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 9. 7. 20:02ㆍLiteratur/English
이 책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를 소개한다. 본 책 페이지 224에서 240 까지의 내용이며, 자세한 제2 언어습득 입문 내용은 제 2 언어 습득론. 2008. 세진무역.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 2 언어 습득록 도서 구입 방법 -> 인터넷 검색 : 9788995650721 -> 인터넷 도서 판매 사이트 링크 타고 구입.
가산적 이중언어(additive bilinguqlism) : 지배적인 집단의 구성원들이 소수 집단의 언어를 학습하는 서회적 환경에서 일어나는 제 2 언어 습득결과. 학습자들은 자신의 제 1언어 능력이나 자신의 인종 정체성에 아무런 위협을 받지 않는다.
간섭(interference) : 제 1언어 구조나 규칙이 제 2언어 사용에 미치는 부적절한 영향. 부적 전이(negative transfer)라고도 부른다.
간접 교정(indirect correction) : 명료화 요구처럼 부적절한 언어 사용에 대한 암시적인 피드백으로 실제로 청자는 이를 하나의 발화로 이해한다.
감독자 가설(monitor hypothesis) : Krashen(1978)에 의해 도입된 제 2언어 습득에 대한 접근법으로 학습자의 창의적 언어 구성에 내적 초점을 맞추고 있다.
감독자(monitor) : 학습의 결과이며 기 발화된 것을 편집하거나 변화시키려는 목적으로 이용될 수 있는 제 2언어에 관한 의식적인 지식의 창고.
감산적 이중언어(subtractive bilingualism) : 소수 집단이 구성원들이 우세한 언어를 제 2언어로 습득 결과로 어느 정도의 인종 정체성 상실이나 제 1언어 기능의 약화를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개인간 능력(interpersonal competence) : 다른 화자와 면대면 접촉을 통해 일차적으로 제2언어를 사용하려고 계획하는 학습자에게 요구되는 지식.
개인간 상호작용(interpersonal interaction) :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적 사건이나 상황.
개인간 상호작용(interapersonal interaction) : 개인 자신의 마음 속에서 일어나는 의사소통으로 Vygotsky는 이를 사회문화적 현상으로 간주한다.
거시 사회적 초점(macrosocial focus) : 사회적 관점 안에서 폭넓은 문화적, 정치적 및 교육적 환경이 제 2 언어 습득과 사용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강조.
격 표지(case maker) : 행위자 또는 대상과 같이 문장에서 한 단어가 가진 기능을 나타내는 문법적 표지.
결정적 시기 가설(critical period hypothesis) : 아이들이 결함 없이 자신의 제 1언어를 습득 할 수 있는 기간이 제한되어 있다는 주장. 만일 언어 영역에 두뇌 손상을 입게 되면 어린 시절의 두뇌 유연성 덕분에 두뇌의 다른 영역이 손상된 영역의 언어 기능을 떠맡게 될 것이다. 그러나 어떤 나이가 지나면 정산적인 언어 발달이 가능하지 않을 것이다.
결정적 시기(critical period) : 정상적인 제 1언어 습득이 가능한 기간으로 연수가 제한되어 있다.
경쟁 모형(competetion model) : 제2언어 습득에 대한 기능적 접근법으로 모든 언어 수행에는 외적인 형태와 내적인 기능 사이의 사상(mapping)을 포함되어 있다고 가정한다.
관용구(idiom) : 두 단어 이상으로 이우어 졌지만 단일 어휘 단위로 취급되는 고정된 표현.
구두 양식(oral mode) : 성도(vocal tract)에 의해 만들어지는 소리를 포함하는 의사소통 통로 : 듣기와 말하기를 포함한다.
구성주의(constructionism) : 제2언어 습득에 대한 접근법으로서, 중간언어 발달을 어휘 지식의 일부인 형태론적 특징(단어 형성을 명확히 해준다)과 함께 제2언어 어휘에 대한 점진적인 숙달로 간주하는 Chomsky의 최소주의 프로그램의 틀 안에서 형성되었다.
구조적 기능(structural function) : 주어나 목적어, 또는 행위자나 목표와 같이 하나의 문장에서 언어 구조의 요소들이 가진 역할.
굴절 형태소(inflectional morphology) : 시제, 상 및 수와 같은 의미를 나타내는 단어의 일부분.
굴절(inflection) : 어떤 단어에 첨가되어 문법적 의미를 첨가하거나 변화시키는 언어학적 요소 (시제, 상, 수)
궁극적인 성취(ultimate achievement) : 제 2 언어 연구의 마지막 결과
귀납적 언어 학습 능력(inductive language learning ability) : 해석과 발화에 대해 어떤 패턴을 발견하기 위해 입력을 검토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그것을 설명해주는 일반화나 규칙을 형성하는 상향식 접근법. 그렇게 된 이후에는 연역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규칙 지배적인 행동(rule-governed behavior) : 심리주의(mentalism) 관점에서 바라본 언어 사용의 특징. 이러한 능력의 토대는 비교적 제한된 수의 기저 규칙성이나 규칙에 대한 암묵적인 지식이라고 주장한다.
