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언어 습득. 도서출판 박이정. 용어해설

2014. 9. 9. 00:36Literatur/English

반응형

          이 글은 도서출판 박이정에서 출판한 제 2언어 습득에서의 용어해설에 나오는 197-205 내용이다.

 

          자세한 이 책의 내용은 꼭 구입해서 읽어 봤으면 함. 추천할만한 SLA 입문서. 인터넷 검색 사이트 ->  8978784593 검색 -> 인터넷 도서 구입 사이트 링크 접속 후 구입.

 

accessibility hierarchy (접근 계층) : 유표성 정도에 따른 관계 대명사 기능 (예를들어 주어, 직접 목적어)의 함축적인 순서.

accommodation theory (조정 이론) : 이 이론에 의하면, 사회적 요인들이 화자들이 어느 정도로 그들의 발화를 상대자의 발화와 비슷하게 혹은 다르게 하고자 하는가에 영향을 끼친다. 수렴성과 일탈을 볼것.

acculturation model(문화변용 모형) : 이 이론에 의하면, 다양한 사회적, 심리적 요소들이 학습자들이 목표 언어 문화에 어느 정도 적응할 수 있는지 또한 그 결과 L2를 어느 정도 습득할 수 있는지 그 정도를 결정한다. 사회적 거리와 심리적 거리를 볼 것.

accuracy order(정확도 순서) : 각각의 형태소가 학습자 언어에서 발화될때 나타나는 정확도에 따른 문법적 형태소의 순서 매김.

acquisition order(습득 순서) : 각각의 형태소가 학습자들에 의해 습득되어지는 순서에 따른 문법적 형태소의 순서 매김.

auto input(자동 입력) : 이 용어는 학습자 자신의 발화가 그들의 언어 습득 장치에 대한 입력으로 이용될 수 있는 가능성을 말한다.

avoidance(회피) : 회피란 특정한 목표어 특성이 원어민 화자의 발화에 비해 학습자 발화에 덜 나타날 때 생겨난다고 한다. 회피는 제 1언어 전이에 의해 생겨날 수 있다.

backsliding(회귀) : 이는 학습자들이 현재 그들의 발달 단계보다 이전 단계에 속하는 규칙을 이용할 때 생겨난다고 한다.

behaviorist learning theory(행동주의 학습이론) : 모든 학습을 상황적 자극을 통한 습관 형성이라고 보는 일반 이론.

careful style(신중한 문제) : 이 용어는 학습자들이 그들의 발화에 중의하며 하나하나 신경을 쓸 때 사용하는 언어를 말할 때 Labov가 붙인 요어이다. 문체의 연속체를 볼 것.

case study(사례 연구) : 개인 학습자에 대한 구체적이고 장기간에 걸친 연구.

communication strategies(의사소통 전략) : 원어민 화자의 제 2언어 학습자 모두에게 의해 언어적 지식이 없거나 혹은 그 지식에 접근할 수 없을 때 생기는 의사소통상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쓰이는 전략들.

consciousness raising(의식상향) : 학습자들이 특정한 언어적 특성을 인식 할 수 있게 도와주는 형태에 집중하는 유형의 지시사항.

contrastive analysis(대조 분석) : 두 언어의 구조적 유사점과 차이점을 파악하기 위해 두 언어의 언어 체계를 비교하고 대조하는 일련의 과정들.

convergence(수렴) : 화자들이 그들의 발화를 상대자의 발화와 일치시키기 위해 노력하는 과정. 제 2언어 습득이란 원어민 화자의 규범에 다가가려는 장기적 수렴으로 간주될 수 있다. 조정이론을 볼 것.

critical period hypothesis(결정적 시기 가설) : 이 가설은 제 2언어에서의 목표어 능력은 단지 학습이 특정한 나이(예를들어 사춘기의 시작) 이전에 시작되어야만 청취될 수 있다고 말한다.

divergence(일탈) : 화자들이 그들의 발화를 상대자의 발화와 다르게 만들려고 노력하는 과정. 일탈이 자주 일어나면 제 2언어 습득에 방해가 된다고 여겨진다.

errors(오류) : 목표어에 대한 학습자 지식의 부족에서 생겨나는 어법상의 일탈.

explicit knowledge(명시적 지식) : 학습자가 인식하고 있고 요청 받으면 말로 표현할 수 있는 제 2언어 지식.

