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 8. 21. 18:06ㆍEducation/General
(위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입니다.)
1.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에 대한 이해
1)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의 정의를 내려 보고 둘 사이의 관계를 설명해 보자.
교육의 핵심은 무엇을 어떻게 가르치느냐에 있으며 교육방법은 교육의 목적을 실현하는 데 요구되는 모든 수단적, 방법적 조건을 통칭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 말은 교육의 타당한 목적이 어떤 것인가를 탐구하는 행위를 제외한 다른 영역에 해당되는 말이다. 좁은 의미로는 교육방법이란 가르치는 방식이나 수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사용하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수업방식이다.
1994년 미국교육공학회(Association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 and Technology: AECT)에서는 교육공학의 개념을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의 설계(Design), 개발(Development), 활용(Utilization), 관리(Management), 평가(Evaluation)하는 이론과 실제로 정의하였다. 그러나 2004년에는 교육공학이란 적절한 공학적 과정 및 자원을 창출, 활용,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개전하는 연구와 윤리적 실천이라고 하였다.
교육방법은 교사 및 기타 교수자가 학습을 발생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설계, 개발, 적용, 관리, 평가하기 위한 지식의 실행력을 지니고 있으며, 교육공학은 교수와 학습을 설계하고 실행하는 포괄적인 영역과 문제를 고려하는 체제적 접근을 취하고 있기 때문에 교육방법과 교육공학은 불가분한 관계다.
2) 공학(technology)의 의미가 어떻게 사용되고 있는지 설명해 보자. 특히, 소프트테크놀로지(soft technology)나 과정테크놀로지(process technology)가 어떤 의미인지 말해 보자.
교육공학에서 공학을 갤브레이스(Galbraith)는 현실문제에 과학적이며 조직적인 지식을 체계적으로 적용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하이니크(Heinich)는 하드 테크놀로지란 컴퓨터나 TV등 하드웨어를 의미하고, 소프트 테크놀로지는 스키너(Skinner)의 프로그램 학습이나 캘러(Keller)의 PSI와 같이 학습의 심리사회적 틀이 되는 교수학습 기법으로 구분하였다. 소프트 테크놀로지는 과정 테크놀로지(process technology)로서 문제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을 의미하며 이는 교육공학의 핵심이다.
3) 교육방법에는 어떤 유형이 있는지 설명해 보자.
사회형은 여러 명이 모여 학습공동체를 건설하고 집단의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방법이다. 여기에는 학습 파트너(partners in learning), 집단조사(group investigation), 역할극(role playing), 법률조사(jurisprudential inquiry)등이 있다. 학습파트너는 학생간에 힘을 합쳐 작업할 수 있는 협동학습의 여러 형태를 일컫는 말이다. 여기에는 학생간의 작업의 효과성, 의존성, 분업, 경쟁심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집단조사는 민주적 과정을 학생에게 가르쳐야 한다는 듀이(Dewey)의 사상에서 나왔다. 학생이 문제 정의, 탐구, 자료 수집, 가설 세우기를 하면서 검증을 하고 교사가 이러한 활동을 조직하고 정보 정리 및 토론 유도를 한다. 역할극은 학습자에게 갈등상황을 연출하거나 다른 사람의 역할을 하면서 사회적인 행동을 관찰하고 사회 가치를 생각하며 사회 문제에 대한 정보를 인지하게 한다. 법률조사는 공공정책의 수립이 필요한 영역에 대한 사회문제를 점검하는 사례연구로 학생은 문제가 되는 사례를 분석하고 적절한 대응책을 설정한다.
정보처리형은 데이터를 수집 및 조직하고 문제를 파악하여 해결책을 제시하며, 이를 전달하기 위해 개념과 언어를 개발하는 등 세계를 이해하기 위한 인간의 원초적 욕구를 증진시키는 방안을 강조한다. 이 방법에는 귀남적 사고(inductive thinking), 개념획득(concept attainment), 과학적 탐구(scientific inquiry), 탐구훈련(inquiry teaching), 암기법(mnemonics), 창조공학(synectics), 성행 조직자(advance organizer), 지력 계발(developing intellect)등이 있다. 귀남적 사고는 학생이 정보를 발견하여 조직하여, 일련의 정보 간의 관계를 설명하고, 가설을 검증하도록 훈련하는 과정이다. 개념획득은 학생에게 조직된 정보를 잘 제시하고 개념을 학습하는 데 효과적이 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며, 귀남적 사고와 유사한 방법이다. 과학적 탐구는 그 학문이 탄생하게 된 바로 그 방법으로 학술적 내용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탐구 훈련은 인과적인 사고를 하며, 질문하고, 개념과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는데 도움이 되도록 설계한다. 암기법은 정보를 기억하고 동화하는 전략이다. 창조공학은 학생이 문제해결학습이나 작문활동을 할 때 기존의 사고틀을 깨거나 어떤 주제나 사안에 대해 새로운 시각을 갖도록 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한다. 선행 조직자는 학생에게 학습할 내용에 대한 인지구조를 미리 제공해 주는 것이다. 지력 계발은 학생의 발달단계에 교수법을 맞추고 학생의 발달을 증진시키는데 목적이 있다.
개인형은 학습자가 스스로를 보다 잘 이해하고 자신의 미래에 대해 스스로 책임을 져, 보다 질 높은 삶을 살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비지시적 교수(nondirective teaching)와 자아존중감 향상(enhancing self-esteem)등이 있다. 비지시적 교수는 로저스(Rogers)의 상담이론에서 탄생한 것으로, 학생과 교사의 파트너십을 강조하는 모델이다. 자아존중감 향상은 매슬로(Maslow)의 영향을 받아 자아존중감과 자기실현 능력을 계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행동체제형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수행에 대한 정보를 바탕으로 스스로 행동을 개선해 나갈 수 있다는 입장에 서있다. 완전학습(mastery learning), 프로그램학습(programmed instruction), 직접교수(direct instruction),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들 수 있다. 완전학습은 블룸(Bloom)의 이론을 바탕으로 만들어 진 것으로 단순한 것에서 복잡한 것으로 학습 단위를 세분한 다음 학생 개개인이 주어진 여러 자료를 순차적으로 학습하는 형태다. 프로그램 학습은 정해진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처음부터 마지막까지 설계된 대로 단계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말한다. 직접 교수는 학습목표 제시, 목표에 부합되는 학습활동 실시, 학습과정관찰 효과적인 학습을 위한 전략과 학습에 대한 피드백 제공으로 이루어져 있다. 시뮬레이션은 현실 상황을 단순화한 환경을 제공해 교수 효과를 얻으려 한다.
이 외에도 강의형, 토의형, 실험형, 독립형, 개인교수형으로 나누기도 하며, 사례분석, 협동학습, 발견학습, 문제해결학습 등을 추가로 생각할 수 있다.
4) 교육공학의 다섯 영역이 무엇인지 각각 설명해 보고. 각 영역에 대해 알기 쉬운 예를 하나씩 들어 보자.