근접 발달 영역(zone of proximal development) : 잠재 가능한 영역으로 학습자가 도움을 받게 되면 그러한 잠재 가능성을 성취할 수 있다. Vygotsky의 사회문학적 이론(Sociocultural Theory)의 일부.
긍정적 증거(positive evidence) : 다른 화자의 실제 발화 중에서 학습자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이해할 수 있는 부분.
기능 유형론(functional typology) : 언어 및 그 특징들을 분류함에 있어서 범주(또는 유형 그래서 유형론이다.) 와 관련지으려는 기능적 접근법으로 주요 목표는 언어들 간 유사점과 차이점의 유형을 묘사하고 어떤 유형이나 패턴이 빈도가 높은지 또는 분포 면에서 보다 보편적인지 결정하려고 한다.
기능(function) : 언어학에 있어서 여러가지 의미를 가진 용어. 구조적 기능(structural function) 및 화용적 기능 (pragmatic function)을 참고하라.
기능어(function words) : 일차적으로 문법적 정보를 나타내는 어휘들. 이러한 단어들은 모든 언어에서 핵심 어휘의 일부를 차지하고 있다.
기능적 언어 모형 (functional models of linguistics) : 기능주의에 바탕을 둔 접근법
기능주의(functionalism) : 외적 초점을 가진 언어학 틀로 20세기 초로 거슬러 올라가며 동유럽의 프라하 학파에 뿌리를 두고 있다. 발화의 정보 내용을 강조하며 언어를 의사소통 체계로 간주한다. 기능주의 접근법은 대체로 유럽에서 제 2언어 습득 연구를 지배해왔으며 세계의 다른 곳에서도 널리 추종되고 있다.
기본적인 다양성(basic variety) : 제 2언어 학습자가 부정형 동사로 이루어진 중간언어 문법을 구성하는 발달상의 한 단계. 이 기간에는 전치사와 같은 문법 관계 표지의 사용이 증가하게 된다. 이 단계는 발화를 조직하기 위해 대체로 명사구와 형용사가 사용되며 동사는 별로 사용하지 않는 이전 단계와 대비된다. 어떤 백락에서는 많은 학습자들이 이 단계에서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적절히 말할 수 있게 되며 이 단걔를 넘어서게 되면 모든 학습자가 계속 발달하지는 않는다.
내용(content) : 읽거나 듣는 화제에 대한 배경 정보에 대한 지식.
내적 언어(inner speech) : 자신의 사고와 행동을 통제하기 위해 많은 성인들이 사용하는 조음화되지 않은 혼잣말에 대한 Vygotsky 의 용어.
내적 초점(internal focus) : 일차적으로 Noam Chomsky와 그의 추종자들의 저작을 바탕을 두고 있는 제 2언어 습득 연구의 초점. 이들 연구는 구조주의 초기에 그랬던 것처럼 표면 형태에 대한 설명보다는 화자에게 내재화되어 있는 기저 언어 지식을 설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다중언어 구사능력(multilingual competence) : 둘 또는 그 이상의 문법을 가진 복합적인 마음 상태
다차원 모형(Multidimensional Model) : 학습자가 어떤 문법 구조를 발달상의 순서에 따라 습득하며 그러한 순서는 학습자가 처리과정 제한을 어떻게 극복하고 있는지를 반영한다고 주장하는 제 2 언어 습득에 대한 접근법. 더욱이 이 접근법에서는 발달상의 특징을 목표로 하는 언어 지도는 학습자가 이전 단계의 습득과 연관된 처리과정상의 조작 방법을 이미 숙달하였을 경우에만 성공 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단서 강도(cue strength) : 형태-기능 사상(form-function mapping)의 일부로서 학습자가 언어 입력에서 특정 기능과 연상되는 던서를 탐지하고 각각의 가능한 단서에 어느 정도의 강도를 할당해야 하는지 깨닫는다.
단서(cues) : 특정 의미적 또는 문법적 기능이 연상되는 언어적 신호.
단순형 표현(foreigner talk) : 제 1언어 화자가 제 2 언어 화자에게 사용하는 언어로 원어민 화자나 아주 유창한 화자에게 사용하는 언어와는 체계 면에서 다르다.
단일언어 구사능력(monolingualism) : 오직 한 가지 언어만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단일언어 능력(monolingual competence) : 오직 한 가지 언어에관한 지식.
