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언어습득론 2008. 세진무역. 용어 색인 (3/3)

2014. 9. 8. 00:51Literatur/English

반응형

          이 책에서 사용하는 주요 용어를 소개한다. 본 책 페이지 224에서 240 까지의 내용이며, 자세한 제2 언어습득 입문 내용은 제 2 언어 습득론. 2008. 세진무역. 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 2 언어 습득록 도서 구입 방법 -> 인터넷 검색 :  9788995650721 -> 인터넷 도서 판매 사이트 링크 타고 구입.

 

음소(phonemes) : 유사한 맥락에서 대조를 이루며 의미 차이를 가져오는 언어 음.

음운론(phonology) : 서로다른 언어들의 소리 체계와 그러한 체계에 대한 일반적인 연구.

응집성(cohesion) : 텍스트에 담긴 여러 요소들 사이의 연결을 나타내주는 언어적 표시. 이것은 사고, 논리 및 구조의 통일성과 일관성을 제공해준다.

의미 교섭(negotiation of meaning) : 이해 점검이나 명료화 요구와 같이 원어민과 비원어민 화자 사이의 의사소통 장애를 예방하거나 복구하는데 도움을 주는 상호작용상의 공동 노력.

의미론(semantics) : 의미에 대한 언어학적 연구

의사소통 능력(communicative competence) : 사회언어학의 기본적인 용어로 특정 언어 공동체 안에서 적절히 의사소통하기 위해 화자가 알 필요가 있는 것으로 정의된다.

의사소통 맥락 (communicative contexts) : 언어의 가변적인 특징이 발생할 수 있는 서로 다른 맥락으로 언어적, 심리적, 미시 사회적 및 거시 사회적 맥락들이 있다.

의사소통 서지학(ethnography of communication) : 언어 및 언어 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틀로 Hymes에 의해 확립되었다. 언어 사용을 보다 넓은 사회적, 문화적 맥락과 관련지으려하고 자료 수집과 해석에 있어 서지학적 방법을 언어 습득과 사용에 대한 연구에 적응하려고 한다.

의사소통 전략(communicative strategies) : 잘못 이해한 것을 복구하거나 개인간 상호작용을 유지하는 것과 같이 제 2언어 자료원이 가진 결함을 보충하기 위한 학습자의 기술.

이중언어 구사능력(bilingualism) : 두 가지 언어를 사용할 수 있는 능력.

인본주의 접근법(humanistic approaches) : 학습을 심리적 관점에서 설명하려는 노력으로 1970년대 제 2언어 습득 교수와 연구에 영향을 미치기 시작하였다. 이 접근법에서는 나이, 성별 및 처리 유형과 관련된 생물학적 차이 뿐 아니라 학습에 있어 감정의 개입을 고려한다.

인접 쌍(adjacency pairs) : 필요한 수선(예를 들면, 질문과 대답, 또는 칭찬과 감사 등)에 따라 특정 화행들이 함께 결합되어 이루게 되는 대화 구조 한 부분.

인지 유형(cognitive style) : 개인이 선호하는 처리 방식 : 예를들면 지각하기, 개념화하기, 조직하기 및 정보 회상하기.

인지 전략(cognitive strategies) : 언어 자료를 직접 분석하거나 종합함으로써 제 2언어를 학습하는 수단.

입력(input) : 학습자에게 노출되는 모든 유형의 제 2언어 표본.

자극 빈약론(pverty of the stimulus) : 아동에 대한 언어 입력은 빈약함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제 1언어를 습득하기 때문에 제 1언어 습득을 위한 선천적인 능력 (innate capacity)이 있음에 틀림없다는 주장.

자극 반응 이론(stimulus response theory) : 20세기 중반에 널리 공유된 견해로 아이들은 모방에 의해 언어를 학습한다고 본다. 자극 반응 강화에 존재하는 두 가지 요인들을 가리킨다.

자극 반응 강화(stimulus response reinfocement, S-R-R) : 학습 과정을 행동 주의 (behaviorism)에 따라 설명하는 요인들의 순서. 환경으로부터의 자극(예를들면 언어입력). 그러한 자극에 대한 반응. 그리고 강화(바람직할 경우 정적. 그렇지 못할 경우 부적.)

자동처리(automatic processing) : 통제처리(controlled processing)의 초기 단계 이후의 자동처리는 학습자 입장에서 정신적 공간을 덜 차지하고 주의 집중 노력을 덜 하게되는 학습 단계이다.

자동화(automatization) : 적절한 입력이 인지될 때마다 기억 속의 어떤 요소들이 활성화되고 복구되는 것.