설계(design)란 학습에 관한 조건을 구체화하는 과정으로 교수심리학을 그 모체로 한다. 체제이론(system theory)이 도입되면서 교수행위를 일회적인 행사로 보는 것이 아니라 여러 요소가 서로 긴밀히 연결되어 영향을 주고 받는 거시적인 입장에서 체계적으로 바라보게 되었고, 교육공학을 학문으로 장착시킨 원동력이 되었다. 설계 영역에 대한 연구와 실제는 다시 교수체제설계(Instructional Systems Design), 메시지 디자인, 교수전략, 학습자 특성으로 나눌 수 있다. 교수체제설계는 분석, 설계 개발, 실행, 평가의 단계를 포함하는 조직화된 과정이다. 메시지 디자인이란 메시지의 물리적 형태를 어떻게 조작할 것인가 계획을 세우는 것을 의미한다. 교수잔략이란 한 학습 단위 내에서 일어나는 학습활동을 선택하고 순서화하여 정하는 것이다. 학습자 특성이란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의 경험적 배경이다.
개발(development)란 설계에서 구체화된 내용을 물리적으로 완성하는 것을 말한다. 낸용이 중심이 되는 메시지를 담고 이론에 기반한 교수전략이 포함되어야 하며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교수자료 등 테크놀로지의 물리적 실재가 있어야 한다. 영역은 인쇄 테크놀로지, 시청각 테크놀로지, 컴퓨터 기반 테크놀로지(computer-based technologies), 통합 테크놀로지(integrated technologies)로 나눠진다. 시청각 테크놀로지는 대개 선형적이지만 역동적인 시각자료를 제공하고 개발자에 의해 사용이 미리 결정되며 상호작용성이 낮은 교사 중심적이다. 컴퓨터 기반 테크놀로지는 순서대로 상관없이 무작위로 사용하며 개발자의 의도 벗어나 학습자의 뜻에 따라 달리 사용하며 내용이 추상적인 형태로 제시되고 개발과정에서 인지과학의 원리가 적용된다. 상호작용이 높은 학생중심적이다. 통합 테크놀로지는 컴퓨터 기반 태크놀로지와는 반대로 구성주의(constructivism)의 원리가 적용되고 현실감을 지닌다.
활용(utilization)은 학습을 위해 과정(processes)과 자원을 사용하는 행위다. 곧 학습자와 학습자료 및 활동을 연결하고, 학습자를 이에 맞게 준비시키며, 수업활동 중의 학습자를 이끌며, 결과에 대해 평가하고, 조직 내에서 이런 행위가 지속 될 수 있도록 체계화하는 일을 포함한다. 로저스(Rogers)는 활용의 영역을 매체활용(media utilization), 혁신의 확산(얄련ion of innovation), 실행 및 제도화(implementation and institutionalization), 정책과 규제(policies and regulations)로 나누었다. 이는 혁신의 확산(duffusion of innovation)dlau 새로운 아이디어를 받아들이도록 촉진시키며, 정보를 일리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과정으로 요약할 수 있다. 하이니크(Heinich)가 제안한 ASSURE에서는 학습자 분석(analyze learner), 목표제시(state objective), 매체 및 자료 선정(select media and materials), 매체 및 자료 이용(utilize media and materials), 학습자 참여(require learner participation), 평가 및 개선(evaluate and revise)의 절차를 거친다.
관리(management)란 계획, 조직, 조정, 감독 등을 통해 교육공학을 통제하는 것을 말한다. 교수설계와 제작 프로젝트를 계획, 모니터, 통제하는 활동인 프로젝트관리와, 자원을 지원할 수 있는 체제와 서비스를 계획, 모니터, 통제하는 활동인 자원관리, 교수자료가 분배되고 전달되는 방식과 체제를 계획, 모니터, 통제하는 전달체제 관리, 학습을 위한 자원을 제공하기 위해 정보의 저장, 전송, 처리를 계획하고 모니터하고 통제하는 활동인 정보관리로 분류된다.
평가(evaluation)sms 교수와 학습의 적절성을 결정하는 과정이다. 문제분석은 정보수집과 의사결정 전략을 사용해 문제의 속성과 범위를 결정하는 것을 말한다. 준거지향평가(criteion-referenced measurement)는 학습자의 지식, 기술, 태도가 미리 설정된 기준에 도달하였는지 측정하는 기법과 관계된다. 형성평가(formative evaluation)는 지속적인 개선을 위해 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이다. 총괄평가(summative evaluation)은 교수자료나 교수의 가치 적절성을 측정하기 위한 정보수집 과정이다.
5) 최근에 일어나고 있는 교육공학의 동향에 대해 설명해 보자.
이러닝(e-learning)은 교실 내외에서 이루어지는 인터넷 등 첨단 테크놀로지를 기반으로 한 학습이다. 상호작용과 접근용이와 편리 그리고 학습자 주도와 개별학습이 가능하며 비용효과성을 띈다. 특징은 연결성(connecctivity), 학습자중심(learner-centered), 무제한성(unboundedness), 공동체(community), 탐구(exploration), 공유된 지식(shared knowledge), ekrkarkr 경험(multisensory experience), 실제성(authenticity)가 있다.
6) 미국교육공학회(AECT)에서는 1994년에 교육공학을 학습을 위한 과정과 자원을 설계, 개발, 활용, 관리, 평가하는 이론과 실제라고 정의하였다. 그 후 2004년에는 교육공학이란 적절한 공학적 과정 및 자원을 창출, 활용, 관리함으로써 학습을 촉진하고 수행을 개선하는 연구와 윤리적 실천이라고 정의하여, 1994년의 정의와 비교하여 학스버자의 수행(performance)에 대해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7) 미국교육공학회(AECT)의 1994년 정의에 따르면 교육공학의 주요 영역은 설계, 개발, 활용, 관리, 평가다. 학습자의 개별 특성은 설계의 단계에서 고려되어야 하며, 이후 개발, 활용, 관리, 평가의 영역에 모두 반영될 수 있다.
8) 체계적 접근방식이란 교수행위를 전체적으로 바라보고 어느 한 요소에 대한 결정이나 변화를 줄 때 관련된 모든 요인을 고려하는 체계적이며 과학적인 접근방식이다. 그러므로 교수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처방적(prescriptive) 접근이며, 구성 요소들 간의 유기적 상호작용을 강조한다. 체제이론은 교육공학을 하나의 과학적 학문으로 정착시키고 발전시키는데 공헌하였다.
2. 교수-학습 개론
1) 교수-학습 체제의 구성 요소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수활동은 학생들에게 어떤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기를 기대하고 수행하는 일련의 의도적인 활동이다. 행동의 변화란 다른 사람이 비교적 쉽게 관찰 할 nt 있는 겉으로 드러나는 행동뿐 아니라 지식이나 가치, 태도, 사고방법 등 그 변화를 쉽게 파악하기 어려운 내면적인 행동까지 포함하는 의미다. 즉, 사전에 치밀하게 계획된 의도적이며 가치지향적인 활동인 것이다. 그러므로 교수목표가 효과적, 효율적, 매력적으로 달성될 수 있도록 환경이 구성된다.
