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언어습득론 2008. 세진무역. 용어 색인 (2/3)

2014. 9. 7. 22:39Literatur/English

반응형

          이 책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를 소개한다. 본 책 페이지 224에서 240 까지의 내용이며, 자세한 제2 언어습득 입문 내용은 제 2 언어 습득론. 2008. 세진무역.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 2 언어 습득록 도서 구입 방법 -> 인터넷 검색 :  9788995650721 -> 인터넷 도서 판매 사이트 링크 타고 구입.

 

반구(hemisphere) : 두뇌의 한쪽 절반. 좌측 반쪽은 좌반구. 우측 반구는 우반구 라고 부른다.

발달상의 오류(developmental errors) : 언어내적 오류(intralingual errors)로도 알려져 있으며 제 2 언어 규칙에 대한 불완전한 학습이나 과잉 일반화를 표시해주는 부정확한 발화.

발화구조(utterance structure) :  제 2언어 습득에 대한 정보 조직(information organization) 접근법의 초점으로서 학습자가 단어들을 함께 결합하는 방법을 강조한다.

베르니크 영역 (wernicke's area) : 청각 입력을 처리하는 두뇌의 좌측전두엽 영역.

변수 특징(variable features) : 한 언어의 서로 다른 화자에 의해 또는 서로 다른 시기의 똑같은 화자에 의해 똑같거나 아주 유사한 의미나 기능으로 체계적 또는 예측할 수 있게 사용되는 다중 언어 형태.

변수(variable) : 학습자 언어의 특징을 규정짓는 것으로서 학습자가 알고 있고 발화할 수 있는것에서 발달상의 변화 및 사회적 맥락에 기인하는 비일관성.

변이 이론(variation theory) : 제 2언어 습득에 적용되는 미시 사회적 틀로 학습자 발화의 체계적인 차이를 탐구하는데 사용 맥락에 의존한다.

변형 생상 문법(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 내적 초점을 맞춘 최초의 언어학 틀로 언어학 이론에 혁명을 가져왔으며 제 1언어 및 제2 언어 연구 모두에 심오한 영향을 끼쳤다. Chomsky는 언어 습득에 대한 행동주의 이론은 언어 능력의 창조적인 양상을 성명할 수 없기 때문에 잘못이라고 효과적으로 주장하였다. 그보다 인간은 언어에 대한 선천적인 능력(innate capacity)을 갖고 있음에 틀림없다.

보조 언어(auxiliary language) : 비론 제 1언어가 학습자의 삶에서 대부분의 다른 필요를 충족 시켜주기는 하지만 그들이 처한 직접적인 사회정치적 환경에서 몇 가지 공식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서 알아야할 필요가 있거나 보다 광범위한 의사소통 목적을 위해 필요하게 될 제 2언어.

보편 문법(universal grammar. UG) : Chomsky 에 의해 가장 또렷하게 발전된 언어학 틀. 제 1 언어 습득은 인간이 유전학적으로 부여받은 선전적인 능력 (innate capacity)에 의해서만 설명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지식에는 모든 언어가 공유하는 것을 포함되어 있다.

복합 이중언어 구사능력(compound bilingualism) : 두뇌에서 두 언어가 융합 또는 결합된 체계로 조직되어 있는 것.

부적 전이(negative transfer) : 제 1언어 구조나 규칙이 제 2언어 사용에 미치는 부적절한 영향 간섭(interference)이라고 부른다.

부정적 증거(negative evidence) : 부적절한 발화에 대한 명시적인 수정.

브로카 영역(Broca's area) : 두뇌의 전두엽 좌측에 있는 영역으로 말하는 능력을 총괄한다.

비계 설정(scaffolding) : 학습자가 특정 과업을 수행할 때 이를 돕기 위해 전문가가 제공하는 구두 안내 또는 개인별 수행에서 어느 누구든지 혼자 하기에는 너무 어려운 과업을 수행하기 위해 동료들이 구두로 기울이는 노력.

