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내노동 - 프란츠 크사버

2011. 12. 29. 08:36Review/Theater

반응형
          너무나도 무감정적인 스토리를 지닌 작품이다. 하지만 몇몇 인터넷에 떠도는 이야기를 통해 보면 연극배우들이 자신의 연기력에 따라 아주 극과극으로 비춰질 수 있는 작품이라고 했다. 너무나도 당연하다는 것이 아내는 남편이 병원에 사고로 입원하고 있을때, 불륜을 저질러 임신을 하였는데, 그것을 빨리 낙태시키지 않고 그대로 방치해버린 바람에 아이가 뱃속에서 계속 자라게 되었다는 것이다. 거기다가 여자가 아이를 낳기를 원했다는 것. 아이만 둘이 있는 데 말이다. 또한 남편도 상당히 이에 대해 무덤덤하다. 이러한 서로의 부부관계가 중요한 상황이 아니라는 말인지도 모르겠지만 말이다.
          여기에 잔인한 장면이 추가 된다. 아이를 지우려고 부부가 합의를 봤는데, 낙태의 방법이 바늘로 생식기 속의 아이를 찌르는 것이다. 아주 괜찮은 방법인 것처럼 부부가 행동한다. 결국 아이는 머리에 혹이나고 뇌에 이상이 생긴 돌연변이 미숙아로 태어난다. 마치 영화 '이레이저'를 연상케 한다. 아내는 너무 힘들어 도망가버린 사이에, 남편이 아내 없이 아이들과 살게 된다. 하지만 굉장히 고되다. 아이들중 자신의 피가 아닌 아이는 몸이 안좋아 계속 운다. 그는 마치 몸을 씻어 주는 척하면서 익사 시켜 죽여 버리고 만다. 아내가 돌아왔을 때, 남편은 숨기려고 하다가 사실대로 이야기 해버린다. 그러나 오히려 가족의 분위기는 이전 보다 회복되어 가고 유지되어 지고 있는 상황이 되는 계기가 되어 버린다.
          이러한 행동에 대해 주변 사람들 마저 의심이 가지만 아주 쉽게 넘어가 버렸다. 그런 부분이 중요한 부분이 아니라는 것이다. 이성적으로 혹은 관습적으로 따져 보는 것이 아니라, 지금 현 상황에서는 충분히 그럴 수 있다고 생각한다. 당시 사회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하고 있기라도 하듯 말이다. 주변의 눈치를 본다고 처리한 것이 고작 아이의 무덤은 개무덤으로 바뀐거 뿐이다. 마지막은 다시 처음과는 뭔가 다른 상황으로 희망도 아닌 희망으로 끝나버리게 된다. 서로 성관계가 잘되지 않았는데, 앞으로는 잘될거 같다는 희망이다. 거기에 불륜할 때 아내는 후배위를 했는데, 앞으로 그것도 잘 할거라는 무언가의 기대감 마저 들어 버리면서 끝난다. 
           이것을 어떻게 받아들이는 가는 다른 극작품을 통해 분석하는 거 같다. 즉 이 한 작품 가지고는 해석하기 힘들다 보니, 전체적인 작가의 활동과 다른 작품을 토대로 이 작품을 해석하려 드는 거 같다. 겉으로 보면, 가부장의 여성 문제, 경제 문제를 들 수 있겠으나, 과연 이것이 올바른 해석인지는 잘 모르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