교수-학습 환경을 구성하고 있는 구성요소는 가르치는 교사, 배우는 학생 그리고 다루어지는 교육내용이다.효과적이란 의미는 애초에 도달할 것으로 계획하였던 교육목표 달성의 수준에 비하여 달성된 정도가 어느 정도인가를 의미하는 개념이며, 효율적이란 해당 목표를 달성에 투입된 시간이나 비용, 노력 등과 견주어서 어느 정도로 달성되었는가를 의미한다. 또한 매력적이란 의미는 ㄴ교육목표 달성의 과정이나 결과가 학생 자신에게 얼마나 유의미하였는가, 학생에게 얼마나 호소력이 있는 수업이었는가를 의미하는 개념이다.
교육 체제는 하위 구성요소간의 통합성(wholeness)과 상호의존성(interdependence)를 지니고 있고, 공동의 목적(equifinality)이 있으며 목적을 이행하기 위한 행동을 스스로 조절(regulation)하고 통제(control)한다. 그리고 고통적인 속성(attributes)와 위계관계(gierarchy)rk 형성되어 있다. 체제는 환경(environment)과 끊임없는 상호작용을 통해 외부 환경에 적응하며 정체성(homeostasis)을 확립하기 위해 노력한다.
하위 구성요소에는 교육목표, 교육내용,k 교육방법, 교사, 학생, 교육환경이 있다. 교육목표는 교수목표와 학습목표를 포함한다. 교수목표란 교사가 수업을 통해서 학습자에게 달성되리라고 기대하는 행동의 변화이며 학습목표는 학생이 해당 수업에서 다루게 되는 학습내용을 왜 학습해야 하는가에 대한 인식을 강조하는 개념이다. 교육내용이란 교육목표가 무엇이냐에 따라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야할 학습 경험을 말한다. 교육방법은 교육목표 달성을 위하여 교사와 학생 간에 내용을 중심으로 한 상호 의사소통과정을 말한다. 교사는 수업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하며 브루너(Bruner)는 교사는 해당 교과 영역에 대한 지식의 구조를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고 했다. 학생은 지능수준, 선수학습 정도, 학습적성, 학습양식, 학습동기, 학습태도의 특징을 지닌다. 환경은 학교 환경, 교실환경, 교사 환경, 학생 환경으로 분류된다.
2) 교수-학습 패러다임의 변화를 기술하시오.
쿤(Kuhn)에 따르면 과학의 발전은 패러다임의 변화(paradigm shift)dp 의해서 이루어진다고 하였다. 패러다임(paradigm). 이란 현상을 바라볼 수 있는 안목 또는 사고의 틀(frames of reference)을 말한다. 과거의 교수 학습 패러다임은 교사가 학생들에게 가르쳐야할 교육내용으로서 지식과 경험을 잘 선정하고 조직하여 학생들이 쉽게 기억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주로 교사의 언어를 중심으로 전달하는 형식의 패러다임이었다. 오늘날의 교수 학습 패러다임은 교사와 학생간, 학생과 다른 학생 간에 양방향적 상호 의사소통의 과정을 통해서 학생들의 학습을 촉진시키는 패러다임이다. 미래의 교수 학습 패러다임은 교육체제의 상위체제인 변화되는 사회체제의 특성을 반영한 패러다임이며 발달된 정보통신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패러다임이 될 것이다. 기초 지식을 기반으로 한 교사, 학생간의 활발한 상호작용을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것이다. 이는 학생중심 학습환경을 제공하며 열린 학습환경을 제공한다. 그리고 협동적 학습환경과 교수 학습 과정의 다양화를 제공한다.
3) 행동적 교육목표를 진술하시오.
교수 학습의 전개는 교수목표 설정, 출발점 행동진단, 학습내용 선정 및 조직, 교수 학습 활동 전개, 교수 학습 성과 평가가 있다. 여기에 교수목표는 수업을 통하여 학생들이 무엇을 할 수 있어야 하는 가를 말한다. 교수 목표는 구체적이고 명확한 행동적 용어로 목표를 진술하여 학습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하며 내용 요소와 행동 요소가 동시에 포함되도록 진술 하여야 한다. 그리고 도착점 행동의 폭넓은 변화를 포함하도록 진술하는 포괄성을 띈다. 그리고 진술된 목표 간에 상호 모순되지 않고 철학적 일관성이 있어야 하고 해당 목표가 타당한가에 대한 비판을 통하여도 언제라도 필요에 따라 변경이 가능해야 하며, 교육활동을 통하여 목표의 성취가 가능해야 한다.
수업목표는 관련 인사들 간에 대안적 해석이 가능하지 않도록 분명하고도 구체적인 행동적 용어로 진술되어야 한다. 메이거(Mager)는 구체적 수업목표가 지니고 있어야 할 세가지 요소를 도착점 행동(behavior), 상황이나 조건(conditions), 수락기준(degree)으로 제안하였다. 도착점 행동은 학생들이 나타내 보일 수 있는 관찰 가능한 행동과 수업을 통해 습닥하게 될 능력을 의미한다. 상황이나 조건이 의미하는 것은 도착점 행동이 발생할 상황이나 조건 중에서도 목표와 관련하여 더 중요하게 배려되어야할 상황이나 조건이 있게 된다. 수락기준은 행동이 활용 가능한 수준 높은 자원(source)을 활용하고 있는가에 대한 평가 또는 변화 결과이다.
다만 문제해결이나 창의적 사고와 같은 고등정신기능은 구체적이며 행동적 용어로 진술하기 어렵다. 그리고 예상치 못한 결과에 적정시기를 놓칠수 있으며 비인간적으로 인간을 다루게 되고 목표 강조가 사소하거나 단순한 행동 방식에 나열하게 되어 통합성을 해친다.
4) 학습자의 동기유발전략을 제시하시오.
동기유발활동이란 학생들이 학습에 대하여 높은 의욕을 갖고 열심히 노력하려는 내적인 마음 자세를 갖도록 하는 활동이다. 켈러(Keller)는 학생들의 학습동기를 유발하기 위하여 ARCS 모델을 제시하였다. 이는 주의집중(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만족감(Satisfaction)을 의미한다. 주의집중 전략은 수업의 전반을 통하여 학생들의 주의를 집중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전략이다. 지각적 각성과 탐구적 각성 그리고 변화성을 사용한다. 비일상적이고 새로운 것을 제시하고 학습자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며 적절한 변화를 주어 주의를 환기 시킨다. 관련성 증진전략은 수업에서 제공되는 학습내용과 학습자 자신과의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인식하도록 하는 전략을 말한다. 목적 지향성과 모티브 일치와 친밀성을 고려한다. 학습자의 요구를 어떻게 충족시켜주고 최적의 선택을 제공하며 수업과 학습자의 경험을 연결하도록 한다. 자신감 증진전략은 모든 학생이 학습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다는 자신감을 증진시키는 전략이다. 학습요건과 성공기회 그리고 개인적 통제를 고려한다. 성공에 대한 기대감과 학습자 자신의 능력에 대한 믿음 향상과 학습 후 자신의 성공이 노력과 능력에 의한 것을 알게 한다. 만족감 증진 전략은 학생이 수업에서 학습한 것에 대하여 만족감을 가질 수 있도록 하는 전략이다. 내재적 강화와 외재적 보상 그리고 공정성을 고려한다. 새로 배운 것을 의미있는 기회로, 학습자의 성공에 외적강화를, 학습자가 자신의 성취에 긍정적인 느낌을 가지도록 어떻게 도와줄지를 감안한다.