비유(metaphor) : 문자적인 언어 성분에 대해 유사하지만 비유적인 언어 성분으로 대체하는 표현. 예를 들면 사랑은 긴 과정 이라고 말하는 대신 사랑은 하나의 강이다 라고 표현.

비형식적 제 2언어 학습(informal L2 learning) : 자연스러운 맥락에서 일어나는 제 2언어 습득.

사적 언어(private speech) : 아이들의 대부분이 몰두하는 혼잣말. Vygotsky 는 이것이 내적 언어 (inner speech)로 발전하게 된다고 주장한다.

사회문학적 이론(scociocultural theory, SCT) : Vygotsk에 의해 확립된 접근법으로 상호작용이야말로 언어 학습을 용이하게 할 뿐 아니라 습득이 일어나게 하는 힘이라고 주장한다. 더욱이, 모든 학습은 필수적으로 사회화 과정으로 간주되며 그러한 과정은 사회문화적 환경에 뿌리는 두고 있다고 본다.

사회심리학(social psychology) : 정체성, 지위 및 가치관이 제 2언어 성과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그 이유가 무엇인지와 같은 쟁점을 탐구하는 연구나 이론에서의 사회적 접근법으로 심리적 및 사회적 관점 모두에 학문간 연계가 이루어진다.

사회적 전략(social strategies) : 제 2 언어를 학습하기 위한 수단으로 다른 사람드로가의 상호작용을 포함한다.

상징적 조정 (symbolic mediation) : 한 개인의 현재 정신 상태와 일차적으로 언어에 의해 제공되는 보다 높은 수준의 기능 사이의 연결. (언어 및 일반적인 의미의) 학습에 대한 보통의 루트로 간주된다.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이론 (sociocultura theory)의 일부.

상향식 처리과정(bottom-up processing) : 언어 체계 및 물리적 (그래프나 청각적인) 단서에 대한 사전 지식을 통해 언어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

상호작용 가설(Interaction Hypothesis) : 사회적 상호작용에서 일어나는 변형 (modification)이나 공동 노력이 제 2언어 습득을 용이하게 하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요소들로 인해 입력이 정신적인 처리과정으로 접근 할 수 있도록 기여하기 때문이라는 주장.

상호작용적 목적(interactional purpose) : 의사소통에 있어서 일차적으로 정의적인 개인간 목표.

선언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 : 서로 고립되어 있는 사실과 규칙. 이러한 지식의 처리는 대개 비교적 속도가 느리고 주의를 집중하여 통제하게 된다.

선천적인 능력(innate capacity) : 자연스러운 능력. 대개의 경우 언얼를 학습하거나 습득할 수 있는 아이의 자연스러운 능력을 가리킨다.

수용 활동(receptive activities) : 글을 일거나 들음으로써 다른 사람들의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 언어의 사용.

순차적 다중언어 구사능력 (sequential multilingualism) : 제1언어가 이미 확립된 이후 학습되는 한 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스키마(schemas) : 대상과 사건에 대해 예상되는 유형을 면밀히 짜놓은 정신 구조.

습득(acquisition) : 타고난 언어 습득 장치 (LAD) 가 관련된 무의식적인 제 2언어 습득과정을 일컫는 Krashen의 용어. 의식적인 학습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아이들의 제 1언어를 설명하는 과정과 비슷하다. 이 책에서는 습득과 학습이 동의어로 사용되고 있다.

신경언어학(neurolinguistics) : 두뇌에서 언어의 위치나 표상에 대한 연구로서 19세기 이후 생물학자와 심리학자들에게 관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체계적인 연구가 1960년대 시작됨으로써 제 2언어 습득에 관한 인지적 관점에 영향을 미친 최초 분야의 하나.

실비안 골 (Sylvian fissure) : 대뇌엽을 분리시키고 있는 틈.

실수(mistake) : 기억 상의 잘못과 같은 어떤 종류의 처리과정 실패로 인해 발생하는 부적절한 언어발화. Corder는 이것을 오류와 구별하여 오류 분석 절차에 포함시키지 않았다.

