계, 직접성이 여성극의 특징
5. Feminist의 연극 방법
기존 남성 위주의 연극이 갖는 형태의 경직성이나 확고성보다는 Sue-Ellen Case의 표현을 빌리자면 "contiguity,“ "nearness," "working-in-between"이 특징임
60년대 극단의 실험운동과 더불어 여성극이 실험적이고 즉흥적인 구조가 갖는 경향
플롯보다는 평범한 세부, 자질구레한 것, 분위기가 페미니스트 연극에서는 더 강조
실제 상황과 사실적인 인물 묘사에만 치우치지 않도록 하기 때문에 성 역할의 구분을 해체시킬 수 있는 하나의 장치를 지님. 기존 극 구조 자체의 해체 작업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6. 처칠의 연극특징
여성들간의 공동 집단 창작, 사건이 일어난 순서를 무시한 채 자유로이 과거와 현재를 넘나드는 초역사적인 시간, 성을 바꾼 배역을 통해서 남녀 성 역활에 대한 고정 관념을 타파해 보려는 시도
등은 기존 연극의 형식에서는 볼 수 없었던 기법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모색.
처칠의 작품에서 반복되어 나타나는 주제는 여성 억압과 자본주의 사회에 대한 비판
처칠의 작품에는 전통적인 남성 대 여성의 구별을 강요하는 가부장적 성 이데올로기의 해체와 아울러 개인주의적 부르주아 페미니즘에 대한 비판
7. 처칠의 연극에서본 Fminism
1 ) 1막에서 인형으로 대체되어 보여지는 딸 victoria는 여성이기 때문에 clive에게는 무의미한 존재
전통적으로 가부장적 사회에서는 아내와 딸의 존재는 거의 없는 것 (특히 딸은 아내보다 더욱 심함)
Victoria는 어떤 의사표현이나 혼자 행동도 못하고 Clive, Betty, Maud등장인물에 의해서 넘겨지고 넘겨받는 인형일 뿐임
2 ) 가부장 제도에서 여성에 대한 남성의 지배를 백인들이 흑인을 지배하는 식민지 지배에 비유.
clive는 자식뿐만 아니라 아내에게도 군림하려는 제국주의자로서 식민지와 여성을 지배하려는 모습을 1막에서 보여짐
가부장제의 도덕성을 강요하고 아내에게는 여성으로서 미덕을 강요하며 그녀를 “작은 비둘기”라 칭함.
한편, 자신의 정욕을 절제 못하고 Saunders부인과 관계를 가지는 뿐 아니라 여성 비하 발언을 서슴지 않음.
clive는 자신의 가족과 주변인물을 “표준”에 의해 통제하려고 노력하지만 점차적인 반란으로 좌절되는데 이는 극의 앞에서 그가 통치하는 식민지에 그의 통치에 항의하는 반란이 일어나는점이 비유적으로 보여짐.
Clive : It is a pleasure. It is an honor. It is positively your duty to seek my help. I would be hurt, I would be insulted by any show of independence. Your husband would have been one of my dearest friends if he had lived. Betty, look who has come, Mrs. Saunders. She has ridden here all alone, amazing spirit. What will you have? Tea or something stronger?
클라이브는 이 대사 속에서 여성은 남성의 보호를 받아야하고 여성적 미덕을 강요하고 있는 반면 자신의 아내와 반대적인 샌더스 부인에게 감탄한다.
8. 처칠의 작품에서 본 Gender
성별에서는 남녀간, 인종에서는 흑백간의 역할교환
그리고 한배우가 여러 역을 해내는 다중배역 기법 사용.
이 기법을 통해 남녀의 성적주체성이란 생물학적으로 고정된 것이 아니라 생활습관의 변화에 따라 바뀌는 문화적 소산물 이라는 것을 주장
우리가 지녔던 남성과 여성의 차이에 대한 인위성과
인습성의 관념을 뒤집는다.
자신의 사상을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인물 시간 그리고 구조를 통해 관객의 기대를 뒤엎어버린다
그러나 역할 배정은 무작위적인 것 아님.
베티역 ⇒남성배우 : 베티가 남 성이 시키는 데로 한다는 점 을 강조하기 위함.
흑인 하인 조슈아 ⇒ 백인 : 백인이 시키는 데로 하려는 간절한 열망을 나타내기 위함. (학습화되어 길들여진 억압)
에드워드⇒ 여성배우 :에드워드가 여성성의 기질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통 개념의 남성이 되도록 강요 받는 것을 강조
Edward : I like woman.
Victoria : That should please mother.
Edward : no listen. Vicky. I’d rather be a woman. I wish I had breats like that, I think they’re beautiful. Can I touch them?
Victoria : what, pretending they’re yours?
Edward : No, I know it’s you
Victoria : I think I should warn you I’m enjoying this.
Edward : I’m sick of men.
Victoria : I’ m sick of men.
Edward : I think I’m a lesbian.
에드워드는 여성이 되고 싶어하며, 동시에 여성을 좋아함으로 자신이 레즈비언이라고 생각한다. 이는 사회적으로 구성해놓은 이분법적 경계선을 해제하는 말이라 할 수 있다.
9. 결론
Churchill은 극작가의 역할은 어떤 문제에 대답해 주는 것이 아니라 질문을 던지는 것이라고 하였다.
"Playwrights don't give answer, they ask questions"
그녀의 극속에 나타나는 '자기 드러내기'는
단순한 자기 고백에 그치지 않고
청자인 관객이 답변해야 할 질문을 던짐으로써
관객들에게 보다 적극적이고 비판적인 반응과 태도를 이끌어 내는 것이다.