foreigner talk(외국인에게 하는 말투) : 원어민 화자들이 비원어민 화자들에게 말할 때 사용하는 여러가지 유형의 언어형태.

form function mapping(형태 기능 도해) : 특정한 형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는 특정한 기능을 학습자가 파악할 수 있는 것. 그 결과 생겨나는 도해는 목표어의 규범과 상응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formulas(공식화된 상투적인 말들) : 완전한 하나의 단위로 혹은 부분적으로 분석된 단위로 저장된 언어 덩어리. 공식들은 본질적으로 어휘라고 볼 수 있다.

fossilization(화석화) : 다소 목표어 능력에 이르지 못한 상태로 학습이 중단되는데 관여하는 과정. 대부분의 제 2언어 학습자들의 중간어는 화석화된다.

free variation(자유변이) : 한 구조를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변형으로 임의적으로 사용하는 것.

global errors(전체적 오류) : 전체적인 문장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오류들. 어순오류.

implicit knowledge(묵시적 지식) : 학습자가 인식하지 못하고 따라서 말로 표현할 수 없는 제 2언어 지식.

input(입력) : 학습자가 특정한 제 2언어를 배우거나 사용하는 동안 노출되는 구어와 문어의견본.

input based instruction(입력에 기초한 교수) : 학습자들 스스로 언어적 항목을 발화하도록 기회를 주기 보다는 학습자들을 입력에 들어있는 언어적 항목들에 체계적으로 노출시킴으로써 그 항목들을 가르치고자 하는 교육.

input flooding(입력쇄도) : 학습자들에게 특정한 언어적 특성에 대한 충분한 긍정적 증거를 제공하는 것을 포함하는 일종의 형태 집중적 교육.

input hypothesis(입력가설) : 어떻게 학습자들이 그들이 이해하는 입력으로부터 무의식적으로 언어를 습득하는가를 설명하기 위해 Krashen 에 의해 제안된 가설.

instrumental motivation(도구적 동기) : 학습자가 어떤 기능적 목표를 달성하려는 욕구의 결과로 학습에 부여하는 노력의 정도.

intake(수용) : 학습자가 주의를 기울이고 단기 기억에 저장하려는 입력의 부분. 수용은 후에 중간어로 편입될 수도 있다.

integrative motivation(통합적 동기) : 학습자가 목표어 문화에 동일해지려고 하는 욕구에 대한 관심을 통해 제 2언어 학습에 부여하는 노력의 정도.

interaction hypothesis(상호작용 가설) : 의미 교섭으로부터 생겨나는 상호작용상의 변형이 습득을 촉진시킨다는 것을 주장하기 위해 주어진 용어.

interlanguage(중간어) : 목표어와 학습자의 제 1언어 양측으로부터 독립적인 체계적인 제 2언어의 지식을 나타내기 위해 Selinker가 만들어낸 용어.

interlanguage continuum(중간어 연속체) : 제 2언어를 습득하는 과정 중에 학습자가 만들어내는 일련의 잠정적 중간 체제.

investment(투자) : 학습자들이 그들 자신을 학습자로 간주하며 만들어낸 사회적 정체성과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제 2언어를 배우는데 들이는 노력.

item learning(항목학습) : 언어의 개별적이고 분리된 항목을 배우는데 관여하는 학습. 체계학습.

intrinsic motivation(내재적 동기) : 학습자가 특별한 학습 활동에 의해 생겨난 관심의 결과로 제 2언어를 배우는 데 들이는 노력의 정도.

L1 transfer(제 1언어 전이) : 학습자의 제 1언어가 제 2언어의 습득과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

Language Acquisition Device(LAD 언어 습득 장치) : Chomsky에 의한 제 1언어 습득을 책임지는 타고난 언어 능력. 보편문법.

language aptitude(언어 적성) : 사람들이 제 2언어를 배우기 위해 서로 다른 정도로 가지고 있는 특별한 능력.

learner language(학습자 언어) : 학습자들이 언어 습득 과정 동안에 말과 글에서 만들어내는 언어를 나타내는 용어.

learnig strategy(학습전략) : 학습자들이 그들의 중건어를 발달시키기위해 사용하는 행동 과정 혹은 심리 과정. 의사소통 전략을 볼 것.