심리주의(mentalism) : 언어 학습의 외적 요인보다는 언어 학습자의 선천적인 능력을 강조하는 접근법.

아동 문법(child grammar) :서로 다른 성숙 수준에 따라 아이들이 갖고 있는 문법으로 발화와 이해라는 관점에서 체계적이다.

어휘 목록(lexicon) : 단어 및 그것의 의미와 관련된 언어 성분

어휘 사용역(registers) : 특정 상황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다양성

억양 (intonation) : 일련의 말에서 음색이나 음조의 높이 유형.

언어 공동체(language community) : 적어도 어느 정도는 공통의 언어 지식을 공유하는 일단의 사람들.

언어 내적 오류(intralingual errors) : 제 1언어의 간섭에 기인하지 않는 제 2언어 오류. 때로는 발달상의 오류(developmental errors)로 부르기도 하는데, 제 2언어 규칙에 대한 불완전한 학습이나 과잉 일반화를 나타내주는 것으로 해석된다. 언어 내적 오류(interlingual errors)와 비교하라.

언어능력(competence) : 언어에 대한 기저 지식.

언어 능력(linguistic competence) : 어떤 언어에 대해 화자 또는 청자가 갖고 있는 기저 지식. Chomsky는 이것을 언어 수행 (linguistic performance)과 구별하고 있다.

언어 상호간 오류(interlingual errors) : 제 1언어에서의 제 2언어로의 부적 전이(negative transfer)결과로 발생하는 오류. 언어 내적 오류와 비교하라.

언어 수행(linguistic performance) ": 실제 발화에서 언어 지식을 사용하는 것.

언어 습득 장치(language acquisition device, LAD) : Chomsky가 사용한 비유로 아이가 가진 언어 재능을 지칭한다. Krashen과 다른 학자들에 의해 성인들의 제 2언어 습득에도 확장되었다.

언어습득의 논리적 문제(logical problem of language acquisition) : 언어체계가 대단히 복잡한 데다 인지적 능력이 충분히 발달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아이가 제 1언어 발달의 최종 상태를 어떻게 그리 쉽게 그리고 성공적으로 성취하는 가 하는 문제.

언어 우위(language dominance) : 다중 언어 화자의 경우 자신의 사용할 줄 아는 언어중 하나가 다른 것에 대해 갖는 상대적 유창성.

언어 재능(language faculty) : 인간 마음의 성분을 가리키기 위해 Chomsky가 사용한 요어롤 아이의 선천적인 언어 지식을 설명해준다.

업무 목적(transactional purpose) : 과업 지향적인 의사소통에서의 개인 상호간 목적.

연결강도(connection strengths) : 학습자가 입력 단위 안의 어떤 유형에 되풀이하여 노출되거나 그러한 처리과정을 통해 어떤 규칙성을 추출하게 될 때 형성되고 강화되는 확률적 연상.

연상 기억 능력(associative memory capacity) : 언어 항목이 어떻게 저장되고 출력시 어떻게 상기되어 사용되는지에 관한 잠재 가능성 및 제약. 이들은 제 2언어의 요소들에서 적절한 선택을 결정하며 저장되고 궁극적으로는 화자의 유창성을 결정한다.

연어(collocation) : 관용어구나 비유를 포함하여 흔히 함께 사용되는 단어들의 조합.

연역적 처리(deductive processing) : 예측이나 규칙으로 시작하여 그것을 특정 입력 사례에 적용하여 해석하는 하향식 접근법.

연합주의(connectionism) : 학습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인지적 틀로 1980년대에 시작되어 계속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다. 제 2언어 습득은 자극과 반응 간의 연상 강도가 증가된 결과로 가정한다.