CLOUD NINE
-The Fiction of Race and Gender in a System of Power-
1. Cloud Nine – Judith Butler를 통해 본 Cloud Nine의 주제
1) Judith Butler
a. Gender Trouble 의 저자
b. Queer 이론의 창시자로 일컬어 짐
c. ‘여성성은 없다’ 고 주장
d. “Sex is an artificial concept which Effectively extends and disguises The power relations responsible for its genesis”
2) Cloud Nine
a. Cloud Nine 역시, ‘intersexed’ , ‘intergaged’ 된 인물들로서, 생물학적 성, 인종 역시 문화적 구성물이라는 의식을 나타낸다.
2. Cloud Nine – 이분법적 성,인종 이데올로기에 대한 저항
1) 지배이데올로기의 이분법적 구조를 극명하게 드러냄으로써, 기존 관습 비판
2) 지배 이데올로기
a. 제국주의
b. 이성애
c. 남성 중심
d. 백인
3) 대항
a. 남녀 평등
b. 동성애
c. 흑인
4) 배역
a. 몸을 저항의 메시지를 담은 행위적 텍스트로 사용
b. Clive vs ..
a) Betty : 아내, 남성이 연기
b) Edward : 아들, 여성이 연기
c) Joshua : 흑인 하인, 백인이 연기
d) Victoria : 딸, 인형으로 대체
3. Cloud Nine > 성, 인종을 파괴한 배역의 의미
1) 성/인종을 비틀어 낸 배역으로 사회 내에서 개인에게 부과하는 관습적인 인식에 저항하는 메시지를 전달
2) Betty
a. “ I am a man’s creation as you see, and what men want is what I want to be. ”
3) Joshua
a. “ My skin is black but oh my soul is white.”
b. “ You’d hardly notice that the fellow’s black”
c. “What white men want is what I want to be. ”
4) Edward
a. “ What father wants I’d dearly like to be, I find it rather hard as you can see. ”
4. Cloud Nine > 인물들의 행동을 통해 본 관념 파괴
1) Clive
a. 개인에게 주어진 문화적/역사적/정치적 관념 속에서의 성에 대한 가치관을 가진 인물. 가부장적 권력관계 대변
2) Clive로 대표되는 기존 관계에 불편함을 느끼는 다른 인물들
a. Betty : 전형적인 여성의 역할에 거부감
a) 고전적인 여성 역할을 수행하지만, 탐험가인 Berry 를 동경. Betty와 사랑에 빠짐
b) “I always seem to be waiting for the men”
b. Mrs. Saunders : 남성에 의한 여성 지배 거부
a) 남성적 역할인 말타기, 총쏘기를 익힌 ‘unusual woman’
b) 남편과 사별하고 재혼의 뜻이 없지만, 이성과의 성관계를 즐김
c) Clive와 성관계를 가짐
d) “Sometimes I want to say no.”
c. Harry : 양성애자로서, 이성애에 대한 저항을 나타냄
a) Betty가 사랑하는 hyper-masculine explorer
b) 양성애자
c) Betty 뿐 아니라 Joshua 및 주민들, Edward와 성관계를 가짐
d) Clive의 제안에 따라 Mrs. Saunders에게 청혼하나 거절당함
d. Edward : 남성화 거부, 어른에 의한 아이 지배 거부
a) Clive의 아들
b) 아들로서, 남성적인 역할에 맞지 않음.
c) Betty 역시 Edward에게 남성적 역할을 가르치려하나 실패
5. Cloud Nine > Cloud Nine이 말하는 성, 인종, 나이에 대한 관념
1) 인물 간 복잡한관계
a. 부부관계 Clive와 Betty
b. 양성애 Harry와 Saunders
c. 부자관계 Clive와 Edward
d. 주종관계 Clive와 Joshua
2) 각자의 기준
a. 양성애를 제외하고는 기존관념과 맞닿은 Harry
b. Edward에게 남성적 임무를 교육시키는 Betty
3) 기존 관념의 허구성
a. 저마다 다른 정도의 지배/복종, 지배력을 제한하기 어려움
b. 권력체계 내의 인종, 성, 나이에 따른 지배의 허구성
6. Cloud Nine > ACT 2 & 작품에 담긴 메시지
1) ACT2
a. 배우들의 본연의 성 역할 연기 (Cathy 제외)
b. 제국주의의 종말, Modern Society, 25년이 지난 배우들
c. 완전히 계몽되지 않음
2) Victoria 와 Martin
a. 자신의 일을 위해 떠나는 Victoria
b. 여성 소설을 쓰면서도 부인을 반대하는 Martin
3) Edward와 Garry
a. Garry의 개방적인 연애관
b. 서로의 뜻을 존중하고 별거를 선택
4) 두 Berry의 만남
a. 성 정체성 재발견
b. 자신의 재발견
5) 권력 체계 내의 성/인종적 의식은 허구적이다.
6) 하지만, 성과 권력 관계에서 완전히 해방되지는 못한다.
7) 개인은 자유에 따라 저마다 성과 권력의 관계를 재생산 한다.
'Literatur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 & Cloud Nine (0) | 2010.10.02 |
---|---|
클라우드나인 관련 자료 번역 (0) | 2010.09.29 |
미국문학개관 강의 정리 노트 (2) | 2009.08.01 |
영국문학개관 강의 정리 (3) | 2009.08.01 |
영국문학개관 강의 노트 (0) | 2009.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