5) 교사와 학생의 역할 변화를 열거하시오.
학습자 중심 교육환경으로 변화하면서 학생은 수동적이지 않고 적극적으로 탐구하며 지식정보 제공자로 수업에 참여하고 창조적으로 해결방법을 탐색하고 발견하고 계획하며 교사를 모델이자 안내자로 생각한다. 교사는 경우에 따라서 수업에 지원하는 존재이며 보조자, 협조자, 코치로서 수업을 진행하며 학생 스스로 해결책을 탐색하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며 개인적인 지식이나 기능을 사용하여 학생들을 격려하는 역할을 한다.
6) 인지전략은 자신의 사고과정을 통제하고 관리하는 전략으로 이 중 정교화 전략이란 새로운 정보를 기존의 알고 있는 정보와 연관시켜 학습을 돕는 것을 말한다.
7) 가네(Gagne)가 제시한 인간의 학습된 능력(learning outcomes)
a. 인지전략은 개인의 학습, 기억, 사고행동을 통제한다.
b. 언어정보는 말로 진술된 문제를 거꾸로 재배열하는 수행사례다.
c. 지적기능으로 분류된 학습목표의 하위기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위계분석을 한다.
d. 지적기능은 학습자가 언어, 숫자 등 상징을 이용하여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능력이다.
e. 선언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은 언어적 정보에 해당한다.
8) 인지 전략 활용한 수업방법
a. 발췌(abstracting)란 문장이나 학습내용의 핵심을 추출해 내는 기법이다. 발췌의 목적은 자료의 양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읽은 내용에 대하여 가장 잘 묘사하고 있는 문장이나 구절을 추출하거나 요약하는 것을 의미한다.
b. 도식화(schematizing)란 학습 자료에서 주요 개념들을 찾아 개념도를 그려보게 하였다.
c. 인지적 점검(mornitoring)란 오답 공책을 만들어 자신의 부족한 부분에 대해 확인 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도록 하였다.
d. 조직화(organizing)란 책의 목차를 훑어보면서 앞으로 배우게 된 내용의 위계를 파악하도록 하였다.
e. 정교화(elaborating)란 배운 개념을 학생 스스로 비유적으로 표현하거나 자신의 언어로 말해보게 하였다.
9) 가네(Gagne)의 수업사태(events of instruction)
a. 학습자의 내적 학습 과정을 지원하는 일련의 외적 교수 활동이다.
b. 교실수업을 계획할 때 수업사태의 순서를 변경하거나 생략할 수 있다.
c. 파지와 전이 촉진 단계에서는 학습자에게 다양한 종류의 새로운 과제를 제시하여 학습의 전이가 잘 일어날 수 있도록 지원한다.
10) 학습 안내 제공이란 자극자료들을 보다 의미있게 통합하여 학습자의 장기기억에 저장할 수 있도록 돕는 교수활동이다.
11) 가네(Gagne)의 9단계 수업사태에서 교사의 수업활동
a. 학습자는 내적과정으로 선택적 지각을 하는 단계는 선수학습 회상시키기와 자극자료 제시하기 단계에 해당한다.
b. 학습자가 유의미한 지식을 구축하게 하는 단계는 학습안내 제공하기이다.
c. 학습안내 제공하기 단계는 학습자가 배운 내용을 장기기억에 저장하도록 돕는다.
d. 학생들이 선수학습 점검 질문에 답을 못할 경우, 다시 가르치기보다는 일단 새로운 학습을 진행하는 것은, 전이 및 파지 증진시키기 단계로 학습한 내용을 다양한 상황에서 제시하거나 반복하는 연습의 기회를 제공한다.
e. 성공적 수행에 대해서는 강화를 제공하고, 잘못된 수행은 교정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수행 유도 후에 진행한다.
12) ARCS 모형의 동기유발 요소별 활용전략
a. 주의집중(attention) : 감의 형태의 일방적 정보 제시와 토론 등의 상호작용 위주의 교수 및 학습 방법을 적절히 혼합하여 수업 방식에 변화를 준다.
b. 관련성(relevance) : 학습자의 흥미와 일치하고 학습자에게 의미와 가치가 있는 학습과제, 목표, 활동 등을 제시한다.
13) ARCS 모형의 탐구적 각성 : 자신감(confidence) : 학습자의 호기심과 탐구심을 자극하고 학습에 대한 기대감을 갖게 한다. : 학습에서 높은 점수를 받을 수 있으며,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는 기대감을 높이는 전략 : 자신감 증진 전략.
14) ARCS 모형의 증진전략 : 만족감(satisfaction) : 다양한 난이도의 과제를 제공하고, 학습자가 학습 속도, 상황의 복잡성 등을 스스로 조절하도록 한다. : 학습의 과정과 결과에 대해 긍정적이고 만족감을 얻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높이는 전략 : 자신감 증진 전략.
15) 규준참조평가는 상대기준평가라고 하며, 준거참조평가는 절대기준 평가라고 한다. 규준참조평가는 선발적 교육관에 근거하고, 준거참조평가는 발달적 교육관에 근거한다. 규준참조평가에서는 변별도가 중시되고, 준거참조평가는 타당도가 중시된다.
3. 교수-학습의 기저 이론
1)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지향하는 학습관, 기본 가정을 간략히 비교 및 설명하시오.
행동주의이론은 다윈(Darwin)의 진화론에 영향을 받아 손다이크(Thorndike)와 파블로프(Pavlov)에 의해 시작되었다. 해동주의 이론에서는 학습을 경험의 결과로 나타나는 행동의 비교적 영속적인 변화로 정의하고 있다. 따라서 관찰 가능한 행동에 초점을 맞춘다. 학습과 수행이 반드시 같은 것은 아니며 신체적 피로에 의한 일시적 변화는 학습이라 할 수 없으며 경험은 반복 연습에 의한 경험이라고 생각한다. 행동주의이론의 근본원리는 자극(stimulation)과 반응(response)간의 연합에 있다. 행동주의는 대응 가능성(equipotentiality)dp 가정을 두고 있다. 그리고 인간을 복잡한 기계라고 가정한다. 따라서 행동예측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인간의 현재 행동은 건행조건에 의해 결정된다고 가정했다. 그래서 행동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또한 인간 행동은 자연 법칙에 의해 지배를 받으며 환경은 행동이 이루어지는 변인으로 가정한다. 인간의 행동은 환경의 조절에 따라 변화 또는 수정될 수 있는 것으로 가정한다. 그래서 환경을 적절히 조절하면 학습도 의도한 대로 조절이 가능하다고 생각했다.