오류 분석(Error Analysis, EA) : 학습자의 창의적 언어 구성에 대해 내적 초점을 맞추는 제 2언어 습득 접근법. 이 접근법은 제 1언어 및 제 2언어의 원어민 화자로 간주되는 이상적인 언어 구조에 바탕을 두지 않고, 제 2언어에서 학습자의 실제적인 오류에 대한 설명과 분석에 바탕을 두고 있다.

오류(error) : 제 2언어에 대한 학습자 지식이 부족한 결과로 생기는 부적절한 발화. Corder 는 이것을 실수(mistake)와 구별하고 있다.

외국어(foreign language) : 학습자의 직접적인 사회적 맥락에서 널리 사용되지는 않지만 미래의 여행이나 다른 이문화간의 의사소통 상황에서 사용될 수도 있는 제 2언어. 또는 학교에서 직접적이거나 실제 적용될 필요 없이 교육과정상 필수과목 또는 선택과목으로서 공부될 수 있는 제 2언어.

외적 초점(external focus) : 서로 다른 발달 단계에서 학습자의 발화를 통해 구현되는 언어 기능을 포하하여 제 2언어 습득 연구에서 언어 사용을 강조하는 초점.

원리(principles) : 세계 모든 언어들이 갖고 있는 특성. Chomsky의 보편 문법(Universal Grammar)의 일부

원리와 매개변항 모형(Principles and Parameters model) : Chomsky의 변형 생성 문법 (Transformational Generative Grammar) 에 뒤이어 나왔으며 내적 초점을 맞추고 있는 언어학 틀 보편 문법(Universal Grammar)의 일부로서 인간 언어에 공통되는 일반적인 원리와 제약과 같은 보다 추상적인 개념을 포함시키기 위하여 선천적인 능력(innate capacity)을 구성하는 것의 세부 목록을 개정하였다.

유사 분포 처리과정(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 PDP) : 제2언어 습득에 대한 연합주의적 접근법으로 처리과정이 두뇌에서 좁은 통로로 연결된 중심점(nodes)의 네트워크상에서 일어나며 입력의 비도와 피드백의  특성이 대체로 언어 학습을 결정한다고 주장한다.

유연성(plasticity) : 새로운 기능을 떠맡을 수 있는 두뇌의 능력. 어린시절 초기에는 두뇌의 한 영역에 손상을 입었더라도 다른 영역이 유연성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손상을 입은 영역의 기능을 떠맡을 수 있다.

유-자형 발달(Ushaped development) : 제1언어와 제2언어 모두의 요소에 대한 일련의 습득 순서로 학습자가 처음에는 복수형에 대해 feet와 같은 올바른(분석되지 않은 단어로서 처음 학습했던)형태를 사용하고, 그 이후에는 바르지 못한. foots (그들이 영어의 ㅗㄱ수형 규칙 foot + s를 학습하였음을 나타내주는)를 사용하며,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복수 굴절 규칙에 대한 예외를 습득하기 시작하면 feet로 돌아간다.

유표성 분화 가설(Markedness Differentitation Hypothesis) : 제 1언어에서 무표적 특징이 제 2언어로 전이될 가능성이 더 높으며 제 2언어에서의 유표적 특징은 학습하기가 더 어려울 것이라는 Eckman 의 주장.

유표성 (markedness) : 특정 특징이 똑같은 범주 내의 대조되는 성분보다 더 빈번하게 일어나는지, 그러한 특징이 구조적 또는 개념적으로 덜 복잡한지, 똔ㄴ 어떤 국면에서 보다 정상적인지 또는 예상되는지 여부에 따라 언어를 분류하는 토대(그러한 관점에서 유표적인 것과 반대하여 무표적인 것으로 간주한다.)

음색(tone) : 음운론적 특징으로서 음조(pitch) 수준. 어떤 언어 (예를들면 중국어)에서는 음색 사이의 대조가 단어 식별이나 해석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음소 배열론 (phonotactics) : 특정 언어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의 가능한 연속

음소 부호화 능력 (phonemic coding ability) : 청각적 입력을 처리하고 그것을 저장하여 꺼내 쓸 수 있는 분절음으로 조직하는 능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