linguistic context(언어적문맥) : 특정한 문법 특성을 둘러싸고 있는 언어와 학습자가 사용하려고 선택하는 특정한 형태에 영향을 줄수도 있는 언어.

local errors(국부적 오류) : 문장 내의 한 요소에만 영향을 주는 오류(예를들어 전치사의 사용).

markedness(유표성) : 어떤 언어적 특성들은 다른 특성들보다 좀 더 근본적이거나 더 자연스러운 것이라는 일반적 생각을 말한다. 언어학 이론에 근거를 둔 좀 더 전문적 정의들로 또한 존재한다.

mentalist(심성주의자) : 심성주의적 언어학습 이론은 언어를 습득할 수 있는 학습자의 타고난 능력을 강조한다.

mistakes(실수) : 학습자들이 그 목표어에 대해 실제로 알고 있는 지식을 단지 사용하지 못해서 생기는 어법상의 일탈.

motivation(동기) : 언어를 배우려는 학습자들의 욕구나 필요의 결과로 그들이 제 2언어를 배울 때 부여하는 노력. 통합적 동기, 도구적 동기, 내재적 동기 그리고 결과적 동기를 볼 것.

multidimensional model(다차원 모형) : Meisel, Clahsen, 그리고 Pienemann 에 의해 제안된 제 2언어 습득이론. 문법적 특징들이 처리제약에 의해 지배받는가 혹은 사회심리적 요인들에 의해 지배 받는가 혹은 사회심리적 요인들에 의해 지배받는가에 따라 발달상의 특징과 변화상의특징을 구분한다.

negative evidence/feedback(부정적 증거/피드백) : 중간어 가설이 옳지않다고 학습자들에게 직접적 혹은 간접적으로 주어진 정보.

negative transfer(부정적 전이) : 오류를 가져오게 되는 언어 전이.

negotiation of meaning(의미 협상) : 어떤 오해가 발생할 때 화자들 사이에 발생하는 상호적인 작업. 그 작업이 습득을 돕는다고 추정되는 상호작용상의 변형을 가져온다.

noticing(주목하기) : 학습자들이 입력 상의 언어적 특징에 대해 의식적 관심을 기울이는 과정.

notice the gap(차이 주목) : 학습자들이 입력상의 언어적 특징과 그들 자신의 발화에 나타나는 특징들 사이의 차이점에 의식적 주의를 기울이는 과정.

omission(생략) : 학습자들이 단어들 혹은 단어의 일부를 생략할 때 발생하는 어법상의 일탈.

operating principles(작동 원리) : 아동들의 발화의 규칙적 속성을 설명하고 그들이 제 1언어를 습득하는 동안 입력을 나누고 분석하기 위해 사용하는 전략에 대한 Slobin 의 용어.

overgeneralization(과대일반화) : 실제 목표어 사용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그런 상황에서 어떤 중간어 특징을 지나치게 사용하는 것. ex) He ated ice-cream.

overuse(과사용) : 목표어 사용의 경우에 선호될 어떤 특성(예 : 관계사절) 대신에 다른 어떤 특성 (예 : 단순 대등절 구조) 을 지나치게 사용하는것. 과사용은 오류를 일으킬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 도 있다.

parallel distributed processing(병렬분포처리) : 언어 사용과 습득을 규칙보다는 단위들 사이의 상호연결과 같은 복잡한 망을 수반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언어 모형.

pidginization(피진화, 혼성화) : 피진(접촉 언어)이 형성되는 과정. Schumann에 따르면 제 2언어 습득도 비슷한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positive evidence(긍정적 증거) : 학습자에게 무엇이 비문법적인가는 보여주지 않고 문법적인 것만을 보여주는 입력.

positive transfer(긍정적 전이) : 목표어 형태의 습득을 촉진시키는 언어 전이.

poverty of the stimulus(자극의 결핍) : 언어 입력이 언어 습득을 위해 필요한 언어적 정보를 제공하지 못하는 것.

processing constraints(처리제약)들 : 학습자들이 서로 다른 문법적 구조들과 관련된 변환을 수행하지 (예 : 도치되ㅏㄴ 현태로 wh의문문을 만들어 내지)못하게 방해하는 장치.