담화(discourse) : 단일 문장보다 큰 언어 단위로서 문장을 연결하는 방법. 문장 영역을 넘어서 정보를 조직하는 방법. 그리고 일반적으로 이야기, 대화 및 상호작용을 구조화하는 방법들이 포함된다.
대등형 이중언어(coordinate bilingualism) : 두뇌에서 두 언어를 평행한 언어 체계로 조직하는 것으로 제 1언어와 제 2언어는 상호 독립되어 있다.
대조 분석(contrastive anlysis) : 제 2언어 습득에 대한 언어학적 접근법으로 언어학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결정하기 위해 제 1언어 와 제 2 언어에 대한 비교를 바탕으로 학습자의 문제점을 예측하고 설명하는 것이 포함된다.
도구적 동기(instrumental motivation) : 직업을 얻을 수 있는 기회의 증가. 명성이나 권력 높이기, 과학 기술정보에 접근하기, 학교의 강좌 패스하기와 같이 제 2언어를 학습하는 실제적인 가치에 대한 인지.
동기 (motivation) : 학습하고자 하는 필요나 욕망.
동시적 다중언어 구사능력(simultaneous multilingualism) : 어린 시절 초기에 습득되는 한개 이상의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동일성 가설 (identity hypothesis, L2=L1) : 제 2언어와 제 1 언어의 습득에 관련된 처리과정은 동일하다는 주장.
되고쳐주기 (recast) : 학습자가 말한 것을 보연 설명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언어 사용의 한 요소를 수정하고 있는 간점 수정(indirect correction).
맞장구 표현(back-channel signals) : 이해했거나 또는 이해하지 못했음을 나타내는 청자의 언어적 및 비언어적 신호.
매개변항(parameters) : 보편적 원리 (principles)를 구현함에 있어 세계의 언어들간 문법적 변이를 설명해주는 제한된 선택사항들. Chomsky 의 보편 문법 (Universal Grammar) 이론의 일부
맥락(context) : 저자나 화자의 의도가 무엇인지에 대한 이해, 그리고 사용되고 있는 담화 유형의 총괄적인 구조 뿐 아니라 특정 본문이나 상황에서 이미 읽었거나 들은 것을 바탕으로 하는 지식.
명사화(nominalization) : 전체 문장을 명사 구 위치로 가져가기 위해 단신 기사로 전환하는 과정.
목표어(target language) : 학습의 목표나 목적이 되는 언어.
문맥화 단서(contextualization cues) : 전달하려는 메시지의 표면 구조가 제공하는 지시적(referential)의미를 넘어서서 사람들이 의미를 표현하고 해석할 수 있게 해주는 의사소통 요소.
문법화(grammaticalization) : 문법 기능 (예를들면 과거 시간의 표현과 같은)을 전달함에 있어 처음에는 공유된 언어 외적 지식과 담화 맥락을 바탕으로 추론하는 방법을 사용하다가 어휘 (예를들면 yesterday와 같은)를 사용하여, 그리고 나중에는 문법 표지 (예를들면 접미사 ed와 같은)를 사용하여 전달하게 되는 발달상의 한 과정.
문자 양식(written mode) : 글자에 의한 상징을 포함하는 의사소통 통로. 일기과 쓰기를 포함한다.
문화변용 모형(acculturation) : 제 2언어 공동체의 문화를 배우고 그 사회의 가치관과 행동 양식에 맞추는 것.
문화(culture) : 여러 측면에서 내용(content)과 맥락(context) 정보를 포괄할 뿐 아니라 의사 소통 행위가 일어나는 보다 폭넓은 사회적 환경에 대한 이해도 포함하는 지식.
문화간 의사소통(inteercultural communication) : 서로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 과정.
미시 사회적 초점 (microsocial focus) : 상호작용에 있어 구체적인 사회적 맥락을 포함하여 언어 사용에 있어 서로 다른 환경 조건이 제 2 언어 습득에 미치는 잠재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사회적 관점 안에서의 강조.
'Literatur > English'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언어습득론 2008. 세진무역. 용어 색인 (3/3) (0) | 2014.09.08 |
---|---|
제2언어습득론 2008. 세진무역. 용어 색인 (2/3) (0) | 2014.09.07 |
"노간주나무"의 동화이론을 통해 본 "스크라이커"의 정치학 (0) | 2012.12.12 |
(석사학위논문 예비발표) 인간과 기계간의 재정립 : 제로와 기계를 뒤에서 억압하는 체제로부터 구원하는 햄릿 (0) | 2012.12.10 |
자본의 힘을 들춰내는 프리드리히 뒤렌마트의 『방문』과 소피 트레드웰의 『기계적인 것』 (0) | 2012.08.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