인지주의는 인지주의 학습이론은 행동주의 학습이론에 저항하여 생겨난 인간 학습이론이다. 이는 우리 눈으로 직접 관찰할 수 없지만 우리의 두뇌 속에서 벌어지는 외부 감각적 자극의 변형, 기호화 또는 부호화(encoding), 파지(retention), 재생 또는 인출(recall)이라는 일련의 정보처리과정을 연구한다. 즉, 인지주의 학습이론은 외적 행동을 불러일으키는 내적 과정에서 학습의 의미를 구명한다. 행동주의와는 달리 자극과 반응의 중간과정인 인간의 내적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내적 과정 중에서도 이해나 창조적 사고와 같은 고등정신과정을 연구 대상으로 한다. 학습단위를 요소 간의 관계로 보고 이러한 관계는 통찰에 의해 발견된다고 가정한다. 인간의 학습과 동물의 학습 간에는 질적인 차이가 있다고 가정한다. 즉 인간은 능독적이고 적극적으로 지각하고 해석하며 판단하는 사고과정을 통해 행동한다. 전체는 부분의 합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인간은 낱낱의 부분으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요소 간의 관계로 지각한다.
구성주의에서의 학습은 개인적인 경험과 흥미에 따라 지식의 가치가 판단된다. 구성주의에서 구성은 활동의 결과가 아니라 학습자 스스로 설계해 나가는 구성과정을 의미한다. 따라서 구성주의에서 학습은 학습자 개인의 경험과 흥미에 따라 정한 학습내용을 스스로 구성해 나가는 과정이며 결과는 그 과정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는가에 대한 확인으로 평가된다. 지식은 인식 주체에 의해 구성된다. 지식은 개인이 수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경험을 바탕으로 능동적으로 구성한다. 지식은 맥락적이다. 지식은 인식 주체에 의해 구성되고 항상 상황 내에서 이루어지며 그것이 습득된 상황과 관련된다. 이것을 상황적 인지(situated cognition)이라고 한다. 지식은 사회적 협상을 통해 이루어진다. 인식 주체에 의해 주관적으로 rntd되고 상황에 따라 상이하게 구성되는 지식은 타인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그 타당성이 검토되어 지식으로 형성된다.
2)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의 학습원리를 설명하시오.
행동주의의 학습이론의 학습원리에는 고전적 조건화 이론과 시행착오설 그리고 조작적 조건화 이론이 있다. 고전적 조건화 이론은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이 반복 제시될 때 무조건자극은 조건자극에 대한 강화기능을, 조건자극과 무조건자극 간의 시간 간격이 조건반응에 영향을 주고, 조견형성은 자극일반화와 변별의 과정을 거친다. 시행착오설은 어떤 일을 실천하였을 때 만족스러운 상태에 이르면 더욱 그 일을 계속하려는 의욕, 모든 학습은 단번에 성과를 거두기보다는 꾸준히 반복적인 연습의 결과로 목표에 도달하고 성공하게되며, 연습을 통해 향상되고 바람직한 행동 변화를 가져오고, 사전에 충분히 준비된 학습활동은 학습이 만족스럽게 잘 되는 원리다. 조작적 조건화이론은 강화적 자극이 따르는 반응은 반복되는 경향이 있으며 조작적 반응이 일어나는 비율을 증가시키는 것은 강화적 자극, 일정한 반응 뒤에 강화가 주어지지 않으면 반응은 소거하는, 조형이란 실험자 또는 치료자가 원하는 방향 안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반응만을 강화하여 원하는 방향의 행동을 습득하도록하고 원하지 않는 방향의 행동에 대해서는 강화를 받지못다호록 하여 결국 원하는 방향의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 일단 습득된 행동은 만족스러운 결과가 주어지지 않는다고 하여 즉시 그 행동이 소거되지 않는 것, 변별이란 보다 정교하게 학습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유사한 자극에서 나타나는 조그만 차이에 따라 다른 반응을 보이는 것, 소거에 대한 저항을 높이기 위하여 적합한 반응의 일정 비율만을 강화하는 부분강화계획(partial reinforcement schedule)을 제시하는 원리를 말한다.
인지주의의 학습이론은 형태주의 심리학(gestalt psychology)과 정보처리 이론이 있다. 형태주의 심리학은 인간의 지적 현상을 연구함으로써 학습의 의미를 규명하려고 노력한다. 학습자는 현상을 단편적으로 지각하는 것이 아니라 조직된 형태로 지각하려는 경향을 갖는다. 워싸이머(Wertheimer)는 체제화가 모든 정신활동의 기초고 인간은 자신이 지각하는 장이 체제화되어 있지 못하면 이를 하나의 형태로 체제화하려는 보편적이며 생득적인 경향성을 갖고 있다고 보았다. 이를 지각의 법칙(law of perception)이라고 하였다. 쾰러(koehler)는 통찰(insight)을 중시했다. 학습자가 문제 장면에 직면하게 되고 문제 장명에 대한 탐색이 이루어진다. 이로인해 통찰이 형성된다고 하였다. 정보처리 이론은 인간이 외부세계에서 획득한 정보를 어떻게 지각하고 이해하고 기억하는가에 대한 이론이다. 과정은 환경적 자극에 감각등록기(seneory register), 단기기억(short term memory), 장기기억(logn term memory)로 이루어진다. 인식 집중을 하지만 감각등록기에서는 망각이 있을 수 있다. 주의를 통해 단기기억을 시도한다. 그리고 이에 반응한다. 장기기억은 단기기억을 부호화하여 기억된 직용이다. 인지주의에서의 학습원리는 유의미화(meaningfulness), 수서적 위치(serial position), 연습(practice), 정보의 조직(organization), 전이와 간섭(transfer and interference), 기억술(mnemonic devices)가 있다. 정보가 유의미할수록 기억하기가 쉽고 학습자가 가진 지식의 구조, 경험, 준비도와 연결할 때 효과적인 연습이 된다. 순서적 위치는 간섭이 없는 것이 좋다. 연습에는 밀집된 연습보다 분산되고 반복적인 연습이 효과적이다. 단기기억 장치에서 조직화 시키면 더 많은 정보를 기억한다. 전이는 이전의 학습이 새로운 학습에 영향을 주는 것을 말한다. 의미가 없는 자료를 유의미하게 하여 기억하기 쉬운 추상적인 것으로 연결시키면 기억이 좋아질 수 있다.