자연적 순서(natural order) : 언어 학습자의 문법 발달에 있어 보편적인 순서.

자유 변이 (free variation) : 언어 학습자의 문법 발달에 있어 보편적인 순서.

자유 변이(free variation) : 언어적, 심리적 또는 사회적 맥락으로는 설명되지 않는 중간언어의 변이.

장 독립적(field independent, FI) : 새로운 정보를 처리함에 있어 구체적 및 분석적 양식으로 특징지어지는 학습 유형.

장 의존적 (field dependent, FD) : 새로운 정보를 처리함에 있어 전체적 및 총체적 양식으로 특징지어지는 학습 유형

장르(genres) : 담화에 있어 관습화된 범주와 유형

재구조화(restructuring) :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의 중앙 처리(central processing) 단계에서 일어난는 지식의 재조직.

적성(aptitude) : 언어 학습에서의 성공과 상관관계가 있는 개인의 특성들.

적응 이론(Accommodation Thelry) : 이야기하는 대상이 누가 되었든 그들이 하는 말과 비슷하게 되도록 하기 위해 화자는 대개 자신의 발음이나 심지어는 자신이 사용하는 문장의 문법적 복잡성까지도 무의식적으로 변화시킨다는 개념에 바탕을 두고 있는 제 2언어 습득 연구를 위한 틀.

전이(transfer) : 언어 학습에서 언어학적 영향. 대개의 경우 제 1언어가 제 2 언어에 미치는 영향.

절차적 지식(procedural knowledge) : 선억적 지식(declarative knowledge)과 비교하여 보다 긴 연상 단위를 처리하고 자동화를 증가시키는데 요구되는 지식. 이것은 주의를 집중 할 수 있는 자원을 해방시켜 높은 수준의 기술을 발휘 할 수 있게 해준다. 절차화는 연습을 필요로 한다.

정보 조직(information organization) : 정보를 화자/저자로부터 청자/독자에게 전달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문장이나 보다 큰 언어 단위가 구조화되는 방식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 IP) : 제2언어 습득은 (다른 복잡한 영역의 학습과 같이) 통제처리로부터 자동처리로 진행되며 지식의 점진적인 재조직을 포함한다고 가정하는 인지적 특.

정서법(orthography) : 글을 쓰기 위한 상징 체계.

정의적 여과기(affective filter) : 입력에 대한 처리를 허용하거나 제한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Krashen 의 개념 정의적 여과기가 학습이 의식적인 차원에서 일어나거나 또는 개인이 자기 억제적 성향을 갖고 있기 때문에 높으면 입력은 처리되지 않는다.

정의적 전략 (affective strategies) : 개인의 감정과 연관된 제 2언어 학습 수단.

제 1언어/모국어(first language/native language/mother tongue, L1) : 대개의 경우 아이 가족의 주요한 언어이기 때문에 어린 시절에 일찍부터 자연스럽게 습득되는 언어. 다중언어 환경에서 성장하는 아이는 하나 이상의 제 1언어를 갖게 될 수 있다.

제 2언어 습득(Second Language Acquisition, SLA) : 어린 아이로서 첫 번째 언어를 학습한데 이어 또 다른 언어를 학습하는 개별 및 집단의 연구 모두 또는 그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을 가리키는 용어.

제 2언어 학습(Second language learning) : 하나의 언어를 말하는 원어민 구성원이 포함된 언어 공동체 ㅇ란에서 추가 언어를 습득하는 과정. 또한 이 용어는 보다 일반적으로 제 2언어를 습득하는 과정에 적용된다.

제 2언더(second language, L2) : 일반적인 의미에서 이 용어는 어떤 언어든지 제 1언어(first language)가 확립된 이후 습득되는 것을 가리킨다. 보다 구체적인 으미로 이 용어는 어떤 맥락안에서 학습되는 추가 언어를 가리키는데 이 언어는 사회적으로 우세한 지위를 갖고 있고 교육, 고용 및 다른 기본적인 목적에 따라 필요성을 느낀다. 보다 구체적인 의미는 외국어(foreign language), 참고도서용 언어(library language), 보조 언어(auxiliary language) 및 특수 목적 언어(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와 대비된다.

종속형 이중언어(subordinate bilingualism) :  두 언어가 두뇌에서 조직될 때 하나의 언어 체계가 다른 언어 체계를 통해 접근되는 것. 혼합형(compound), 이중언어와 대등형(coordinate), 이중언어와 비교하라.

주부 술부 구조(subject predicate structure) :: 문장 수준에서 주어와 술어가 되는 주요 성분과 함께 하는 문법적 조직. 이러한 조직에는 문장 요소들 사이에 요구되는 일치 때문에 상당한 양의 문법적 표지(또는 굴절)가 관련되어 있다. 화제 설명 구조(topic comment structure)와 비교하라.

