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1390)
-
Sad Café
* 미완성 입니다. 불펌마세요 Sad Café “But things in this life change very slowly If they ever change at all” 2006006015 Park Hyung rack Common people’s life is a humdrum. Their daily is always repetition. Of course, this tedious life exist escaping way. It is suicide or deviation. Example, In the midst of deviation is a drug. Tedious life is felt to go slow time. It’s clear; Metropolis grows fast speed ove..
2010.10.06 -
Identity and Gender in Cloud Nine 발표자료
* 저 포함 다른 사람들의 저작물도 있으니 퍼가지 마세요~~ Identity and Gender in Cloud Nine 과목 : 20세기 영국 희곡 담당교수 : 김영덕 교수님 2003002103 영어영문학과 김동은 2006006015 독어독문학과 박형락 2006006026 독어독문학과 정다정 2006002104 영어영문학과 홍수민 Will man Schweres bewältigen, muß man es leicht angehen. – Bertolt Brecht 1. Cloud Nine의 의미 희곡의 제목 'Cloud nine'은 그대로 해석하면 아홉 번째 구름 위 정도를 뜻하는 말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제목은 이러한 표면적 의미 외에 다른 뜻을 내포하고 있다. ‘Cloud nine’은 성적 극..
2010.10.05 -
사이버전쟁
* 강의 리포트입니다. 불펌말아주세요~~ Cyber War (사이버 전쟁) 2009F20316 박형락 냉전시대 이후 대규모의 전쟁은 현실주의 입장에 논하면서 암묵적인 국가 간의 규칙 성립이 이뤄지고 국가 간의 대립은 색다른 구도로 흘러가게 되었다. 단순한 총과 미사일의 전쟁이 아니라 문화, 경제, 심리를 통한 국가 간의 대립이 펼쳐지게 된다. 세계주의, 화합을 펼치면서도 그 이면에는 항상 국가의 목적과 노림수가 존재한다. 역사는 흘러가면서 단순한 변증법도 아니고 그렇다고 부정의 변증법으로 흘러가는 것도 아니다. 단지 외형만 바뀌었을 뿐이지 실상은 마치 주기를 이루듯 똑같은 패턴으로 흘러간다. 끊임없이 전쟁을 하고 가난한 사람은 가난하게 살고 약자는 강자에게 눌려 앉혀지는 것과 마찬가지다. 지식을 누가 더..
2010.10.04 -
포스트모더니즘, 헤롤드 핀터의 Homecoming
* 강의 정리 내용입니다. 불펌자제요;;; 포스트모더니즘과 언어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모더니즘의 등장 20세기에 걸쳐 서구의 문화와 예술, 삶과 사고를 지배해온 모더니즘에 대한 반동 1960년대에 들어 미국과 유럽에서 시작된 문학·예술의 한 조류 다른 시대, 다른 문화로부터 양식과 이미지를 차용하는 예술은 모두 '포스트 모던'의 자격 문학에 나타나는 포스트모더니즘 저자의 서술 대신 인물의 서술인 독백('의식의 흐름')형식이 나온다. 작가가 자신의 서술을 되돌아보고 의심하는 자의식적 서술(메타 픽션), 현실과 허구의 경계 와해, 인물과 독자에게 선택권을 주는 열린 소설, 보도가 그대로 허구가 되는 뉴저널리즘, 작가의 권한을 최소화한 미니멀리즘 기법 등이 쓰인다. 영화와 연극 역시 사실주의의 패러디로서 환상적..
2010.10.03 -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 & Cloud Nine
* 함부러 퍼가지 마세요~~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의 작가 Tom Stoppard는 이중적인 정체성 문제에 대해 주로 언급하였다. 대부분 말장난을 선보이며 극중극이 포함되어있다. 부조리극 스타일을 지니며 패러디를 구사하였다. 햄릿의 친구가 주인공으로 이 극에서는 등장하기 때문이다. 시간의 의미가 없다. 의미없이 단어 게임을 펼치며 그것이 철학적이지는 않다. 삼단논법을 Guildenstern을 사용하며 복잡한 철학이 담겨 있기도 하다. 반복되는 단어는 이 극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Rosencrantz는 메타 드라마를 언급하여 배우들이 연극하고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 Guildenstern은..
2010.10.02 -
소년병에 대한 나의 생각
소년병 2009F20316 박형락 소년병을 다루기 전에 하나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야 하는 것은 전쟁과 함께 강대국과 약소국과의 관계에 따른 경제 논리를 보아야 한다는 것이다. 최근 전쟁이 일어나고 있는 지역을 보면 주로 강대국이 전쟁 이면에 있으면서 약소국 끼리 또는 내전이 심하다. 이렇게 되면 전쟁이 벌어지는 지역에서의 경제는 강대국과 비교하면 점점 경제적 격차가 크게 벌어질 수밖에 없다. 따라서 자국의 경제체제가 무너지고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특히 약소국에다가 내전의 경우는 경제가 바닥난 상태에서 전쟁을 하는 것이나 다를 바 없기 때문에 인권을 자연히 무시하면서까지 경제적 이득을 취해야하고 그것이 바로 전쟁의 승리로 가져갈 수 있는 방법이다. 조금이라도 많은 군사동원을 위해 계속 징집할 수밖에 ..
2010.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