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teratur(204)
-
라틴 아메리카에서 우리로.. - 1492 타자의 은폐 : ‘근대성 신화’의 기원을 찾아서 : 엔리케 두셀 : 그린비
라틴 아메리카에서 우리로.. [1] - 1492 타자의 은폐 : ‘근대성 신화’의 기원을 찾아서 : 엔리케 두셀 : 그린비 201180142 박형락 미국과 캐나다를 우리는 북아메리카라고 하고 미국 아래에 있는 나라들이 있는 대륙을 남아메리카라고 한다. 혹자는 라틴 아메리카라고 하기도 한다. 라틴이라는 말 자체에 우리는 의문을 가질 수 밖에 없다. 우리가 잘 아는 라틴이라는 단어를 라틴어, 라틴 민족 이라는 말로서 사용하는데, 이는 바로 이탈리아나, 스페인 같은 아리아인들 중, 유럽 남쪽에 사는 사람들의 집단에서 근원된 것들이기 때문이다. 라틴 아메리카의 문화 근원은 원주민이 아니다. 이는 마치 유럽의 역사와 유사하다. 예를 들어, 클라우스 슐츠의 『독일의 과거로부터』에서 나오는 독일의 역사만 하더라도, ..
2012.01.08 -
들어올 땐 마음대로 들어왔겠지만 나갈 땐 안 된단다. - Judith Butler 의 Gender Trouble 의 서문
들어올 땐 마음대로 들어왔겠지만 나갈 땐 안 된단다. - Judith Butler 의 Gender Trouble 의 서문 포스트 모던 극과 공연 정병언 교수님 201180142 박형락 Your hip is so elastic! – undernation 1. 개념을 통한 Butler 다가가기[1] 1) 사법적 모델 (judiciary model) : 인류학이나 정신분석에서 인간 문명의 기원 점으로 꼽는 금기가 금지는 사실 금지해야 할 어떤 욕망이 이미 있다는 것을 전제한다. 이 욕망이 있다고 이미 전제하고 조작해둔 것이 법이나 권력이라는 설명 모델을 의미한다. 2) 생산적 권력 (productive power) : 반복된 법에 대한 복종 행위를 통해 법은 스스로 자가 증식하면서 개인에게 내면화되기 때문에 ..
2012.01.06 -
과거와 현재 사이에서 삐딱하게 보기 - Heine Müller의 『Die Hamletmaschine』
과거와 현재 사이에서 삐딱하게 보기 - Heine Müller의 『Die Hamletmaschine』 포스트모던 극과 공연 정병언 교수님 201180142 석사과정 박형락 Hoffnung ist nur ein Mangel an Information. – Heine Müller 1. 『Hamlet』 에 대하여 작품 『Die Hamletmaschine』, 그 이름 그대로 연상되는 작품은 Shakespeare 의 『Hamlet』 이다. 『Hamlet』 의 줄거리를 간략하게 설명하겠다. 덴마크의 왕이었고 지금은 고인이 된 Hamlet의 아버지는 유령으로 자주 경비병들 앞에 나타나게 되었다. 이 소문을 들은 Hamlet은 Horation과 함께 아버지 유령을 만나기로 한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삼촌인 Claudi..
2012.01.04 -
The Elegant Universe - Tom Stoppard 의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
The Elegant Universe - Tom Stoppard 의 Rosencrantz and Guildenstern are Dead 영국르네상스희곡연구 윤화영 교수님 201180142 박형락 Heute ist Mama gestorben. Vielleicht auch gestern, ich weiss nicht. – Albert Camus 1. 발제지 구성 대체적으로 먼저 서문에는 간단히 발표의 핵심 부분을 요약하는 것이 좋을 지 모르나, 발제지 구성자체가 난해하기 때문에, 이렇게 먼저 발제지가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 가를 언급하도록 하겠다. 우선 기본적인 발표의 주제는 상호텍스트성과 함께 작품을 보는 것이다. 그런데 논문에 주어진 상호텍스트성을 어떻게 이해하고 파고드느냐에 고민을 많이 했다. 대체적으로..
2012.01.02 -
Mae 의 어색함에 대하여 – Maria Irene Fones의 Mud
Mae 의 어색함에 대하여 – Maria Irene Fones의 Mud[1] 201180142 박형락 무조건 Brecht 가 먼저 시도 했다고 하기에는 상당히 그 근원을 살펴보면 꼭 그렇다고 말하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극에서 연출하는 상당한 어색함은 관객들에게 충격을 준다. 단지 충격이라는 그 의미 자체의 충격은 아니고, 몰입을 방해하면서 어색한 느낌을 받고 분명하게 연출가의 의미를 받아나는 생소함이라고 말하는 것이 옳을 지도 모른다. Brecht 의 어색한 시도는 연출적인 측면에서 상당히 부각되었다. 관객이 극을 느끼기에 최대한 어색하게 해야 하는 것은 혹은 기존 관념의 틀 그 자체를 흔들기 위한 목적성이 있는 극이라면 이러한 기법을 상당히 사용하고 있다. Mud에서는 Fones의 목적성을 기존의 틀을..
2011.12.31 -
실재의 귀환 - 이정우
진리란 무었인가? 말의 진리는 이데아에 가까이 가는 것이다. 좋은 국가는 이상국가를 모방한다. 인식으로 객관적인 것인 이론, 학문, 진리 같은 틀을 부수는 것은 인간과 주체 사이의 관계가 변화한다. 객관적 인과는 존재를 보장하지 않는다. 구성을 종합해서 인과 거리를 만든다. 역사는 데이터다. 인과관계를 이무도 이야기 할 수 없다. 스토리 텔링을 통해 투영해 나가는 것이다. 진리는 사실인지 아닌지 모르고 구성된 것이다. 칸트는 객관성을 포기하고 보편성을 중시했다. 극단적 상대주의인 것이다. 진리는 가지고 있던 틀을 깨는 사건이고 출현의 문제이다. 실재의 귀환인 것이다. 이 세상은 과거와는 달리 많이 변화되었다. 사람을 통제하지 않고 관리를 하며 폭력적으로 대하지 않고 비폭력적이다. 기표시스템으로 DNA를 ..
2011.08.11