중간언어(interlanguagge, IL) : 목표어인 제 2언어를 향해 나아가는 학습자 언어의 중간 상태 또는 중간 문법. 학습자 다양성(learner varieties)을 참조하라.

중앙처리(central processing) :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틀의 핵심으로 학습을 학습자가 통제처리에서 자동처리로 옮겨서 자신의 지식을 재조직하는 것으로 본다.

지도(instruction) : 명시적인 가르침. 종종 학교 환경에서 이루어진다.

지도된 제 2언어 학습(instructed L2 learning) : 형식적 제 2언어 학습과 동의어

지배 결속 모형(Government and binding model) : Chomsky의 원리와 매개변항(principles and parameters)틀 을 일컫는 이전의 이름.

직접교정(direct correction) : 잘못된 언어 사용에 대해 명시적으로 설명하는 것.

참고도서용 언어(library language) : 심화 학습을 위한 도구로서 기능하는 제 2언어로 특히 원하는 학문 분야의 책이나 정기 간행물이 일반적으로 학습자의 제 1언어로 간행되지 않을경우에 해당된다.

창의적 구성(creative construction) : 정신 속에 형성된 문법이 무의식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으로 화자가 전에 들어본 적이 없는 발화를 해석하거나 발화할 수 있게 해준다.

처리능력 이론(Processability theory) : 다차원 모형(Multidimesional model)의 방향을 재설정한 것으로 학습에 대한 개념을 확장하여 제 2언어 교수에까지 적용하고 있다. 언어 학습과 관련하여 처리 기능이 발달하는 순서를 결정하고 설명하려는데 목표를 두고 있다.

초기 상태(initial state) : 언어 습득의 출발 지점: 제 1언어 또는 제 2언어 습득을 시작 할때 학습자의 머리 속에 있는 언어 구조 및 원리에 대한 기저 지식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 된다.

초인지적 전략(metacognitive strategies) : 제 2언어를 학습하기 위한 전략으로 의식적인 계획과 감독을 통해 언어 학습을 조정하려고 한다.

최소주의 프로그램(minimalist program) : 내적 초점 차원의 언어적 틀로 Chomsky의 원리와 매개변항(Principles and Parameters) 모형에 뒤이어 주창되었다. 이 틀은 어휘지식의 일부로서 특정 세목의 습득에 보다 강조점을 두고 있을 뿐 아니라 어휘 범주와 기능 범주간 발달 차이를 첨가하고 있다.

최종상태(final state) : 제 1언어 및 제 2언어 학습의 성과. 안정된 성인 문법 상태로도 알려져 있다.

출력(output) : 제 2언어 습득에서 학습자가 말/신호 또는 글자로 표현하는 언어.

측면화(lateralization) : 두뇌의 양쪽 반구가 서로 다르게 전문화되는 것. 예를 들면, 좌반구는 언어 발달을 위한 결정적 시기 동안 대부분의 언어활동에 전문적으로 담당한다고 많은 사람들이 믿고 있다.

코퍼스 언어(corpus linguistic analysis) : 서로 다른 어휘 항목과 문법 패턴의 상대적 빈도를 결정하기 위한 문자 및 구어 텍스트의 대규모 수집 자료에 대한 분석. 특정 목적에 따라 가르칠 필요가 있는 것을 결정하기 위한 토대로 종종 사용된다.

탈락형(reduced form) : 전형적으로 중간언어의 특징을 나타내는 복잡성이 다소 덜한 문법 구조(예를들면 과거 시제 표지의 생략과 같은)

통사론(syntax) : 어순이나 일치와 같이 문장 내 단어들 사이의 문법적 관계를 나타내는 언어학적 체계

통사적 양식(syntactic mode) : 형식적인 문법 요소들에 의존하여 의미를 표현하는 유형

통제처리(controlled processing) : 학습자의 주의 집중을 요구하는 학습 처리과정의 초기 단계

통합적 동기(integrative motivation) : 제 2언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에 관해서 배우고 싶거나 동일시하려는 욕망때문에 또는 제 2언어를 사용하는 언어 공동체에 참여하거나 통합하려는 의도 때문에 제 2언어를 학습하는데 관심을 보이는 것. 정의적 요인이 두드러진다.

특수 목적 언어(language for specific purposes) : 호텔 경영을 위한 프랑스어 또는 학문 목적을 위한 영어 (EAP) 와 같이 제한적이거나 고도로 전문화된 제 2언어.