구성주의는 인지적 도제제도(cognitive apprenticeship)와 상황적 교수학습이론(anchored instruction), 인지적 유연성이론(cognitive flexibility)이 있다. 인지적 도제이론은 전문가와 초심자 간의 특정한 관계 속에서 실제적 과제를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통하여 새로운 지식을 구함으로써 개념을 발전시켜나간다. 1단계는 모델링(modeling), 코칭(coaching), 인지적 기반구축(scaffolding)으로 이루어지며 2단계는 명료화(articulation), 반영(reflection)을 거치며 3단계는 탐색(exploration)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문제해결을 한다. 상황적 교수 학습이론은 수업에서 실제 문제상황을 교수 매체를 활용하여 학생에게 제시한 다음 가능한 대안을 찾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인지적 유연성은 여러 지식의 범주를 넘나들며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하는 급격하게 변화해 가는 상황적 요구에 대해 적응력 있는 대처능력을 말한다. 인지적 유연성 이론은 이를 이용하여 주제중심의 학습을 하고 학습자가 충분히 다룰 수 있는 정도의 복잡성을 지닌 과제로 작게 세분화하여 소규모의 다양한 예를 제시하게 한다. 구성주의의 학습원리의 특징은 객관적 지식보다 주관적 지식을 강조한다는 점이다. 학생은 여럿이 공부를 하고 교사는 상호작용적으로 행동하고 학생들을 사고자로 생각하면서 포트폴리오를 활용하는 작업을 가진다. 실제적 활동이 포함되는 복잡한 학습환경을 제공하고 사회적 협상을 제공한다. 다양한 관점과 자신의 사고와 학습과정에서 반성과 인식 기회를 제공한다.
3) 행동주의, 인지주의, 구성주의 학습이론이 교수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설명하시오.
행동주의 학습이론에서 시사점은 행동목표 제시, 외재적 동기의 강화, 수업계열, 수업평가가 있다. 바람직한 학습을 유도하기 위해 초기에 학습하기를 원하는 정확한 수행을 미리 제시하고, 학습목표는 수업이 끝났을 때 학습자가 성취해야 하는 결과를 관찰 가능한 행동목표로 진술해야 한다. 정반응이면 칭찬, 미소, 상 등 긍정적 결과를 주고, 오반응이면 무시한다. 수업내용은 쉬운 것부터 어려운 것으로 점진적으로 제시하고 복잡하고 어려운 문제를 단순한 것으로 세분화하여 제시한다. 수업목표에서 진술된 행동의 계속적 평가와 피드백을 제공한다.
인지주의 학습이론에서 시사점은 학습자에 의한 목표 설정, 내재적 동기유발, 교수방법, 수업계역, 수업평가로 구성된다. 인지주의에서 학습목표는 학습자가 스스로 설정한다. 교사는 학습자의 내재적인 동기유발에 힘을 기울인다. 학습자 내부에서 일어나는 인지과정에 관심을 두어사고의 과정과 탐구기능의 교육을 강조하며 교사는 우선 학습자의 인지 발달 수준을 알고 그에 따라 적절하게 학습내용을 조직하여 제시하는 것이 중요하다. 인지주의에서 행동의 결과가 아닌 인지 과정에 관심을 둔다. 학습 결과보다는 학습과정에 중요하게 평가되어 진다.
구성주의 학습이론에서 시사점은, 수업목표는 학습이 이루어지기 전에 학생이 과제를 가지고 문제를 풀어 가는 과정 중에 도출되어 학생 스스로 수립한다. 수업평가는 성취도 한 가지에 국한하지 않고 과제의 수행과정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해야 한다. 학습자의 수준에 맞게 정리되지 않은 복잡한 상태 그대로의 과제를 학습내용으로 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현 지식과 경험의 수준 및 관심에 따라 문제를 선택 및 설정하고 해결하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춘다. 구성주의에서는 협동학습을 조장하여 개인이 맡아야 할 인지적 부의 정도를 덜어 주기 때문에 학습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학습에 임할 수 있다. 학습자의 흥미 및 관심 등에 비추어 학습자 스스로 학습목표를 설정하기 때문에 학습에 대한 흥미를 불러 일으 킬 수 있다. 교사는 학습자 개개인의 수준을 고려하여 그들 스스로에게 맞는 학습내용을 선전항 수 있도록 조언해 주는 역할을 한다.
4) 교수설계에 주는 시사점을 바탕으로 학습이론별로 학습자의 학습 흥미를 유발하고 지속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시오.
5) 조작적 조건형성이론에 근거하여 행동수정의 단계
a. 학습목표 설정 : 목표로한 행동 설정
b. 출발점 행동 진단 : 현재의 상태 진단
c. 처방적 교수 : 강화와 벌 사용
d. 평가 : 목표로한 행동의 달성 여부 측정
e. 달성되지 못한 목표에 대한 처방
6) 프리맥의 원리(premack’s principle) : 목표로 하는 행동을 하면 그 후에 학습자가 원하는 행동을 할 수 있게 해 줌으로써 목표행동의 빈도를 높이는 것. 행동주의 기반 교수기법.
7) 정보처리이론 교수 기법 : 주의집중, 유사 항목 묶어 기억, 노래 이용.
8) 비계설정(scaffolding)은 학생의 현재 능력 수준과 목표로 하는 능력 수준을 정확하게 진단하여 학생이 목표 수준에 도달할 때까지 지원해주는 것. 비계설정은 학생이 목표 수준에 도달하면 점차적으로 지원체제를 제거해야 하며 이를 페이딩(fading)이라고 한다.
9) 인지적 도제 모형
a. 실제적인 문제해결 과제 제시
b. 시범 제공
c. 코칭과 지원 제공
d. 동료 학생들과의 협력 지도
e. 일반적 원리로 초점을 옮겨가도록 지도
f. 시범제공(modeling)단계에서 교사가 학생들에게 시범을 보일 때 특히 인지적 영역의 문제인 경우 교사의 사고과정에 대한 외면화가 필요하다. 교사가 특정 톤의 목소리로 교과서를 읽고, 다른 톤의 목소리로 자신의 사고의 과정을 언어로 표현하는데, 이를 통해 학생은 교사의 문제해결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10) 객관주의
a. 분석 : 수업목표를 사전에 명세화하여 기술한다. 학습과제를 분석하는 것은 객관적 지식관에 근거한다. 학습과제의 구조를 상세히 분석하여 계열화 한다.
11) 구성주의
a. 설계 : 절충(negotiation)과 의미 만들기를 위한 학습환경을 설계한다. 실제적 문제를 상황맥락적으로 해결하는 것은 구성주의적 교수설계에 해당한다. 실제적 문제를 상황맥락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학습자 중심의 학습환경을 설계한다.
b. 계발 : 문제 해결에 초점을 맞추어 학습자의 능동적 지식 구성을 촉진하는 학습 환경을 개발한다. 코칭과 모델링은 인지적 도제의 방법으로 구성주의적 교수설계에 해당한다. 현실의 복잡함을 반영하는 실제 문제를 개발하고, 코칭과 모델링을 위주로 하는 학습환경을 개발한다.
4. 교수설계 이론
1) 교수설계의 개념과 요소를 설명하시오.
