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Gift of the Magi - Macmillan Literature Collections

2016. 9. 3. 02:37Education/English

반응형

3인이 함께 다독하면서 생긴 읽기 습관 변화, The Gift of the Magi

Macmillan Literature Collections

 박형락

 

인지적 측면에서의 읽기 습관 변화

3인이 함께 다독을 하게 된 계기는 주변 사람들이 필자가 다독하기 위해 읽는 모습을 보고 다독에 관심을 가지면서 비롯되었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구성원 모두가 읽기 습관의 변화를 이번 다독 활동을 통해 느꼈다. AB는 문학에 전혀 관심이 없었으며 심지어 국문학도 학창시절 강제로 읽은 것 외에는 고등학교 졸업 이후 스스로 관심을 가져 책을 구입하여 학업 외에 취미삼아 독서를 한 적이 없다고 한다. A는 시험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영문학을 공부하고 있으며, B는 영문학 자체에 대해 회의적인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본문을 읽기 전에 다독 사전 활동을 필자가 주도하여 하게 되었다. 8번의 다독 활동을 바탕으로 O HenryThe Gift of the MagiMacmillan Literature Collections를 가지고 진행하게 되었다.

필자와 B는 작가와 줄거리를 읽고 바로 The Gift of the Magi의 내용을 모두 파악하게 되었다. 왜냐하면 한국에서 The Gift of the Magi크리스마스의 선물로 되어 있었기 때문에, 혹시나 라는 짐작만 했지 제목이 두 개 있는 줄 몰랐기 때문이다. 그러나 A는 전혀 생소한 내용으로 생각했으며, 필자와 B가 서로 전반적인 줄거리 내용을 설명해주었다. 자연스럽게 여러 명이 함께 배경지식 활동을 하다 보니, 비평적 문해 활동과 유사한 활동도 하게 되었다. 작품이 말하는 현대시대에 전해주는 메시지에 대해서도 의견을 나누기도 했는데, 활동의 순서는 틀렸을지 몰라도 읽기에 대한 기대감과 흥미를 심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었다.

 

2. 어휘적 측면에서의 읽기 습관 변화

어휘적인 측면에서 Readability 프로그램에 따르면 The Gift of the Magi를 원어민이 속독으로 읽으면 9분이 걸린다고 했다. 이와 비교하면 속독을 했을시 필자는 15분이 걸렸고, A20, B9분이 걸렸다. B의 경우 미국에 1년 살았고 학교 프로그램의 경쟁을 통해서 선발되어 어학연수를 다녀왔으며 박사 유학을 현재 고려하고 있다는 점에서, 영어 실력이 다른 이들보다 뛰어났다. 모든 구성원이 어휘를 많이 몰라서 읽기를 하는데 해매지 않았으며, 작품 특성상 형식적인 문어체보다 비형식적인 구어체가 많이 있어서 읽는 데는 지장이 없었다. 읽기 이후에 모르는 어휘에 대해서 이야기를 했었는데, 세부적인 어휘 문제보다는 제목의 magi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배경지식 활동으로부터 magi의 의미는 알고 있었다. 그런데 왜 magi를 텍스트에서 사용되었는지에 대해서 논의가 있었고 그 부분에 대해서 읽기 활동 반복을 통해 서로 추측하고 이에 대한 의미를 합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왜냐하면 읽기 도중에서 책에서 강조하고 있는 단어 magi에 신경 쓰일 수 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책의 의도적인 설계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다.

 

3. 정의적 측면에서의 읽기 습관 변화

혼자서 다독하는 것과 다르게 정의적 측면에서 읽기 습관 변화가 다른 사람과 함께 읽고 다독 활동을 함으로서 크게 변화가 있었음을 느낄 수 있었다. 9번 읽기 활동을 거치면서 혼자 할 때는 정의적인 측면은 단지 읽기에 대한 성취감을 기준으로 읽기 흥미, 동기가 긍정적인 측면에서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한계가 있었는데, 그 이유는 독자가 다독으로부터 공부를 한다고 생각하며 평가를 받아야 한다는 점에서다. 아무리 게임을 좋아한다고 해서 프로게이머로서의 직업을 가지게 되면, 결국 일이 되고 힘이 드는 것처럼 말이다. 이번 활동도 마찬가지였다. AB 역시 다독 활동을 하면서 영어 읽기 실력을 늘려 보자는 의도가 있었다. 그래서 읽기 활동을 시작하고 평가를 할 때까지 서로 선의의 경쟁을 하고 있었다. 읽는 속도, 이해력과 영어 논술 능력에서 서로의 능력을 비교 해 가며 각자 도와주고 평가해가는 것이다.

3인이 함께 다독 활동을 하면서 읽기 습관이 변한 점은 다음과 같다. 필자는 우선 누군과 함께 읽고 다독 활동을 한다는 것에서 내가 모르는 영어 능력, 문장 이해와 흥미를 찾을 수 있었다. 게다가 선의의 경쟁을 함으로서 읽기의 집중과 마음 안에서 긴장감을 조성할 수 있었다. A는 문학 읽기가 그동안 시험 중심으로 읽었지만, 다독 활동을 함으로서 영어 읽기의 흥미를 발견할 수 있었다고 한다. B는 여전히 다독 활동에서도 냉소적인 반응을 보였지만, 다독 활동이 다른 사람과 함께 함으로서 시간대비 영어 학습 효율에 긍정적인 측면을 발견했다고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