파생 형태소(derivational morphology) : 새로운 의미를 가진 단어를 만들어 내기 위해 단어에 첨가되는 접두사나 접미다.

표제어 (lemmas) : 처리능력 이론(processibili Theory) 내에서 표제어란 아무런 문법적 정보를 나타내지도 않아도 또는 순서 규칙과 연관되지 않더라도 처리되는 단어들이다.

표현활동(productive activities) : 글로 쓰거나 말을 함으로써 다른 사람들에게 의미를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제 2언어 사용.

피드백(feedback) : 자신의 언어 발화와 해석이 적절한지에 대해 학습자에게 제고오디는 정보. 이것은 직접 수정의 형태일 수도 있고 혹은 보다 간접적인 형태가 될 수도 있다.

하향식 처리과정(top down processing) : 내용, 맥락 및 문화에 대한 사전 지식을 통해 언어의 의미를 해석하고 표현하는 일을 성취하는 것.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학습자는 전에 마주친 적이 없는 단어들의 의미를 추측할 수 있고 문자나 말로 된 텍스트의 보다 큰 뭉칫말로부터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학문능력(academic competence) : 무엇보다 먼저 다른 과목에 대해 배우기 위해 또는 학문 연구를 위한 도구로서 또는 특정 전문 분야나 작업 분야에서 매개 수단으로서 제 2언어를 사용하고 싶은 학습자에게 필요한 지식.

학습 유형(learning style) : 인성적 특성이나 인지 유형의 조합을 포함하는 제 2언어 학습자의 특성.

학습전략(learning strategies) : 제 2언어를 학습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개인이 채택하는 행동이나 기법.

학습(learning) : 의식적인 제 2언어 습득을 가리키는 Krashen의 용어. 무의식적인 습득(acquisition)과 비교하라.

학습의 최초 속도(initial rate of learning) : 제 2언어 학습과정의 초기에 새로운 제 2언어 자료가 학습되는 속도. 여기에서는 일반적인 믿음과는 반대로 제 2언어 습득에 있어서 나이 많은 학습자가 어린 학습자보다 더 우위를 보인다.

학습자 다양성(learner varieties) : 중간언어(interlanguage)을 가리키기 위해 Klein과 Perdue가 사용한 용어.

행동주의 (Behaviorism) : 1950년대에 언어 학습에 적용되었던 가장 영향력 있는 인지적 틀. 학습은 습관 형성의 결과라고 주장한다.

형식적 제 2언어 학습(formal L2 learning) : 교실에서 일어나는 지도된 학습.

형태 기능 간 사상(form function mapping) : 외적 형태와 내적 기능을 상호 관련되게 하는 과정으로 제 2언어 습득에 기본이 된다.

형태론 (morpheme) : 서로 다른 언어에서 단어의 성분 및 일반적으로 그러한 체계에 관한 연구

형태소 순서 연구(morpheme order studies) : Dulay 와 Burt에 의해 도입된 제 2언어 습득 접근법으로 영어의 특정 문법 형태소가 습득되는 순서에 초점을 맞춘다. 자연적 순서(natural order) 가 있다고 주장한다.

형태소(morpheme) : 어휘적 또는 문법적 의미를 나타내는 최소한의 언어 단위. 흔히 단어의 일부가 된다.

화석화(fossilization) : 지속적인 제 2언어 입력과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목표기준에 도달하기 이전에 학습자가 중간언어 발달을 중단한 제 2언어 습득의 안정된 상태.

화용양식(pragmatic mode) : 주로 맥락에 의존하여 의미를 표현하는 유형

화용적 기능 (pragmatic function) : 정보 전달하기, 다른 사람의 행동을 통제하기, 또는 감정 표현하기와 같이 언어 사용을 통해 성취할 수 있는 것.

화용적 능력(pragmatic competence) : 의사소통 상황 안에서 의미를 해석하고 전달하기 위해 사람들이 갖고 있어야 하는 지식.

화제 설명 구조(topic comment structure) : 문장 수준에서 화제 및 설명이 되는 주요 성분과 함께 하는 문법적 조직. 이러한 유형에서는 화제가 진술된 다음 그것에 관한 정보가 주어진다. 화제 설명 구조는 주부 술부 구조(subject predicate structure)처럼 일치를 나타내는 표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화행(speech acts) : 요청하기, 사과하기, 약속하기, 부인하기, 감정 표현하기, 불평하기 등과 같이 화자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 사용되는 발화.

활성화 유형(patterns of activation) : 언어 학습이 일어 날때 두뇌의 중심점(nodes)들 사이에 발달되는 확률적 연상. 유사 분포 처리과정 이론의 일부.

흡입(intake) : 주의가 집중되는 입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