교수설계는 기대되는 학습성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최적의 수업과정(process of instruction)을 처방하는 데 관심이 있는 학문 분야다. 교수설계는 현실성, 창조성, 논리성을 기본원리로 삼는다. 레이겔루스(Reigeluth)는 교수설계 이론이 포함해야할 두 요소는 교수방법과 교수상황을 들었다. 교수 상황은 다시 요구되는 학습 성과 유형과 그러한 학습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교수조건의 두가지 요소로 나뉜다. 교수조건은 다루어진 학습내용 특성과 학습자 특성, 학습환경 특성, 제한조건으로 구성된다. 정보의 기억을 가르치는 방법과 관계의 이해를 가르치는 방법은 서로 다르게 처방되어야 한다. 그리고 학습자의 특성에 맞게 교수방법이 달라져야 하며, 이에 따라 환경과 집단 규모에 맞게 자료가 구비된다. 그리고 여러 제한 조건을 고려한다. 학습 성과는 학습목표와는 다르다. 학습 성과는 기대되는 구체적인 학습을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수업에서 원하거나 요구하는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 수준을 포함한다. 효과성은 교수활동이 얼마나 잘 진행되었으며 학습목표가 얼마나 잘 달성이 되었는가에 관한 것이다. 효율성은 교수 시간 및 교수 비용으로 나뉜 교수 효과의 수준을 말한다. 매력성은 학습자가 그 수업을 자신에게 얼마나 유의미한 것으로 인식하는 가 하는 정도를 말한다. 교수 방법은 조직전략과 전달전략 관리전략을 포함한다. 조직전략은 수업내용을 어떤 순서로, 어떻게 상호연결하여 제시할 것인가에 관한 전략으로서 미시적과 거시적 조직 전략으로 구분된다. 미시적 조직전략은 메릴(Merrill)의 이론에 따르면 일반성(generality), 사례(example), 피드백(feedback)이 있다. 거시적으로는 여러 개념 아이디어, 원리를 서로 연결하여 가르칠 때 사용한다. 전달전략은 조직된 학습내용ㅇ을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학생들의 학습 수행을 이끌어 가는 방법을 말한다. 관리전략은 수업의 진행과정에서 언제, 어떻게 조직 및 전달전략의 요소를 사용할 것이가에 관한 전략이다.
2) 정교화이론과 내용요소제시이론을 각각 설명하시오.
레이겔루스의 정교화(elaboration theory)이론은 교수 내용을 조직할 때 가장 단순하면서도 전체 과제에 대한 대표성이 높은 과제를 먼저 가르치고 그 이후에 세분화되고 구체적인 내용을 가르쳐 학습자들에게 의미적 정교화가 일어날 수 있도록 가르치라고 한다. 정교화이론에서 정교화 전략요소로는 정교화된 계열화(elaborative sequence), 전수학습능력의 계열화(learning prerequisite sequence), 요약자(summerarizer), 종합자(synthesizer), 비유(analogy), 인지전략 활성자(cognitive strategies activator), 학습자 통제(learner control)이 있다. 학습내용을 조직할 때 복잡하고 구체성으로 계열화한다. 그리고 어떤 학습을 할지 밝히며 망각하지 않도록 다시 검토하고 복습하게 한다. 그리고 이미 학습한 내용을 통합시킨다. 친숙한 요소를 관련 지으면서 다양한 단서, 다이어그램으로 암기하게 한다. 그리고 학생이 스스로 통제할 수 있도록 한다.
메릴(Mer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component display theory)은 사실, 개념, 절차, 원리와 같은 인지적 영역의 내용요소를 하나씩 교수하고자 할 때에 적용할 수 있는 미시적 교수설계 이론 중 하나다. 사실, 개념, 절차, 원리를 구성하는 내용수준과 기억, 활용, 발견으로 구성하는 수행수준을 이용하여 세분화 시켰다. 자료제시형은 교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교수방법을 포함하여 교수내용과 관련된 모든 요소들이 학습자에게 제시되는 형태를 말한다. 일차자료세시형이 교수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본적인 자료제시형이라면 이차자료제시형은 보다 풍부한 학습이 일어날 수 있는 부가적 자료제시형을 의미한다. 일차자료제시형(primary presentation form)은 설명식(expository), 탐구식(inqusitory)로 구성되고 일반성(generality), 사례(instance)로 구분되어 구성된다. 이는 사례*일반은 예(examples), 사례*탐구는 연습(practice), 일반*설명은 규칙(rules), 일반*탐구는 회상(recall)fh 분류된다. 이차자료제시형(secondary presentation form)은 학습의 효과성과 효율성을 높여 주며 일차자료제시형에 추가하여 제시되어 일차자료제시형을 정교화시켜준다. 구성에는 맥락(context), 선수학습(prerequisites), 기억술(mnemonic), gkrtmqekstj 정교화(focusing help), 표상법(representation), 피드백(feedback)으로 구성된다.
3) 교수설계의 일반적인 절차를 설명하시오.
교수설계의 일반적 절차는 분석, 설계, 개발, 평가로 구분된다. 분석은 요구, 과제, 학습자 특성, 학습환경으로 구성된다. 기대와 상태의 격차를 분석하고 달성하기 위한 지식, 기능 태도를 파악하고 학습자의 특성을 파악하며 학습 매체, 시설, 기자재, 공간을 파악한다. 설계단계는 행동목표 진술, 평가도구 설계, 교수전략 결정, 교수매체선정으로 구분된다. 학생이 학습을 마친후 학습 성과를 행동적 용어로 진술하고 행동 용어를 달성 여부 평가 위한 도구 개발하고 수업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운영 방법을 결정한다. 그리고 매체를 제시하고 학습 촉진을 유도한다. 개발단계는 교수자료 개발, 형성평가, 교수자료 수정으로 나뉜다. 수업에서 효과적, 효율적, 매력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수자료를 개발해야 한다. 분석, 설계, 개발 과정을 통해 교수 학습 자료의 효과성, 효율성, 매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한다. 그리고 형성평가를 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교수 자료를 수정한다. 평가 단계에는 총괄평가에 있다. 평가후 수정사항을 결정한다.
4) 딕과 케리의 체제적 교수설계 모형에 따라 교수설계를 하시오.
딕(Dick)과 캐리(Carey)의 교수설계 모형은 요구사정(needs assessment)으로 교수 목표 방향과 철학을 확인하고 교수분석 단계에서 선수학습능력을 진단하며 학위 학습과제를 분석한다. 학습자 분석단계에서는 교수전략에 영향을 줄 학습자 특성을 분석한다. 그리고 성취목표 진술 단계를 통해 수업이 종료된 후 학습자가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성과를 구체적으로 진술한다. 준거지향검사 개발 단계는 수업목표를 준거로 한 평가도구를 개발하는 단계다. 교수전략 개발단계는 지금까지의 단계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하여 최종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수업운영 방법을 결정하는 단계다. 교수 프로그램 개발단계에서는 실제로 가르칠 수업자료를 선택하거나 개발하는 단계다. 형성평가 설계 및 실시 단계에서는 시범 현장을 통해 작용 및 개선 방안을 찾아본다. 그리고 프로그램 수정단계에서 문제점을 검토한다. 마지막으로 총관평가 설계 및 실행 단계에서 수업을 실행하고 그 결과에 대해서 총괄평가를 실행한다.