production based instruction(발화에 기초한 교수) : 학습자로부터 특정 언어적 특성을 포함한 문장을 이끌어냄으로써 그 특징을 가르치고자 하는 일종의 형태 중심적 교육.

psycholinguistic context(심리학적 문맥) : 학습자들이 자신이 말하는 것 혹은 쓰는 것을 미리 계획하거나 스스로 고칠 수 있는 정도에 영향을 주는 의사 소통이 발생할 수 있는 문맥의 측면들.

psychological distance(심리적 거리) : 언어 충격이나 동기 등과 같은 심리적 요인으로부터 생겨나는 학습자와 그 목표어 집단과의 거리

restructuring(재구조와) : 학습자들이 그 목표어에 대한 새로운 증거로 미루어 그들의 중간어를 재조정하는 과정. 단위 학습으로부터 체계학습으로의 이동을 통해 재구조화가 일어날 수 있다.

restructuring continuum(재구조화 연속체) : 이는 중간어 발달이란 학습자들이 제1언어 규칙들을 목표어의 규칙으로 점차 바꿔가는 것으로 이루어진다는 개념을 말하기 위한 것이다.

resultative motivation(결과적 동기) : 학습자들이 제 2언어를 배우는 데 성공한 결과로 발달시키는 동기.

rule(규칙) : 문법이 지닌 추상적 속성의 심리적 표출. 규칙들은 문법 능력의 일부분으로 화자가 완전히 새로운 문장을 만들 수 있게 해준다. 공식.

scaffolding(발판 만들기) : 학습자들이 담화를 이용하여 그들의 현재 능력 밖에 있는 구조들을 만들어 가는 과정.

sequence of acquisition(습득 차례) : 학습자들이 과거 시제 같은 문법적 구조를 습득하거나 요청하기와 같은 언어 기능을 어떻게 수행하는지를 배울 때 거치게 되는 발달 단계.

silent period(침묵시기) : 몇몇 제 2언어 학습자들 특히 어린이들은 비록 그들이 개인적 발화에는 관여하지만 큰 소리로 말하려고 하지 않는 비교적 긴 시기를 경험한다.

situational context(상황적 문잭) : 의사 소통이 발생하는 실제 상황. 화자가 누구와 이야기 하는가 등의 상황적 요인들이 언어적 형태의 선택에 영향을 끼친다.

social distance(사회적 거리) : 사회적 우월과 동봉등의 다양한 사회적 요인들에서 생겨나는 학습자와 목표어 집단 간의 거리.

stylistic continuum(문체 연속체) : 다양한 중간어는 신중한 문체에서 자국어 문체에 이르는 여러가지 문체들로 구성된다는 개념.

system learning(체계 학습) : 언어적 항목의 사용의 근본이 되는 추상적 규칙들을 배우는 것. 즉 불어에서 그 명사가 언제 정관사 la 를 취하고 언제 정관사 le를 취하는 가를 배우는것.

target language(목표언어) : 학습자가 배우려고 노력하는 언어.

teachability hypothesis(교수가능성 가설) : 학습자에게 문법적 구조를 가르치는 것은 단지 학습자들이 발달 단계상 그것을 배울 준비가 되어있어야만 가능하다는 가설.

transitional constructions(과도기적 구조) : 학습자들이 습득 차례 과정 중에 보이는 임시적 문법구조. 서로 다른 발달 단계에서 서로 다른 임시적 문법 구조가 분명히 나타난다.

Universal Grammar(보편 문법, UG) : 언어에 대한 아이의 타고난 지식을 구성하고 제 1언어 습득을 지배하는 추상적인 원칙들에 대한 Chomsky의 용어.

U-shaped course of development(U자형 발달 노선) : 학습자들이 정확한 목표어 형태를 한 단꼐에서 사용하고 그것을 비문법적인 중간어 형태로 바꾸고 마침내 정확한 목표어 형태로 되돌아가 사용하는데서 보여지는 학습 유형.

vernacular style(자국어 문체) : 화자들이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하고 그 결과 그들이 선택하는 형태에 그다지 관심을 가지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하는 언어를 말하는 Labov의 용어.

zone of proximal development(근접 발달 지역) : 아직 준비는 안 되었지만 성인의 도움으로 수행할 수 있는 아동의 인지 단계를 나타내기 위해 Vygorsky 가 이 용어를 사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