5) 교수설계의 동향을 기술하시오.
6) 메릴(Merrill)의 내용요소제시이론(component display theory)
a. 일차제시형은 교수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최소한의 기본적인 자료제시형이다. 교사가 일반적인 내용을 설명하는 형태로 법칙(rule)이 그 예이며, 학생이 구체적인 사례를 실제로 수행하는 것으로 연습(practice)가 있다. 설명-사례 : 예시, 탐구식 질문-사례 : 회상
7) 수업지도 계획과 수업설계 전략
a. 레이겔루스(Reigeluth)의 이론에 근거하여 이번 달 단원 수업을 단순하고 기본적인 것으로부터 복잡하고 상세한 것으로 계열화 하였다. : 레이겔루스의 정교화 이론에 근거한 전략으로는 내용의 조직을 단순하고 대표성이 높은 과제인 정수(epitome)에서 점차 복잡하고 상세한 것으로 계열화는 전략을 말한다.
b. 켈러(Keller)의 이론에 근거하여 학생들에게 친근한 인물이나 사건을 활용하여 동기를 유발하였다. : 켈러의 ARCS 동기유발전략 중 관련성(relevance) 증진전략
c. 메릴(Merrill)의 이론에 근거하여 교과내용을 일반적인 내용과 구체적 사례로 분류하고, 이를 다시 설명방식과 질문방식으로 나누어 자료를 제시하였다. : 메릴의 내용요소제시이론 중 일차적자료제시형 : 메릴은 교수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기본적인 자료제시형을 설명식 일반화, 설명식 사례, 탐구식 일반화, 탐구식 사례로 구분.
8) 딕과 케리(Dick, Carey)의 체계적 교수설계 모형 : 요구사정 -> 교수분석, 학습자 및 상황분석 -> 수행목표진술 -> 목표를 평가할 수 있는 준거 지향적 평가문항을 개발. 이는 평가가 진술된 목표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 -> 교수 전략 개발 -> 교수 자료 개발 -> 형성평가 -> 수정 또는 총괄평가
9) 딕과 케리(Dick, Carey)의 체제적 교수설계
a. 학습과제 분석 : 최소공배수를 구하는 학습과제는 위계분석, 다항식의 덧셈을 하는 학습과제는 상위목표에서부터 하위목표로 분석
b. 태도의 영역은 일반적으로 혼합분석
c. 나라와 그 수도를 연결하여 암기하는 학습과제는 언어적 정보로 군집분석한다.
5. 교수설계의 실제 - ASSURE 모델 적용
1) ASSURE 모형의 절차를 순서대로 나열하고 의미를 서술하시오.
학습자 분석(analyze learners)은 일반적 특성 분석, 출발점 능력 분석, 학습 양식 분석으로 구성된다. 요소로는 일반적 특성, 출발점 능력, 학습양식, 생리적 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일반적 특성은 연락, 학년, 직업 지위, 문화, 사회경제적 요인같은 것을 포함한다. 출발점 능력 분석은 학습자가 이미 가지고 있는 지식과 기능 혹은 현재 가지고 있지 못한 지식과 기능을 포괄하는 분석이다. 학습양식(learning style)은 한 개인이 학습환경을 지각하고 상호작용하며, 정서적으로 반응하는 방식을 결정하는 심리적 특성 중 하나다. 지각적 선호와 강점, 정보처리 습관, 동기적 요소가 있다. 동기적 요소에는 주의집중(attention), 관련성(relevance), 자신감(confidence) 그리고 만족감(satisfaction)이 있다.
목표 진술(state objectives)은 가능하면 명세적이어야 한다. 방법과 매체의 적절한 선택을 하기 위해 학습목표를 알아야 하고 학습목표를 진술하면 적절한 평가를 쉽게 수행할 수 있어야 하며 학습목표를 진술하면 교수 학습이 하나의 목표를 지향하게 된다. 대상(audience)을 분명히 제시하고 행동(behavior)적 용어로 진술하며 수행이 관찰되어야할 조건(condition)을 포함하도록 하며 준거(degree)를 지적한다. 그리고 개별자에 맞춰 목표를 제시해야 한다.
교수 학습 방법 , 매체 및 자료의 선정은 방법 선택, 매체유형선택, 특정 자료 얻기 요소가 있다. 배우는 학생에 따라 방법을 다양하게 적용하게 되고 유형은 내용과 결합하여 결정된다. 이용가능하고 기존 자료를 수정하거나 새 자료를 설계하기도 한다.
매체와 자료의 활용은 자료에 대한 사전 검토(preview the materials), 자료 준비하기(prepare the materials), 환경 준비하기(prepare the environment), 학습자 준비시키기(prepare the learners), 학습경헙 제공하기(provide the learning experience) 요소가 있다.
학습자 참여 유도에는 피드백의 중요성, 연습의 중요성의 요소가 있다.
평가에는 학습자 성취평가, 자료매체 혹은 방법의 평가, 수정하기(revise)가 있다.
2) ASSURE 모형을 적용하여 한 차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시오.
3) ASSURE 모형의 다른 교수설계모형과 비교하여 가지는 차이점을 기술하시오.
4) ASSURE 모형
a. ASSURE 모형의 학습자 분석단계에서는 학습자의 일반적 특성, 출발점 능력, 학습양식, 생리적 요인 등 학습자에 초점을 맞추어 분석한다.
b. ASSURE 모형의 목표 진술은 교수 방법과 매체를 적절하게 선정하기 위하여 가능하면 명세적으로 진술하도록 한다.
c. 수업목표 달성을 위한 교수방법과 매체를 선택하고 그에 따라 구체적인 교수 및 학습자료를 선정한다.
d. 학습자에게 습득한 지식이나 기능을 연습할 기회와 피드백을 제공하여 적극적인 사고활동을 유도한다.
5) 하이니히(Heinich)가 제안한 ASSURE모형의 매체와 자료 활용단계
a. 선정이 아닌 활용 단계
b. 매체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에게 학습경험을 제공한다.
c. 수업자료의 내용을 미리 확인하여 그 자료를 충분히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d. 수업을 하려는 장소가 매체를 사용하기에 적절한지 점검하고 수업환경을 적절하게 준비한다.
(아래 배너는 구글 애드센스입니다.)
'Education > General' 카테고리의 다른 글
취업 준비 학생을 위한 영미 문학 교육 아서 밀러의 『어느 세일즈맨의 죽음』을 중심으로 (0) | 2015.08.23 |
---|---|
교육공학 학습모델 발제문 (0) | 2015.08.22 |
스마트 미디어가 '학습지도 단계별 주요 교수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과 사례 (0) | 2015.08.20 |
가상학교 만들기 - 소프트웨어 개발 관련 - 교무부 계획 (0) | 2015.01.04 |
학급 경영에 대한 이론적 기초 (0) | 2015.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